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3

        781.
        199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45at%AI-1.6at%Mn 조성을 갖는 금속간화합물의 장시간 및 반복산화 거동을조사하기 위하여 반응소결법 및 플라즈마 아크 용해법으로 제조한 시편에 대하여 800˚C에서는 반응소결재와 용제재 모두 등온 및 반복산화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900˚C에서는 반응소결재의 경우에는 등온 및 반복산화에 대하여 우수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중량변화와 산화피막의 박리는 극히 적었다. 이에 비해 용제재의 경우에는 등온 및 반복산화에 의해 중향이 크게 변하였으며 피막의 박리도 극심하였다. 900˚C에 있어서 두 재료간의 이러한 산화거동 차이는 기지/산화물 계면 부근에 형성된 산화층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반응소결재의 경우에는 계면 부근에 연속적인 AO3O3층이 형성되며, 이러한 층이 산화에 대한 보호막으로 작용하는데 비하여 용제재에 있어서는 계면 부근에 AO3O3와 TiO2의 혼합층이 형성되었다. 용제재의 반복산화시에 보여진 피막의 박리는 냉각시에 TiO2와 기지간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열응력을 TiO2가 견디지 못하고 박리를 초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4,000원
        78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an effort to develop a cryopreservation system of immature and mature porcine oocytes. For this aim, the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and equdibration time on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oocytes by using trypan blue(TB) and fluorescene diacetate(FDA) test. The viability of frozen immature oocytes evaluated by TB tes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rozen mature oocytes. The viability(25.O%) after IVM of frozen-thawed immature oocytes greatly decreased that(42.9%) of oocytes just after thawing, but it was higher than frozen-thawed mature oocytes(15.8%). When immature oocytes were equilibrated for 10, 20 and 30 minutes before freezing the oocyte viability was 20.0, 31.3 and 42.9%, respectively. There was a tendency for long equilibration before oocyte freezing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immature oocytes and a short equilibration time for mature oocyte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viability index of frozen oocytes hetween the viability test methods, the index of TB test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DA test. The viability(FDA test) of frozen-immature oocytes with 3 different crtoprotectants was 22.2% for propylene glycol(PG), 9.3% for polyehtylene glycol(PEG) and 65.6% for PG+PEG, in which PG+PEG was more protective against freezing effect.
        4,000원
        783.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quality and viability of bovine blastocysts derived from in-vitro culture(IVC) of in vitro matured and fertilized(IVM-IVF) oocytes during their transport 2 hours. Follicular oocytes were collected form ovaries obtained at a slaughterhouse and were cultured for 24 hours in TCM-199. The IVM oocytes were fertilized in vitro with caudal epididymis spermatozoa. Fertilized oocytes were cultured for 7 to 9 days, and embryos that developed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The blastocysts, packed in straws with storage medium that consisted TCM-199 with HEPES equilibratd in air and supplemented with 10% FCS were transported at 39~(2.0 h). The quality of blastocysts was assessed and ranked as A(excel-lent), B(Good), fair or poor after transportation. The percentages of A and B grade blastocysts after transport duration for < 1 hours(97.7%) were similar to the result from transport duration for 1~2 hours (92.9%) and 2~3 hours(89.6%), but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transpot duration for 3~4 hours(76.3%). The percentages of A and B grade blastocysts after transport duration for two hours from developed blastocyst at 7day(100%) and 8day(85.0%) were higher 9day(96.6%) and >9day (40.0%). And early to expanded blastocyst produced in vitro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 cow by additional embryos at 7 and 8th day after AI. Three of them were pregnant to term and produced four twin calves, and two calves was premature birth. The gestation lengths of male to female and female to female twin were 282 and 281 days, respectively. And birth weight of twin calves were male to female(22.Skg) and female to female twin(20.3Okg), respectively.
        4,000원
        784.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78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돌연변이체인 or (orange body) 계통과 KNIH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계통의 바퀴(Blattella germanica (L.) (Orthoptera: Blattellidae)를 반자연적인 조건하에서 비디오와 컴퓨터 자료처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다. 휴식처에 머무르거나, 먹고, 물 마시며, 다른 개체들과 교신하는 행동을 관찰 할 수 있는 사각형의 관찰상자 내에서 수컷 성충을 개체별로 4~5일 동안 연속적으로 관찰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휴식처에 머무르는 시간과 방문 빈도를 분석하였다. 개체들 간의 변이가 상대적으로 컸지만 시험개체들은 휴식처에 전체 관찰시간의 47 -61%를 평균적으로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찰 개체가 휴식처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계통 사이에는 뚜렷하게 구분이 되지 않았다. 명암기의 차이는 두 계통 모두 관찰되었는데 휴식처에 머무르는 시간은 암기보다 명기에서 더 길었다. 휴식처 주변의 국소적 활동성을 나타내주는 방문빈도는 KNIH 계통보다 or 계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모계와 계통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방문빈도의 명암기 차이는 or 계통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KNIH 계통에서는 없었다. 개체들 간의 변이가 있었으나 동일한 모계 내에서 휴식처에 머무르는 시간이나 방문빈도가 유사하게 관찰되는 개체들이 있었다.
        4,300원
        789.
        199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ulmonary functional variations in relation to postural changes, lapse after changing position, and the use of abdominal band in the cervical cord inju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quadriplegic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the Rehabilitatio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Yousei University, from April, 1997 through May 3, 1997. A spiroanalyzer was used to measure pulmonary function in supine, standing, time after changing position, and recording to the position, application method, and tightness of the abdominal b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repeated measure one-way ANOVA,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ll phase of the patients' pulmonary function improved significantly in supine posture in contrast to standing (vital capacity by and expiratory reserve volume by ). 2. The longer the time lapsed from supine posture to standing, the patient's expiratory reserve volume,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creased. 3. When the patient lay in supine position, the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the forced vital capacity increased then the center line of the abdominal band was placed along iliac cres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tient was standing, placing the bottom line of the abdominal band along iliac crest increased the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4. In placing the abdominal band in the patients, leaving spa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lines of the band helped increased in maximum ventilation volume, vital capacity, and forced vital capacity for patient in supine as well as in standing. 5. When placing the abdominal band to patients in supine posture, reducing the length of the band by 2.5% along the patient's waist line increased the patients' vital capacity, while reducing the length by 10% to patients in standing increased the maximum ventilation volume. The abdominal band should be placed in such a way that the bottom part of the band should be more tightly fastened while leaving enough room for a hand to be placed in between the body and the band for the top part of the hand.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a supine position, the bottom line of the band should be placed along the iliac crest, while in standing, the center line should be placed along the iliac crest. The length of the band should also be reduced by 2.5% of the waist line in supine position, and in standing, the length should be reduced by 10%.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ulmonary function of the patients should be measured at least 10 minutes after one position change.
        5,100원
        792.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집중 질량 구조물의 천이응답에 대한 시간영역 민감도 해석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외부 가진에 따른 구조물의 응답에 미치는 설계변수 변화의 영향을 구하기 위해 시간영역 민감도 함수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간영역에서 구조물의 설계변수 민감도는 1차 표준 민감도 함수와 백분율 민감도 함수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민감도 함수와 그 계산은 설계변수에 대한 시스템 상태변수의 편미분에 의한 것이다. 또한, 직접 미분법에 의한 해석적 방법의 편미분 결과와 수치적 방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4,000원
        797.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랜덤한 축대칭 기하학적 초기결함을 갖는 원통이 축방향 충격하중을 받는 경우의 반경방향 변위가 임계기준치를 최초로 통과하는 확률론적 충격좌굴 파괴시간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랜덤한 기하학적 초기결함의 생성을 위해 초기결함의 평균함수 및 상관함수를 이용하여 확률장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실제적인 기하학적 초기결함이 갖는 불확실성을 취급하는데 적절하고 실용적이므로 이를 고려한 원통의 구조안전도해석에 이용할 수 있다.
        4,200원
        798.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설기의 기준조리법 설정을 백설기의 조리과정에서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친다구 생각되는 제반요인을 찾아냈고 그 요인들 중에서 가장 유의차가 크게 나타난 요인은 첨가하는 물의 양, 찌는 시간, 첨가하는 설탕의 양으로 나타났다. 그 중 첨가하는 물의 양과 찌는 시간과의 상호작용을 보면 제 Ⅰ보^14)에서 검토하였다. 다음은 첨가하는 설탕의 양과 찌는 시간과의 상호작용이 백설기의 texture와 기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계적 측정과 관능검사에 의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백설기 제조시 첨가하는 설탕의 양과 찌는 시간을 달리한 시료들의 기계적인 측정치를 분산분석한 결과 첨가하는 설탕의 양은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에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나타내었으나 찌는 시간, 설탕의 양과 찌는 시간과의 상호작용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백설기 제조시 첨가하는 설탕의 양이 15, 20%인 시료와 5, 10%인 시료간에 찌는 시간에는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첨가하는 설탕의 양이 많을수록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큰 수치를 나타냈다. 3. 찌는 시간을 20분으로 통일하고 설탕의 양을 달리한 시료들의 관능검사결과 첨가하는 설탕의 양이 15, 20%인 시료가 adhesiveness, sweetness, chewiness, overall quality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4. 관능검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된 시료들의 기계적인 측정결과는 대체로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큰 수치를 나타냈다. 본 결과와 제Ⅰ보^14)에서의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12시간 침수한 멥쌀에 1%의 소금(NaCl)을 첨가하여 분쇄한 후 10%의 물을 첨가하여 물내리기를 한 후 김이 오른 후 물내린 쌀가루에 15%이상의 설탕을 첨가하여 20분간 쪄서 만든 백설기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중 가장 중요한 조건은 첨가하는 물의 양이 10%이며 첨가하는 당이 설탕일 경우는 김이 오른 후 설탕을 섞어 바로 쪄야 하며 설탕의 양이 15%이상이라는 것이다. 이 조건은 대체적으로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가 큰 수치를 나타낸다.
        4,000원
        800.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investigate the percentage distribution and the time spent of dietetic activities and b) estimate dietitian's staffing needs in employee foodservices. In 6 employee foodservices, the dietetic activities were analyzed by work sampling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distributions of dietetic activities, delay and non-dietetic activities were 79.06, 20.39, and 1.55%, respectively; 2. The major activities of dietitians in employee foodservice were production management 21.00%, purchasing management 16.73%, record keepig 14.40%, and menu management 6.30%, 3. The total labor time per week was 3,310 min (55.16 hr) and specially the time spent on 13 dietetic activities was 2,626 min (43.77 hr). 4. The time spent per week on major activities of dietitians such as production management, purchasing management record keeping, and menu management were 693.93, 554.83, 483.99, and 205.22 min, respective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