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사회인지와 정서 연구들은 주로 얼굴자극을 이용하여 초기지각단계 및 후기인지과정에의 정서 효과를 조사해 왔다. 그러나, 정서의 효과가 정보처리과정의 각 단계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와, 정서유형에 따른 효과 양상의 변화 여부는 불확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 대신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해 자극에 내포된 행복, 분노, 중립정서가 지각과제와 작업기억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는 연달아(지각과제) 또는 시간차를 두고(작업기억 과제) 제시되는 두 생물형운동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였다. 지각과제에서는 정서가를 가진 자극 시행의 정확도가 중립정 서자극에 비해 낮아 정서정보가 초기지각처리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으나, 작업기억과제에서의 기억정보유지에는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과제에서 정서유형에 따라 다른 수행 양상이 관찰되었다. 분노정서는 지각단계에서 더 많은 정신적 자원을 요구하여 부하가 증가할 경우 정확도가 낮아지지만 기억유지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행복정서의 경우 중립정서가 이어서 제시될 때 이를 행복정서와 유사하게 처리하려는 편향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생물형운동자극을 이용하여 정보처리과정에서의 정서 영향을 재확인하였고, 처리 단계별 및 정서 종류별로 다른 양상의 영향이 나타난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 정서정보의 정교한 조작 및 통제를 위한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박두진은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인간의 원죄의식과 타락한 본성, 이를 대속하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시로써 노래하였다. 그에게 예수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실현한 인물이자 죽음을 이기고 인류를 구원한 하나님의 아들이었다. 특별히 사도행전 연작에서는 그리스도의 군사된 소명의식으로 시대와 민족을 향한 사도적 의지를 강하게 표출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주어지는 고독과 고통을 기꺼이 감내하려는 정신주의자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김춘수는 역사가 주는 폭력을 체험한 후 역사의 실체에 대한 탐구의 결과로서 예수를 소재화하였다. 그에게 예수는 가장 무력한 자의 본보기로서 역사의 희생양이었다.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역사라는 괴물 앞에 예수는 사랑의 화신으로 삶을 마감한 인물이었다. 또한 예수는 부활이라는 알레고리를 통해 인류에게 하나의 심리적 진실로 자리한 신화적 인물이기도 했다. 박두진이 자신의 실존의 의미를 그리스도를 향한 열망으로 시화하였다면 김춘수 시인은 역사의 이율배반성에 대한 인간 존재의 슬픔과 그의 고통 콤플렉스를 시 쓰기 작업으로써 극복하였다.
구상 시인은 존재인식의 시와 역사의식의 시가 균형을 갖춘 시 세계를 구축한 가톨릭 시인으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인유의 원천으로서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 사건, 구절 등이 구상 시에 인용된 양상들을 살폈다. 구절을 인용한 양상에서는, 구(句)와 절(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구의 경우는 성경에서 관습적으로 쓰여 독특한 의미를 지닌 ‘관용어(idiomatic expression)’와 성경의 어구가 시에 자주 쓰여 뜻이 굳어진 ‘개인적 상징’(personal symbol)의 양상을 나누어 살폈다.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을 동시에 구사한 시편들에서 다른 기독교시인과 구별되는 구상 시인의 성경인용상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드러났다. 구상 시인의 성경인용의 시세계는 종교적 각성과 고백, 예언자적 지성의 현실 비판과 경고로 이루어져 있다. 본고의 의의는 그러한 구상 시의 사상적 근거와 그 표현의 출처인 성경을 처음으로 조명하여 그 특징을 밝힌 데 있다.
According to enhancement of roles and functions of enterprises’ distribution centers, recent trend of distribution centers are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which have generated lots of new distribution center building or expansion of the existing ones and led attention on stock transfer importance in case of distribution center relocation.
This thesis is a study for how to reduce stock transfer leadtime in order to minimize business risk and how to increase inventory accuracy when stock ownership is transferred in case of distribution center relocation, and to provide inventory accuracy management methods and inventory in/out management types, detailed definition to evaluate level for inventory accuracy management and pros/cons by inventory in/out management type assuming ‘the higher inventory accuracy before stock transfer, the shorter stock transfer leadtime when distribution center is relocated'.
This thesis provides detailed procedure to secure an absolute stock transfer leadtime and process to confirm hugh inventory accuracy by stakeholders which should be sloved by Task Force Team for stock transfer in case of distribution center relocation.
Background: Genu varum is also known as bow leg. It is a deformity wherein there is lateral bowing of the legs at the knee. it does give rise to pain, and persistent bowing can often give rise to discomfort in knees, hips and ankles.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narrow squats on the knee joint during a gait and distance between the knees of person with genu varum.
Methods: This study analyzed 23 patient with genu varum that grade Ⅲ, 12 narrow squat group and 11 genenal squat group in motion analysis laboratory. The subjects of experiment took gai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range of joint motion, moment of knee joint adduction, power, distance of the knees were measured. And in order to make an analysis between groups, an paie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it was decided that significance level α be .05.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group of narrow squat exerci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istance of knees (p<.05),In moment of adduction of knee joint, it was shown to significantly decrease in two groups (p<.05),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dduction, abduction, and rotation (p<.05). In relation of peak-knee adduction moment and valgus angle,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narrow squat group (p<.05).
Conclusion: When the above result of study were examined, a narrow squat exercise given to the genu varum pati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knees, range of knee adduction and abduction, knee adduction moment, knee power. And stability gains through the decrease of excursion of knee medial part be effective for the correction of genu varum deformation.
Background: Passive straight leg raising (PSLR) is the common clinical test to measure of hamstring muscle length. Hip flexion angle contributes to change the lumbopelvic rotation during PSLR.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is commonly used to detect lumbopelvic movement during lower limb movements. Thus, there may b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of PBU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PSLR.
Obj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 of PBU and lumbopelvic motion during PSLR.
Methods: Thirty 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were used to measure the lumbopelvic angle during PSLR, while recording the pressure of PBU according to angle of PSLR by 10 degree increment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umbopelvic and angle of PSLR (Pearson’s r=.83, p<.05), between the pressure of PBU and angle of PSLR (Pearson’s r=.75, p<.05), and between lumbopelvic motion and pressure of PUB (Pearson’s r=.83, p<.05). Linear regression equation using lumbopevic angle as an independent factor was as follows: Pressure of PBU = 47.35 + (2.55 × angle of lumbopelvic motion) (R2=.69, p<.05).
Conclusio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pressure of PBU can be used to indirectly detect the amounts of lumbobevic motion during muscle length test or stretching of hamstring.
목적 : 본 연구는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41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성별·연령별 동질성을 확보하여 분류한 후 실험군은 매일 양손훈련도구와 일반작업치료를 각각 15분간 실시하고, 대조군은 일반작업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훈련 제공기간은 주 5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는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와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를 활용하여 모든 집단에 실시하고 실험군은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수행능력 측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총 3회(훈련 전, 3주후, 6주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에 대한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평가결과 수행시간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5) 수행시간은 평가 주차별로 감소하였으며, 오류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MVPT –3에서 실험군은 훈련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p<.05)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인 훈련기간은 3주후와 6주 후 훈련이었다. CMDT에서는 집단과 훈련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 및 평가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상지 기능향상에 효과적인 훈련도구로서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향후 병실이나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Background: Lumbopelvic stability is highly important for exercise therapy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shoulder dysfunction. It can be attained using a pelvic compression belt.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external pelvic compression (EPC) enhances form closure by reducing sacroiliac joint laxity and selectively strengthens force closure and motor control by reducing the compensatory activity of the stabilizer. In addition, when the pelvic compression belt was placed directly on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the laxity of the sacroiliac cephalic joint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Obje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EPC on lumbopelvic and shoulder muscle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activities during push-up plus (PUP) and deadlift (DL) exercise, trunk extensor strength during DL exercise.
Methods: Thirty-eight subjects (21 men and 17 women)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PUP and DL with and without the EPC. EMG data were collect from serratus anterior (SA), pectoralis major (PM), erector spinae (ES), and multifidus (MF). Trunk extensor strength were tested in DL exercise.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3 repetitions of all exercise and the mean of root mean square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EMG activities of the SA and P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UP with pelvic compression as compared with PUP without pelvic compression (p<.05). In DL exercis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runk extensor strength was observed during DL exercise with pelvic compression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lumbopelvic stabilization reinforced with external pelvic compression may be propitious to strengthen PUP in more-active SA and PM muscles. Applying EPC can improve the trunk extensor strength during DL exercise. Our study shows that EPC was beneficial to improve the PUP and DL exercise efficiency.
목적: 본 연구는 시기능이상과 읽기능력변인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교정시력 1.0 이상인 평균나이 22.74세 남녀 120명을 대상으로 양안시기능과 읽기능력변인을 검사 하였다. 양안시기능검사는 원,근거리 수평사위, 폭주근점, 조절용이성을 측정하였고 임상기준값에 의해 정상군과 이상군으로 분류하였고, 읽기능력변인의 종류는 읽기속도, 주시횟수, 주시시간, 주시반복횟수, 이해도, 읽기등급이며 VisagrapⅡ(ReadAlyzer)를 이용해 검사하였다. 읽기능력변인에 대한 시기능이상군과 정상군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로 평가하였고, 시기능이상의 정도에 따른 읽기능력변 인의 상관성은 Pearson`s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결과: 원·근거리 모두에서 외사위군은 정상군에 비해 읽기속도는 감소하고, 주시횟수는 증가하였으며(p < 0.05), 근거리 외사위군에서는 사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읽기속도가 감소하였고, 주시반복횟수의 증가로 인해 읽기등급이 감소하였다(p < 0.05). 조절용이성은 이상군이 정상군에 비해 읽기속도가 더 느렸고(p < 0.05), 조절용이성이 증가함에 따라 읽기속도가 증가하였다(p < 0.05). 결론: 주시거리에 관계없이 정상범위를 벗어난 외사위안은 내사위안보다 읽기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독서 시 요구되는 폭주량이 내사위보다 외사위에서 더 크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일부 시기능이상은 읽기속도 등의 읽기능력변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다른 변인과 상관성이 없다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읽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사위와 조절용이성 이상을 교정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목적: 모노비전 시력교정 수술을 받은 노안을 대상으로 수술 후 시력과 양안시기능 변화를 평가하였다. 방법: 모노비전 노안교정 수술(라식 또는 라섹)을 받은 환자 58명(49.57 ± 3.2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기능은 100% 및 10% 대비시력, 근거리 입체시, 원·근거리 폭주융합력과 조절력을 측정하였으며, 실생활에서 느끼는 시각적 만족도는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술 전 검사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측정하였고, 수술 후에는 1, 3, 6 개월 후에 측정하였으며, 검사값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 58명 중 원시안은 5명(10안), 근시안은 53명(106안)이었다. 수술 후 양안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은 수술 전보다 저하되었고, 특히 박명시 상태에서 10 % 대비시력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수술 1개월 후 부터는 경과기간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수술 후 원거리와 근거리 시력 만족도는 향상되었고, 야간 빛번짐이 불편사항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았다. 모노비전 수술 후 근거리 입체시와 원거리 폭주융합력은 감소하였고, 근거리 억제와 근거리 폭주융합력은 차이가 없었으며, 양안과 비 우세안의 조절력은 증가하였다.
결론: 모노비전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시력, 근거리 입체시와 원거리 융합력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 시보다 감소하였지만 시생활에서 시각적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인명구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피난동선예측 알고리즘 개발의 첫 단계로 피난동선예측 알고리즘의 개념을 정립 하고 그 타당성을 수치적으로 명확히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평상시 선박내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승객이동 데이터를 취득, 분석, 정형화하고, 재난발생시 이 데이터와 예측 툴을 활용해 도출한 승선자의 피난동선예측 정보를 구조자에게 제공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프로세스로 요약할 수 있다. 피난훈련을 통해 피난특성 데이터를 취득하였고 이를 기존 인명피난예측 툴에 입력하여 피난특성을 예측한 결과, 예측 툴의 구조적 원인으로 인해 가시거리가 충분히 확보되고 피난경로를 충분히 숙지한 상황에서의 피난 시나리오(SN1)에서만 신뢰할 만한 예측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타 분야의 예측툴을 사용하여 피난특성을 예측한 결과, 제안 알고리즘이 구현될 경우 평균피난시간예측값과 피난동선(지점경유)예측값이 각각 0.6 ~ 6.9%, 0.6 ~ 3.6% 범위의 오차에서 실측값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향후 선내 모니터링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예측성능이 우수한 피난동선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편양 언기(1581∼1644)의 선사상 특징과 그것이 구도와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 깨달음을 증득한 후의 보림(保任), 자연교감과 방외(方外)의 생활과 대중교화에 있어 어떻게 투영, 시적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언기는 교와 선을 별문(別門)으로 보지 않는 서산 휴정(西山休靜)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언기의 선사상의 핵심은, 선은 교외별전의 경절문이며, 선교일치의 사상을 보이면서 선을 교보다 우위에 둔 점, 깨달음에 이르는 문을 경절문, 원돈문, 염불문 등의 삼문으로 구분한 점, 그리고 그 삼문은 방법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자성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인 경지는 같다는 것이다.
언기는 서산의 ‘4대 문파’ 가운데 최대 계파로 조선 후기 불교교단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자신의 득도와 참선 수행에만 전념하지 않고, 10여 년간 평양성 근처에서 양을 치고 걸인들을 보살피는 등 중생의 아픔을 함께 나눈 철저한 보살행을 실천했다. 그의 「편양당집」에 수록된 시들은 구도의 과정과 깨달음을 노래한 시, 산승으로 살아가며 느끼는 자연과의 감회를 읊은 시, 찾아오는 속인들을 향해 읊은 시, 도반의 선승들에게 준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이러한 시문은 치열한 구도와 깨달음을 향 한 수행과 대중교화에 진력한 모습을 잘 보여준다. 여기에는 선심(禪心)의 시심화(詩心化)가 잘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A unique porous material with controlled pore characteristics can be fabricated by the freeze-drying process, which uses the slurry of organic material as the sublimable vehicle mixed with powders. The essential feature in this process is that during the solidification of the slurry, the dendrites of the organic material should repel the dispersed particles into the interdendritic region. In the present work, a model experiment is attempted using some transparent organic materials mixed with glass powders, which enable in-situ observation. The organic materials used are camphor-naphthalene mixture (hypo- and hypereutectic composition), salol, camphene, and pivalic acid. Among these materials, the constituent phases in camphor-naphthalene system, i.e. naphthalene plate, camphor dendrite, and camphornaphthalene eutectic exclusively repel the glass powder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ntrol of organic material composition in the binary system is useful for producing a porous body with the required pore structure.
본 논문은 히니의 시에서 나타나는 익숙한 도구나 물체가 어떻게 근원적이고 시적인 이미지로 승화되는지 그 과정을 추적하는 글이다. 이에 어울리는 이론으로 바슐라르의 상상력 개념, 내밀한 확장성 그리고 원의 현상학 등과 견주어 히니의 도구 시 작품과 접목시킬 수 있다. 히니는 쇠스랑이나 자전거 바퀴와 같이 흔한 대상의 관찰과 경험에서 출발하여 과거의 원형적 이미지의 구현과 현재의 역동적 이미지의 포착을 통해 시적 자아와 불가분의 관계가 되는 시적 사물로 재탄생시킨다. 히니의 여러 사물시에는 시인과 동등한 하나의 존재 자체로 변모된 사물을 목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신라 흥덕왕 때에 서울 왕십리 남산 산록에 안정사로 창건되었고, 조선 초기 무학대사에 의해 중창된 이후 진호사찰로 자리매김 된 이래, 중창을 거듭하다가 2010년 경기도 양주 개명산으로 이건한 청련사의 시 공간에서 펼쳐지는 불교의 전통의례문화를 살핀 글이다. 먼저 첫째 장에서는 시대와 지역을 지배하는 문화의 의미와 전통문화이자 문화전통인 불교의례에는 전통문화의 가치가 담겨 있고 문화전통의 보고라는 전제 아래 말글을 연다. 둘째 장에서는 역사적으로 한국사찰의 건립 배경이 되는 사상을 알아 보았는데, 호국만다라 사상과 산천비보사상에 입각하여 비보사찰로 건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장에서 다룬 내용은 안정사(安靜寺)로 창건되었 고 중창되면서 東靑蓮ㆍ西白蓮의 호국 만다라와 진호사찰로서 청련사가 지정 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넷째 장에서는 청련사(안정사)의 역사 속에 남겨진 당우 및 전해진 전적들을 바탕으로 청련사에서 행해진 전통불교의례를 살펴 보았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양주로 이건해온 청련사의 전통문화의 전승 양상을 범패 중심으로 살펴보며, 새로 이주한 양주에서 전개되는 전통의례가 어떻게 문화전통의 역사를 잇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짚어 보았다
PURPOSES: Most of the traffic surveys are carried out by an inspection method by the manpower. In some cases, the video equipment is used only in some regions when the traffic volume is surveyed. In this case, there is environmental restriction that the road equipment to fix the video equipment should exist. Also, in areas where information such as digital maps and satellite photographs is old or not provided, they are forced to rely on manpower research, but it is difficult to put huge amounts of time and money into the research in places where labor supply and demand is difficult. This difficulty is particularly pronounced in overseas business.
METHOD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business by using the drones in the traffic investig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cost reduction effect between the existing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in the overseas business traffic survey.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the scope of research, and based on the case of overseas projects, the method of using drone for each research sector is suggested.
RESULTS: In the traffic condition survey section, we propose the use of drone for traffic survey and queue length survey, and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st saving effect of 16% ~ 27%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In the road condition survey, we propose the use of drones for road surface linear survey, geometry survey, and obstacle surve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st reduction effect is 39% ~ 93%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CONCLUSIONS: In addition to overseas busines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earch time and cost reduction by using drone in traffic survey in domestic area where labor supply is not easy or basic data is insufficient.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lane curing time of natural drying and a lane drying device when painting lines on a highway.
METHODS: The painting process was carried out in July 2015 and September 2015, respectively, for the Gimcheon IC - Gimcheon JC. After the painting, measurements were obtained three times at six measurement points located at 20 m intervals on the shoulder line and the dividing line. The curing time was measured for natural drying and drying using a lane drying device, and compared for different pavement types (asphalt, concrete) and paint types (waterborne paint, methyl methacrylate paint).
RESULTS : The results of the lane curing time comparison on the highway are as follows. The combination of asphalt and methyl methacrylate paint cured more rapidly during both the natural drying and drying using the lane drying device. Finally, it was cured at least 32.2% and 40.7% faster when using a drying device than in natural drying.
CONCLUSIONS: The comparison of lane curing time of the highwa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asphalt and methyl methacrylate paint cured more rapidly when using both natural drying and a lane drying device.
예이츠의 일본의 노드라마와의 조우는 1916년『매의 우물』을 쓰게 하는데, 이 작품에서 그는 시극에서 직면한 여러 문제와 자신의 시적 문화주의의 애매한 표현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다. 노드라마를 그대로 재현하는 대신에 예이츠는 대중적 연극개념에 반대한 자신의 미학적, 정치적 이상을 담아 재창조한다. 예술적으로, 예이트는 “극의 형식을 발명”해내는데, 이 형식은 반연극적, 반사실주의적 화법을 실행할 뿐 아니라, 일반대중을 포용하기를 거부하는 친밀한 극을 만든다. 정치적으로, 예이츠의 시적문화주의는 노에 영감을 받은 극에 적합한 신비주의철학과 결합한다. 시극은 이미지의 집중이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강력한 의식이어야 한다고 예이츠는 생각했다. 그러나 이런 공연 리추얼이 야기하는 주술적 상태는 부정적 양상을 초래한다. 매의 우물에서, 쿠훌린의 마지막 영웅적 행위는 자신의 선택이 아니라 주술의 결과이다. 이렇게 이 극은 초기극『캐스린 니 훌리한』에서 보이는 문화적 주술의 시학으로서의 문화주의의 지속성에 우리의 관심을 끌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