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경추 척수 손상 부위와 정도를 평가하는 데 DTI 기법은 현재 많은 임상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spinal cord를 영상화 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DTI 기법 중 2D ss-DWEPI에 IMIV(Interleaved Multisection Inner Volume) 방법을 접목한 2D ss-IMIV-DWEPI 기법은 위상 부호화 방향으로 공간적 범위를 감소하여 자화율 왜곡과 motion artifact 등을 줄이고 진단 시 병변 감별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DTI 기법 사용 시 2D ss-DWEPI에서 IMIV 기법을 적용 할 때와 기존 2D ss-DWEPI에서의 rFOV변화에 따른 FA 값과 ADC 값을 비교하고 영상의 질을 평가하여 IMIV 기법사용 시 DTI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cervical spine 검사 시 DTI sequence를 적용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spine coil과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DWEPI DTI는 TR/TE: 4000/65ms, FOV: 192mm, slice thickness: 2mm without gap, matrix: 128×32, 64, 128(rFOV 25%, 50%, 100%), NEX: 8을 사용하였다. 또한 ss-IMIV-DWEPI는 위와 같은 조건으로 matrix 128×32(rFOV 25%)를 사용하였으며 두 기법 모두 slice 수 10개, b factor 0, 500s/mm² 적용하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sagittal 영상을 얻어 cervical C1에서 T1까지 각각의 척추디스크 사이에 ROI를 그려 ADC, FA signal intensity를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2개 segment (C1∼C5, C5∼T1)로 나누어 영상의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을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ADC와 FA의 signal intensity를 측정한 평균값은 ADC에서 IMIV 560.7, rFOV100% 1261.3, rFOV50% 1387.3, rFOV25% 1321.9 로IMIV의 ADC 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IMIV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rFOV50%에서 138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에서는 IMIV 623.1, rFOV100% 578.7, rFOV50% 544.5, rFOV25% 495.7로 IMIV의 FA값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ADC에서 IMIV와 rFOV25, rFOV50, rFOV100의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FA에서도 pvalue는 statistical significant가 모두 0.05 이하였다. IMIV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rFOV 변화에 따른 값들 모두 유의한 값을 얻었다. 정성적 평가는 방사선사 5명이 영상을 관찰하고 motion artifact, distortion, 병변 검출 능력 등의 전체적인 영상의 질을 점수화하여 5명의 점수를 평균화 하였다. ADC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 upper/lower spine segment 모두 3.8-4.8 사이의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는 lower spine segment에서 1.2-2.0 사이의 낮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A에서는 IMIV 기법을 적용한 경우가 upper/lower spine segment에서 3.6-4.6 사이의 점수를 받았으며 rFOV25, rFOV50, rFOV100에서 1.4-1.8 사이의 점수를 받았다.
결 론 : 3.0T MRI Cervical spine 검사에서 small FOV DTI 사용 시 IMIV-DWEPI 기법을 사용한 DTI는 기존 DWEPI에 비해 긴 검사 시간을 가지고 있지만 motion artifact, distortion 등의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영상에서의 병변 검출 능력이 우수하므로 임상적 이용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목 적 : 신호대 잡음비는 자기공명영상 장치의 성능과 영상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두 영역 측정방법은 측정방법이 간단하고 시간이 짧기 때문에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 적용 시 두 영역측정방법에 의해 산출된 신호대 잡음비의 정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장비는 Philips 3.0T MRI(Achieva,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과 transmit receive head coil, SENSE 8 channel head coil을 사용하였으며 MR sequence는 spin echo T1, T2 강조영상을 사용하여 축상면으로 ACR phantom 영상을 획득하였다.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 AAPM, NEMA, Philips에서 제안한 측정방법,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 적용 시 두 영역 측정방법의 신호대 잡음비 측정 조건에 따라 T1, T2 강조영상을 각각 30번씩 획득하였으며 Image J를 사용하여 각 영상의 동일한 위치에서 ROI 크기를 10 mm2으로 하여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T1 강조영상의 경우 AAPM에서 제안한 방법이 가장 균일한 신호대 잡음비를 나타내었으며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과 NEMA는 10% 내외의 상대 표준 편차를 가짐으로써 균질한 값을 보였다. 하지만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을 적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의 경우 20% 이상의 상대 표준 편차를 보여 각 실험마다 신호대 잡음비의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NEMA와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에 비해 신호대 잡음비를 측정한 각각의 영역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T2 강조영상의 경우 transmit receive head coil을 사용한 두 영역 측정방법, AAPM, NEMA, Philips 모두 10% 내외의 상대 표준 편차를 가져 균일한 SNR을 나타내었지만 다중채널코일과 병렬영상기법을 적용한 두 영역측정방법의 경우 20% 이상의 상대 표준 편차를 보여 신호대 잡음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 론 :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 적용 시 잡음의 공간적, 통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 영역 측정방법으로 산출한 신호대 잡음비는 정확성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 채널 코일과 병렬 영상 기법을 적용한 영상에서 좀 더 정확한 신호대 잡음비를 산출하기 위해 AAPM, NEMA, Philips에서 제안되는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To conduct a nuclear fuel irradiation test, the inside of the nuclear fuel rod must be assembled along with the test fuel, several different parts, and sensors, and then filled with high-pressure and high-purityhelium g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lium gas filling techniques that can achieve exact TIG (Tungsten Inert Gas) spot welding at a pin-hole of the nuclear fuel rod to fill helium gas into the nuclear fuel test rod. However, previous apparatuses do not have repeatability for TIG spot welding as they lack an electrode position control jig to exactly fix a TIG electrode in a high-pressure chamber, and they consume a large amount of helium gas. Therefore, a TIG spot welding apparatus was developed to easily and accurately conduct TIG spot welding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gas consumption. In addition, the optimum welding conditions of this welding apparatus were established through various weld test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interrupted cutting of carbon steel for machine structure(SM20C) with uncoated carbide tool and analyzed anova test and confidence interval to find influential factor to surface roughness, and obtained regression equation. Rhe results are follows: First, we found that affected factor to surface roughness in interrupted cutting was feed rate. Secondly, the cutting speed and depth of cut was small affected to surface roughness. Finally, from multi-regression analysis of interrupted cutting experimental result, obtained regression equation and it’s coefficient determination was 0.814 and it means that regression equation was predictable. Compared with other continuous cutting, if feed rate increase, surface roughness will grow in interrupted cutting.
We investigated biomass, diatom species and fucoxanthin contents as cell growth, fatty acid and amino acid contents as nutritional composition of diatoms attached on plate to confirm effects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due to block off natural light. In the single LED irradiation, biomas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 30.0±6.48mg/m2 in white LED than that of others (P<0.05). The dominate diatom species was Navicula cancellata. Their lipid cont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 112.9±19.23ug/mg dry matter (DM) in control than that of others LEDs. But eicosapetaenoic acid (EPA) cont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 3.3±0.62ug/mg DM than other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d with natural control light treatment (P<0.05). And total protein contents are higher in control and blue LED light than that of others, but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 3.2±4.8% in control (P<0.05). In mixing light with natural and LED light, biomass showed 2.6±0.22mg/m2 in blue LED (P<0.05). Fatty acids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d with all treatments. Amino acid contents showed to 11.0±0.33ug/mg DM in white LED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d with others LED lights (P>0.05). Therefore, we could suggest that irradiation of blue LED in natural light very benefit to diatom culture for larvae of sea cucumber and abalone and do on.
오크라의 노지안정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오크라 생육초기의 보온을 위한 터널식 막덮기 처리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막덮기 재료에 따른 기온변화에서 비닐처리구와 부직포처리구 모두 대조구보다 평균 6.7, 3.3oC 높게 나타났으며, 지온의 평균온도에서도 3.1, 1.0oC 이상 높게 나타났다.
2. 출현율에서는 두 품종 모두 5/4처리구에서 93.3, 77.8%로 높게 나타났으며, 막덮기 재료에 따른 출현율 비교에서는 모두 비닐처리구에서 98.3, 86.7%로 가장 높은 출현율이 나타났고, 출현 80% 소요일수에서도 비닐처리구에서 7.0, 9.7일로 대조구보다 9.7, 17.3일 빠른 출현을 보였다.
3. 초장의 변화는 4/16비닐처리구 > 4/16부직포처리구 > 5/4 비닐처리구 > 4/16대조구 > 5/4부직포처리구 > 5/4대조구 순으로 대체적으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비닐 막덮기 처리에서 초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과실수량은 4/16비닐처리구 > 4/16부직포처리구 > 5/4비닐처리구 > 4/16대조구 > 5/4부직포처리구 > 5/4대조구 순으로 두 품종 모두 4/16비닐처리구로 가장 적은 수량을 보인 5/4대 조구보다 그린소드 169 kg·10a−1, 베니는 103 kg·10a−1 더 많은 수확량이 나타났다.
표고 톱밥배지 재배시 녹색LED 광량에 따른 생육특성 분석 결과 5 umol ·m -2 · s -1에서 3주기 기준 배지당 자실체 의 수량은 239 g으로 형광등 202 g 대비 1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자실체 폴리페놀 함량은 형광등 107 ppm에 대 비 78.4 ppm으로 27% 정도 낮았지만 에르고스테롤 함량 은 형광등 145 ppm 대비 307 ppm으로 2.1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력소모량은 형광등 대비 15.9%의 에너지 절감 율을 보였으며, 전등의 에너지 효율이 77.5%로 가장 컸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예이츠와 히니 두 작가 모두 다른 기질과 역사 및 문화 배경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유토피아를 추구한다. 두 작가를 비교해보면 낭만적경향의 예이츠는 과거나 미래 혹은 저 먼 나라를 그린 점에 있어서 '지금' 그리고 '현재'라는 실재에 비중을 두는 히니와 다르다. 예이츠를 궁중풍 시인 혹은 켈트의 무당 혹은 기사라 칭한다면 히니는 초기에는 아일랜드 역사를 파헤치는 고고학자, 중기에는 방랑 순수시인, 그리고 후기에는 과학자적 객관주의와 초월주의 시인의 면모를 동시에 보이는 점 때문에 예이츠에 비해 사실적 작가로 평가하게 된다. 그들이 그린 유토피아에 그리스 어원을 적용해보면 예이츠는 '어디에도 없는 곳'을 히니는 '좋은 곳'을 추구한다는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예이츠 이후의 시적 자세와 태도를 일견하면, 그의 시가 나중에 쓰여 지는 많은 시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예이츠 이후의 시인들은 그의 그늘에 있다. 그가 황소고 그들이 개미라는 뜻이 아니라, 하나의 태양이 어떤 지형에 하나의 그림자를 던진다는 뜻이다. 그리고 같은 땅 내의 한 부분에서 일한다는 것은 하나의 개미의 그림자가 보다 큰 다른 개미의 그림자와 겹치거나 우연일치가 되며, 그의 그림자의 윤곽은 앞으로 보다 큰 그림자가 나타날 때까지 기준이 된다는 뜻이다.
‘북사’명 토기 출토 건물지는 사비도성의 南北道路에서 동쪽으로 약 30m 정도 떨어진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이 건물지의 북쪽 1.5m 거리에는 인공으로 조성된 샘이 하나 있고, 여기에서 북쪽 2m 거리에는 동서방향으로 석축이 지나고 있다. 이 석축은 사비도성의 북쪽 경계를 표시하는 석축이다. ‘북사’명 토기 출토 건물지는 절반 정도만 조사 되었다. 규모는 남북 너비가 7.7m이고, 동서 길이는 4m만이 확인되었다. 동서 길이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남향의 건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건물지는 소형의 독립가옥 형태를 하고 있는데, 지붕에 와당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변에서 祭器로 사용된 듯한 특수한 토기들이 다량 출토되었다. 그런 점에서 祭祀를 거행한 신성한 장소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료에 의하면 백제는 사비도성내에 始祖 仇台廟를 모시고 1년에 4차례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北舍’명 토기 출토 건물지가 바로 그 始祖 仇台廟가 아닐까 생각된다.
세월호 침몰사고 초기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구조대응 실패에 대한 원인 중 하나로 현장지휘관의 판단실패를 지적하고 있다. 아직까지 최종적인 사고원인분석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으나 사고현장에서의 초동대응은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바다는 육지에 비해 위험성, 고립성, 제한된 정보, 전통적인 바다라는 권위적 조직문화 속에서 현장지휘관들은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지금도 바다에서는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시스타틴(cystatin: CST)은 C1A류 시스테인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경쟁적 가역억제자로서 동식물류에서 파파인과 같은 캐셉신을 억제 대상으로 작용하게 된다. 바이러스 유래 CST (CpBV-CST1)이 폴리드나바이러스의 일종인 CpBV (Cotesia plutellae bracovirus)에서 동정되었 다. 기존 연구는 이 유전자의 과발현이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유충의 면역 및 발육을 교란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이 유전자 의 단백질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세균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조합단백질(rCpBV-CST1)을 형성하여 단백질분해효소에 대한 활성억제효과를 결정하고, 곤충의 면역과 발육에 대한 생리적 억제효과를 분석했다. 이 유전자 번역부위는 138 개 아미노산으로 약 15 kDa 크기의 단백질로 추 정되었다. CpBV-CST1이 먼저 pGEX 발현벡터에 재조합되고, BL21 STAR (DE3) competent cells에 형질전환된 후 0.5 mM IPTG로 4 시 간동안 과발현되었다. 분리된 재조합단백질은 파파인에 대한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 재조합단백질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 대 해서 혈구소낭형성의 세포성 면역반응을 억제하고, 경구로 처리할 때 배추좀나방의 유충발육을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제한시켰다. 이상의 결과 는 CpBV-CST1이 해충 밀도 억제에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영제를 사용하는 CT검사에서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조영제 부작용 발생인자들을 분석하여 조영제 부작용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여 조영제 부작용 발생빈도를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하며, 병원 내 약물부작용 관리 업무에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병원의 진료 서비스의 향상과 영상의학과 종사자들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4개의 종합병원에서 조 영제를 사용하는 CT 검사 중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2010년 1월부터 2014년 7월 까지 전산으로 기록되어진 4,932명 중 변수가 부족한 데이터를 제외하고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 404명(이하 환자군)과 같은 기간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은 환자에서 조영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의 성별, 조영제 종류를 교차하여 무작위 추출을 한 404명 (이하 대조군)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위험 인자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영제 부작용은 계절에 따른 특성에서 봄에 검사한 환자보다 겨울에 검사한 환자가 조영제 부작용 발생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다른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영제 부작용검사 관련 특성에서는 일반적인 검 사보다는 Dynamic 검사 시 조영제 부작용 발생확률이 높게 나타났고, 조영제 사용량이 130ml 이상 시, 주입속도가 4F/R 이상 시 조영제 부작용 발생확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 로 모든 특성들이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계절적 변화에 따라 환자의 조영제 투입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매년 CT검사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조영제 사용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조영제 부작용의 일반적 특성뿐만 아니라 질병, 전처치, 심리적 요인, 기타 약물 복용, 등의 다양한 원인을 근거로 한 연구가 지속적 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조영제 부작용의 발생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number of CT gradually tends to increase, but radiation exposure includes higher exposure dose of patients than other test methods as the rate of 67% in the whole radiology tests. Exposure dose of patients has increased due to it and the second exposure has been done by scattered rays of other organs except for test sites. Especially, special shielding has not been done in gonad which is very sensitive to radiation in brain and chest CT. So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the second exposure dose of the gonad and how to shield it in Chest CT which does not include it. It was intended for 20 male adults who are 30 years old and conduct chest CT. SIEMENS’s SOMATOM DEFINITION AS* was used as CT equipment. For the scanning conditions, The tube voltage is 120kv, the tube current is 90mAs, and the slice thickness is 3mm as the general chest CT conditions. CHIYODA TECHNOL CORPORATION’s FGD1000 was used as Glass dosimeter (PLD). A lead pad of 0.25mmPb was produced as the shielding board.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hielding rate was compared by measuring exposure dose of the gonad before and after shielding and the usefulness of the shielding board was evaluated.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symphysis pubica before shielding was 280.5μGy and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coccyx was measured as 151.5μGy.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symphysis pubica after shielding the gonad with a lead pad of 0.25mmPb was 42μGy and the average exposure dose of coccyx was measured as 41μGy.
According to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t 2010, patient of breast cancer has been increasing constantly. Radiation therapy is method of treatment for breast cancer. Generally, radiation therapy technique of breast cancer is opposing 2 port. And It is using real wedge, dynamic wedge, FiF(Field in Field) technique, ISC(Irregular Surface Compensating) technique for uniformity dose in breast tissue. But each patient applied different method of surgery. In this study, It is to evaluation the usefulness of radiation therapy technique at each surgery technique. Subjects are tissue loss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non tissue loss after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mastectomy. Each subject applied 4 techniques of radiation therapy. Measurement tool used CI(Conformity Index), HI(Homogeneity Index), and QOC(Quality of Coverage) at suggest RTOG(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Case of tissue loss is useful dynamic wedge technique. Case of non tissue loss is useful FiF technique. Case of mastectomy is useful ISC technique. In the future, this study would use to selection standard of radiation therapy for breast cancer surgery. And selection standard would require additional analyzes of normal organ.
In this study, mammography was conducted with Lorad Selenia from HOLOGIC. The phantoms used were Female rando phantom from THE PHANTOM LABORATORY and ACR phantom from GAMMEX RMI. The dosimeters used were the glass dosimeter reader FDG1000 and PLD from CHIYODA TECHNOL. The shielding used to compare and determine the amount of scattered ray in this study were lead shielding gear with a thickness of 0.25mm from INFAB and a customized bismuth shielding with a thickness of 0.2mm(2 layers of 0.1mm). The conditions were 28kVp, 65mAs for CC view and 30kVp, 85mAs for MLO view. The exposure dose by scattered ray were measured from thyroid, breast on the opposite side and gonad (hereafter called critical organs) without any shieldings for the first experiment, then measured four times each with lead shielding for the next experiment, and measured four times each with bismuth shielding for the third experiment. The average dose for each critical organ without shieldings were 135.75μGy, 649.67μGy and 546.25μGy, With lead shielding, the numbers were 0μGy, 63μGy and 1.5μGy, and 6.25μGy, 12.25μGy and 26.5μGy with bismuth shielding. Therefore, the lead and bismuth shielding have reduced 95.364% and 93.550% of exposure dose. Use of shielding s during mammography reduces the exposure dose on critical organs and other organs of the patient, and despite the similar shielding rate, the new shielding using bismuth is useful in shielding thyroid and gonad considering the mobility of the patient, light weight and thickness of the shie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