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7

        14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 세계에서 주목받으며 성장하고 있는 오순절/은사주 의운동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을 살펴본다. 몇 십 년 동안 오순절/은사 주의 진영은 신학이 없다고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조차도 풍부하고 다양한 신학이 나타나고 있다. 성령세례는 오순절/은사주의 신학의 중심축이다. 그러므로 오순 절과 은사주의 신학연구에 있어서 성령연구는 반드시 신학적으로 서로 비교되어 정의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두 운동 사이에 많은 유사성과 차이점 때문에 성령세례와 관한 비교연구는 연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게다가 성령세례에 관한 오순절과 은사주의의 두 가지 다른 의견은 성령충만에 있어서도 다른 의견들을 만들어냈다. 오순절주 의자들은 성령을 받아들이는 것은 단순한 오순절 사건으로 본 반면에 은사주의와 복음주의자들은 성령을 받아들이는 것은 새로운 능력을 얻는 것을 포함한 중생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오순절과 은사주의 내의 다양한 신학적 견해, 즉 성령론, 성령세례, 방언, 여러 가지은사, 중생, 성화 등을 살펴보고 오순절/은사주의 세계화 속에서 다양한 나라의 오순절과 은사주의 운동의 기원, 그리고 그것들의 신학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선교학적으로 만일 ‘주류’라는 것을 숫자로 정의한다면, 오순절주 의는 개신교가 이미 로마 가톨릭과 이슬람에 내놓은 가장 중요한 대안이 다. 오순절주의는 한 때 주류였던 개신교 그룹들을 갓길로 몰아내고 대신 자신이 주류 자리를 차지했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오순절운동을 좋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오순절운동의 신자수를 더 파악 하게 되면서 전 세계에 걸쳐 기독교에 커다란 변혁이 일어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으며, 그 결과 기독교세계는 오순절주의를 진지하게 받아들 이게 되었다. 오순절주의는 이토록 미래의 기독교에서 점점 더 중요하 게 살펴보아야 할 주제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오순절운동이 다른 종교운동과 마찬가지로 수많은 분열과 변형에도 불구하고,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그토록 경이적으로 성장하는 종교운동이 되게 하였는지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9,300원
        14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Gwansanggam (觀象監, The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y) was the royal administration in charge of Astronomy (天文), Geography (地理), Calendars (曆),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 (測候), and Timekeeping (刻漏). Of those affairs, the Astronomical Almanac compilation was most important. In this paper, we study the education and selection of astronomical officials in the 19th century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Astronomical Almanac officials. According to this study, their main area was calendar calculation, and they were involved in Astronomical Almanac compilation for nearly 40 years, until they resigned. In addition, they served as Samryeok-susulgwan (三曆 修述官, Official for calendar calculation by the Shíxiàn calendar), and Ilgwa-gamingwan (日課監印官, Official printing supervisor). To undertake these core duties, an official had to pass several examinations and courses. The Gwansanggam (after Gwansangso) carried out the educational function for the officials. In particular, reserved officials of the astronomy division had to be educated starting with a trainee course.
        4,300원
        14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6세기 대표적 어휘 분류집인 『訓蒙字會』를 21세기 대표적 國家公認資格證인 한글어문회의 1급 한자 3500자를 비교하여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16세기와 21세기 상용한자가 어떻게 달라졌으며, 그 글자들의 의미범주는 어떻게 바뀌 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총 1,743개의 한자가 현재까지 공용자로 여전히 사용 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 의미범주별 사용 한자는 조금씩 달랐는데, 예를 들면 곤충을 나타내 는 글자나, 채소, 질병을 나타내는 글자들은 16세기와는 현저히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유학이나 서식 등에 관한 글자는 여전히 현재까지도 자주 사용되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훈몽자회』의 어휘 분류는 당시 시대상을 많이 반영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천륜’에 노비들이 속한다든지, ‘인류’에 현대에는 없는 직업군이나 동서남북을 나 타내는 글자를 그 지역의 종족을 나타낸 의미를 해석한다든지 하는 것들은 당시 시대상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4,900원
        144.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도자의 역사에서 고려시대 청자의 대표를 梅甁이라 한다면 조 선시대 백자는 龍樽이라 할 수 있다. 청화로 그린 용준은 조선의 개국 이후 체제가 정비되고 儀禮와 관련 器皿制式이 정립되는 첫 단계부터 조선왕조의 마지막까지 기본 골격을 준수하면서 시종일관 하였다. 따라서 청화용준을 조선백자의 상징이며 중심적 존재라고 하는 데 이의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간에 연구 경향은 17세기에 청화재료 수급이 어려워지면서假畵와 鐵畵재료인 石間硃를 썼고 또 그러한 상황이 오래 지속 되었 다는 전제 아래 ‘철화백자의 시대’라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결국 이러한 입장을 취함으로서 조선백자의 근간으로 조형의 중심을 이끌며 일정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온 청화용준이 일백년 가까이 단절되었고 다시 18세기에 새롭게 구성한 조형체계로 재등장 했다는 말이 되는데, 이러한 인식은 조선 중, 후기 백자의 전개에서 조형정신의 계승은 물론 조선사회 를 구성하는 지적 엘리트들의 일정한 美意識을 규명하는데 심각한 장 애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이 글은 임진란 이후 광해군11년(1619)에 와서 어렵게 청화를 구하여 용준 제작이 가능해졌고 이후 왕실의 雙龍樽제작은 19세기까지 지속 되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현존하는 조선중기, 후기 청화백자 쌍용준의 조형적 특징을 기준으로 여섯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 의 성격을 분석했으며, 여기서 分院窯址出土철화용준의 절대편년 자 료를 대입하여 분류 기준의 당위성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철화백자는 사용주체도 달랐고 명분도 분명히 달랐다. 철화는 청화와 함께 상하관계를 유지하며 동일한 시공간에서 각각 다른 조 형의장을 계승하면서 일정기간 동안 공존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상적 인 계급사회의 정착을 추구했던 조선의 司饔院分院에서 정통성을 갖 는 청화백자와는 전혀 다른 위치와 기능으로 17세기 동안 독자적 철화 백자의 조형체계를 확립했고 곧 이어 간소화 쇠퇴하면서 지방 民窯로 이전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조선시대 백자의 대표격인 용준의 조형체계를 밝히는 일은 조선백자 의 근간을 밝히는 근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일이다. 조선 전 기에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었던 樽은 17세기 전기를 지나면서 한 가지로 통합 되는데 그 과정에서 청화백자 쌍용준의 역할이 절대적이었 다. 제작 주체였던 사대부들의 관심이 제왕의 쌍용준에 있었을 가능성 이 높기 때문이다. 士大夫들은 이 용준에 용 그림 대신 四君子와 花鳥, 山水, 人物, 魚 蟹, 十長生등 새로운 그림들을 敎化와 祈福의 기능을 존중하면서 그려 넣었다. 따라서 용 그림 주변에서 莊嚴을 상징했던 당초, 여의두, 劍形 蓮瓣같은 종속문양대를 생략하거나 단순화하는 것이 신하로서 사대부 가 지켜야 할 도리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조선후기 上品畵樽가운데 검형연판문대를 갖춘 예가 박병래선생 기증품 <白磁靑畵山水文樽>(높 이 38.1) 한 점밖에 없다는 사실이 그러한 제작 분위기를 설명해 주고 있다.
        9,500원
        14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마지막 시편에서 자신의 죽음과 화해한다. 그가 직면한 것 은 자신의 죽음이지만, 그는 죽음이 마지막이라는 인식으로 죽음을 접근하지 않는다. 대신, 그는 자신의 저서 환상록에서 영혼이 재탄생을 준비할 때 “의식은 껍질(Husk, 욕망 등)에서 정신(Spirit)으로 지나가는 순간”이 죽음이라 기술한다. 죽음을 망각이라 기 보다는 이상한 시작으로 구분하는 것은, 환상록에서 상술하고 있듯이, 부분적으 로 예이츠의 시간에 대한 개념과 존재의 본성에 대한 개념과 상관이 있다. 이 접근은, 예이츠의 초기의 시간의 개념과 죽음의 시간성에 관한 개념에서 유래하며, 이것은 마 지막 시편 전편에 표현되어 있다.
        4,500원
        14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fluence of Japonism, which is the post-mid-19th century phenomenon of appreciating and preferring the Japanese style that manifested all across Western art, started to grow as a result of the active open-door policy of Japan at this time. As all areas of Japanese arts and culture,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and theater plays, influenced Europe and America, this influence developed into a cultural phenomenon that was reflected even in fashion.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kimono first expanded from Paris and showed a similar silhouette to that of the traditional kimono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towards the middle and the end of the century, kimono sleeves that were connected as one piece without a connecting seam line between the sleeve and bodice started to appear. The foundation of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kimono sleeves that can be seen in 20th-century fashion, and five varying kimono sleeve jackets and coats based on these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designed. Each design had a gusset design added, which improved the external and mobility problems inherent in kimono sleeve patterns, while at the same time serving as a proposal for new design element applications. Additionally, through various changes to and attempts at designs using the kimono sleeve as a limiting factor, new design possibilities were explored.
        4,000원
        151.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베트남은 한자문화권의 한 국가로, 이미 오래 전부터 한문화의 깊은 영향을 받 았다. 베트탐의 외교와 행정 교류, 과거, 시문의 창작 등 생활의 각 방면에서 베트 남인들은 한자와 한문의 생활을 하였다. 특히 베트남인들은 여전히 한자와 한-쯔 놈의 서적을 국내외의 여러 도서관과 장서관에 보존하고 있다. 한-쯔놈 서목의 통 계와 한-쯔놈 이중 언어 사전을 편집하는 과정 속에서 베트남에서 오랜 동안 시 행되었던 한자교육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다.
        5,100원
        15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thinking structure of deconstruction theoretically and thereupon, analyze the visual beauty and wearable comfort of the clothing and further, discus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the decentering phenomenon in the 21st century fashion. Deconstruction provides for an cognitive framework whereby we could comprehensively review the difficult-to-understand and imprudent creativity unravelling in the name of the post-modernism as well as the ambiguous visual beauty and wearable comfort of our contemporary fashion. In particular, deconstruction refuses such concepts invol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ntional clothing and its components as order, symmetry, balance, harmony, perfection and simplicity and instead, attaches some sense of value to such relatively inferior concepts as disorder, asymmetry, unbalance, disharmony, imperfection and complexity, and thus, reflects them in the modes of aesthetic representations to create new aesthetics and expand the expressive potential.
        4,900원
        15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21세기의 국내외 미술관의 양적 팽창 속에서 당면하고 있는 ‘재정 자립’ 문제를 주제로 삼았다. 전 세계적인 신자유주의 체제 내에서 미술관은 경영 혁신과 재정 자립에 대한 요구가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의 지역 미술관 운영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자는 재정 자립에 대처하고 있는 해외 미술관의 사례를 조사하고, 여기에 경기도 지역의 미술관 현황과 비교해, 한국의 미술관 재정 자립을 위한 최적화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모델은 재정 자립의 시대적 흐름을 수용하되, 일천한 미술관 역사의 현황을 감안해 국가나 지자체가 공공성이라는 미술관의 본질을 수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공성 개념에 기반을 두고 미술관의 재정 자립도를 늘려 나갈 때 국가 정책과 개별 기관 정책 사이의 적절한 균형점이 도출될 것이고, 문화예술기관의 지나친 상업화와 전문성 부재라는 이중의 덫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6,700원
        15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article chronicles key shifts in intellectual property regimes in the twentieth century as they rela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cademic research.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growth of scientific research in the research university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increasing awareness of its potential to promote technology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posited an important question of the ownership of knowledge created in the academic setting, where knowledge was traditionally regarded as a common property among academic researchers. This paper shows the ownership of academic knowledge emerged as a key public policy and legal issue in the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government officials who pursue the commercialization of academic knowledge for private gain and public benefit. The resulting institutionalization of patent management in the research university and shifts in federal patent policy in turn opened a new legal avenu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ivate ownership of academic knowledge and the expans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academia, especially in the area of biological and biomedical research. Reflecting upon historical shifts in intellectual property regimes in the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suggests recent controversies regarding ownership of biological knowledge and profit sharing in developing counties are linked to critical issues pertinent to the welfare of indigenous population, utilization of new natural resourc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 humanity.
        4,000원
        157.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교개혁 시대에 개혁가들이 선교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적인 선교를 거의 수행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그 본질과 실체에 대해서 심각한 오해를 받은 나머지 한 때 이단적 취급을 받았고 급진적 종교개혁의 일원으로 간주되었던 재세례파는 오히려 종교개혁 시대에 선교의 선봉장 역할을 감당하였다. 재세례파는 종교 개혁가들이 교회 개혁에 몰두한 나머지 선교 사역의 실천적인 영역이 미진했을 때에, 재세례파는 모든 신자가 다 선교사라는 의식을 가지고 선교 사역에 매진하였다. 그들은 말로만 복음을 전파할 뿐만 아니라 제자도의 실천을 통한 신실한 섬김의 삶을 통하여 복음을 증거하였다. 그리하여 당대에 가장 많은 선교사를 배출하였으며 개신교와 가톨릭을 합친 것 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개종자를 얻었다. 재세례파는 개신교 선교의 최초의 개척자였다. 재세례파의 이러한 놀랄만한 선교적 사역의 성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선교의 역사에서는 재세례파의 선교가 정식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금세기에 들어서 재세례파에 대한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재세례파의 본질이 산상수훈을 통한 제자도의 실천과 성경적인 교회의 본질인 공동체성의 회복에 있음을 인식하기 시작한 마당에 16세기 종교개혁시대의 선교에 선봉에 섰던 재세례파의 선교적 교회의 실체와 의미를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종교개혁 시대의 선교에 대한 균형 잡힌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8,000원
        15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국의 의회혁명 기간 중에 분리주의자의 한 갈래로 나온 퀘이커리즘은 사제나 종교적 의식을 거부하고 여성의 발언을 허용했던 급진적 종파였다. 퀘이커들이 신봉한 내면의 빛은 그리스도로부터 나온 것으로 여겼기에, 교회에서 여성의 발언 역시 내면의 빛에 기초한 예언으로 간주되었다. 이 논문은 퀘이커리즘의 초창기에 쓰여진 여성들의 소책자를 중심으로 여성의 발언권에 대한 옹호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책자들은 퀘이커리즘에 반대하는 이들에게 자신들의 교리의 정당함을 알리는 동시에 여성들의 발언권에 대한 옹호를 펴고 있다. 소책자는 공통적으로 여성의 발언을 옹호하기 위해 자신을 예언자의 위치에 놓으며, 성경의 구절을 들어 교회의 관습으로 내려온 여성에 대한 침묵의 강요를 반박한다. 발언권에서 남녀의 차별을 없애는 데 주력한 나머지 개인으로서의 여성의 고유한 목소리를 부각시키지 못했다는 문제점은 지적할 수 있으나, 퀘이커 여성들의 소책자는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문학에서 여성 작가의 활동이 시작되던 17세기의 상황과 궤를 같이 하여 다루어볼 가치가 있다.
        6,100원
        15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후반부에 발행된 프랑스 󰡔통계 그래픽 앨범󰡕에 수록된 지도의 지도학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 지도집의 제작 배경을 고찰하였는데, 당시의 사회공학과 통계그래픽의 발달이 지도집의 제작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도의 주제를 살펴본 결과, 국토개발을 위한 교통망 건설 타당성 분석을 위한 교통주제도가 많았다. 셋째, 단계구분도의 데이터 분류를 위해서는 등간분류와 자연분류를 채택하였으며, 동일계열의 색상을 이용한 명도배열과 황색과 적색의 분기배열을 사용하여 배색하였다. 넷째, 유선도는 선의 너비를 교통물량의 데이터와 비례하게 제작하였는데, 데이터의 명목적 차이는 색상과 질감을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다섯째, 도형표현도의 경우는 4개 이상의 변수를 표현하는 다변량지도가 많은데, 이로 인해 지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시공간축소와 비용공간 축소의 표현을 위하여 카토그램을 사용하였다.
        4,500원
        160.
        201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s how the continuity and uniformity are achieved in the 16th century polyphony through the imitation technique and cadential formula. Usually imitation technique is needed for the beginning and cadence for closing in the polyphony texture but these two are overlapped in inner cadences thus producing meshed opening and ending in progressions. Cadence is a device for bringing a pause or a close in a section. In spite of that inner cadences should produce a double effect of termination and continuity before the final cadence in order to show coherence. In this sense intensity is important in inner cadences. Imitation is a tool for repetition. Imitation in perfect interval according to hexachord system confrims the fact that “a melody” is repeated by several voices in different register. Sharing a melody denotes uniformity while voices beginning in various time difference represent continuous flow of time. Imitation happens at the beginning of a phrase but it overlaps with the cadence of the previous phrase creating a continuity naturally between two phrases.
        6,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