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97

        1601.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nsors currently installed for bridge monitoring are faced with limitations in terms of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such systems in current long sized bridges, which are developing rapidly in terms of both size and functio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has been noted as an only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ch sensors. This is because they have numerous desirable characteristics that outweigh their high cost. However, GNSS installed for bridge monitoring has been used so far only in measurement of bridge displac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verify the usability of GNS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flection and temperature
        1602.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easured data of cable-supported bridge’s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were analyzed. To evaluate structural behaviors by temperature variations, measur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values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rmal movements and temperatures. Additionally, the cumulative displace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evaluation methods of cable-supported bridge's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suggested.
        160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화재를 입었을 경우의 최고 노출 온도 예측 및 화재손상 분석을 위하여 콘크리트 시험체에 대한 기기 분석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시차열분석 결과, 200℃까지는 모세관수 및 겔수의 증발로 인한 강한 흡열피크가 일어났으며, 520℃정도에서 수산화칼슘 (Ca(OH)2)의 분해로 인해 흡열피크가 생성되었고, 흡열 반응으로 인해 시료의 중량이 크게 감소되었다. 720℃정도에서 칼사이트 (CaCO3)의 분해로 인해 또 한번의 강한 흡열반응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X-선 회절분석 결과, 400℃까지는 Ca(OH)2가 존재하지만 600℃이상부터는 CH성분은 거의 소멸되고 CaO의 성분이 나타났으며, 온도가 높을수록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화재 시 콘크리트의 온도가 증가될수록 Ca(OH)2과 CaCO3가 분해되어 CaO로 변환되기 때문이며, Ca(OH)2와 CaCO3가 완전히 분해되어 피크가 없어지고 대신 CaO의 피크가 크게 형성되는 온도 범위를 약 700~800℃로 추정할 수 있다. 주사형 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고열에 의해 콘크리트를 구성하고 있는 시멘트 반응생성물에서 결합수 및 겔수의 탈수로 인해 콘크리트의 수축이 발생함으로써 미세한 균열이 전반적으로 심하게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보통 콘크리트가 열을 받으면 300℃부터 미세균열이 발생되어 500℃에서는 상당히 심하게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60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급성염증과 비슷한 지연성 근육통이 있을 때 초기 한냉치료를 적용함에 있어 냉기에 의한 냉각통증을 최소화하면서, 근육온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으로 냉기단독과 냉기와 적외선 조사 병용을 적용하여 피부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냉기와 적외선 병용치료의 효율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초음파를 통한 근 두께를 바탕으로 등척성 근기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냉기와 적외선 병용치료 시 냉기 단독치료보다 냉각통증의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냉각통증 자각 시점도 늦게 나타났다. 또한 충분한 냉기적용 후 피부온도가 재가온되는데 있어서 냉기를 2회 적용할 때가 1회 적용할 때 보다 더 느려지며, 냉기 단독치료보다 냉기와 적외선 광선 조사 병용치료 시 더 느려짐을 나타내어 2회 이상의 반복적인 냉기 적용이 냉기의 효용이 있다고 나타났다. 또한 상완이두근 두께 변화에 있어서 병용군이 대조군보다 더 크게 나타나 이 효과를 뒷받침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자료는 향후 급성염증이 있는 환자에게 한냉치료와 관련된 치료적인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고 근골격계 초음파 진단기를 활용하여 통증에 대한 자각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구체화되어 임상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보여진다.
        1607.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managing and storing methods of the seeds of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awa) Y.C.Chu, to examine the viability and the germination ability of seeds with different storing conditions and methods, and to develop new ways to propagate and have better healthy seedling. Therefore, the germination rate, days required for germinating seeds, and early growth responses of Aralia cordata var. continentalis (Kitagawa) Y.C.Chu were investigated with different storing temperatures, durations and methods.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stratified storage than that in dry storage condition.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with outdoor temperature at 30 days after stratified storage. The days required for germinating seeds were less than 10 days with the treatment of 25℃ and outdoor temperature in stratified storage. In dry condition, they were shorter with 4℃ and 25℃ than those with -20℃ and outdoor temperature. Leaf number of seedling was higher in stratified storage compared to that in dry condition, while it was not clearly different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s and durations.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seedling was no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of storage methods, temperatures, and durations. Stem length of seedling was higher in stratified storage than those in dry condition, while root length was not clear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t would be assumed that temperatures, methods and durations of storage could affect much to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early seedling growth response.
        1608.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the initial storage temperature and the PA film packaging on the extension of the shelf-lif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ostharvest storage quality of muskmelons were studied during their storage. Their storage quality was tested as follows: PA-film-wrapped muskmelons, stored at 2℃ or 7℃ for 30 days after their harvest, were kept at 10℃ for 27 days (total: 57 days). On the fifth day of storage at 10℃ (35th day overall), the weight loss reached 6.4% in the 7-control. However, the 2-PA showed the smallest loss of 2.2%. The soluble solids content and the acidity that were measured before the storage were 10.8 °brix and 0.26% in all the groups. After 27 days of storage at 10℃ (on the 57th day overall), the values were highest in the 2-PA group with 9.7 °brix and 0.15%, respectively. Microorganisms were not detected at first; but on the fifth day of storage at 10℃ (35th day overall), their values were 3.87 and 2.68 log CFU/g in the seven-control and the 2-PA,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2-PA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inhibiting microbial proliferation. In relation to sensory properties such as appearance, flavor, sweetness and chewiness, the 2-PA was superior to the other groups and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orability of muskmelon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low-temperature injury and fast storage quality deterioration did not occur in film-wrapped muskmelons that were stored at 2℃ for 30 days after they were harvested.
        1609.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variation of the stable region of lead ion in aqueous environment has been studi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based on its stable region at standard state by constructing Pourbaix diagrams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temperature range considered was between 278 ~ 338 K and the stable region of Pb2+ (aq) was observed to decrease as temperature rises, which was due to the decrease of the stable region of water and the increase of the stable region of solid lead hydroxide. The solid lead compounds considered were PbO(s), Pb3O4(s), and PbO2(s), and the pH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able regions of PbO(s) and Pb2+ (aq) was observed to be lowered with temperature. For Pb3O4(s) and PbO2(s), their stable regions were estimated to be enlarged as temperature is raised.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stable region of lead ion with temperature, in the application of the precipitating method for the treatment of lead ion in water it was considered to be more desirable to treat lead ion as its hydroxide form rather than its elemental form at higher temperature.
        161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를 달리하였을 때 생육반응, 수량성 및 isoflavone 함량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밭작물의 안정생산을 위한 재배기술개발에 활용하고자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월파종구는 6월파종구에 비해 콩 식물체의 생육이 왕성하고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약 40일까지 비교적 높은 상태가 유지되지만, 6월파종구는 개화 후 등숙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식물체의 수분함량이 개화후 30일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2. 6월 파종구는 5월 파종구에 비해 100립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고, 생육온도가 높으면 100립중이 증대되었으나 control + 5℃ 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어 파종시기 및 생육온도별 등숙 반응이 달랐다. 3. Isoflavone 함량은 5월파종구의 평균이 1201.8ug/g 이었으나 6월파종구는 1479.8ug/g 으로 5월파종구 대비 약 278ug/g 함량이 높았다. 생육온도에 따라서는 5월파종구 Mc + 3℃ 및 Mc + 4℃ 처리구는 isoflavone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Mc + 5℃ 의 isoflavone 함량은 오히려 낮았고, 6월파종구는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isoflavone 함량이 감소하여 파종시기별 온도처리 효과가 달랐다. 4. 생육온도가 높을수록 oleic acid의 조성이 증가되고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감소되었으나 palmitic 및 stearic acid의 조성도 생육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5. 주경절수는 isoflavone 함량 및 불포화지방산 조성에 모두 관여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주경절수와 isoflavone 함량과의 상관분석 결과 부의 상관관계(r = -0.661)가 있었고,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관계(r = 0.775)를 보여 주경절수가 증가되면 isoflavone 함량이 낮아지고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의 증가에 관여하는 형질로 판단되었다.
        1611.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danmuji samples stored at 5 and 25℃ were examined for three weeks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color, property of matter, and microorganisms of danmuji, and its sensory properties, during its storage. The difference in the brightness and redness of danmuji and danmuji filtrate as their storage period became longer was not big but was significant, and their yellowness decreased following storage at both 5 and 25℃. The hardness of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5℃ showed the greatest value at day 7 while that of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25℃ showed the greatest value at day 14. It was found in the examination of the total cell number of the stored danmuji that the total cell number was 105CFU/g, with almost no change, but in the case of the danmuji filtrate, the cell number increased from the latter part of the storage. The number of yeast fungi increased until storage day 7 for both the danmuji sample stored at 5℃ and that stored at 25℃. The cell number of danmuji did not change since then while the cell number of the danmuji filtrate constantly increased. As for the sensory properties of each stored danmuji, the overall taste preference was highest at storage days 14 and 21 (5℃), and the overall scent preference was high for the danmuji that had been stored for 7 days (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exture and color of and the overall preference for the danmuji stored at 25℃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got longer. All in all, the preference for the danmuji stored at 5℃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danmuji stored at 2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us, it is thought that 5℃ is more appropriate than 25℃ as the storage temperature of danmuji products.
        1612.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표는 신발 굽 높이에 따른 Kager씨 삼각 면적의 방사선영상 변화와 후종족부의 표면온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카이거씨 면적은 단순 방사선촬영검사와 인피니티 영상저장전송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후종족부의 표면온도는 전산화적외선체열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화 착용 대상자에게 신발 굽 높이가 다른하이힐을 착용시켜 카이거씨 삼각 면적과 후종족부의 표면온도 차이를 분석 하였다. 하이힐 대상자들은 운동화 대상자들에 비하여 카이거씨 삼각 면적이 0.88cm², 후종족부의 표면온도가 1.4℃ 각각 감소하였다. 최고신장과 최저신장의 카이거씨 면적과 표면온도의 차이는 운동화와 하이힐에서 각각 0.9cm²,1.2cm²,1.6℃,0.5℃이며 모두 미세한 차이를 나타냈다. 최고체중과 최저체중의 카이거씨 면적과 표면온도의 차이는 운동화와 하이힐에서 각각 1.8cm²,0.8cm²,1.1℃,0.2℃이며 체중이 높을수록 카이거씨 면적과 표면온도가 감소하였다. 하이힐 최장시간 착용자와 최저시간 착용자의 카이거씨 면적과 표면온도의 차이는 각각 0.8cm², 1.4℃, 이며 착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카이거씨 면적과 표면온도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하이힐을 장시간 착용하면 후종족부 통증과 혈류 장애를 유발 할 것으로 고려된다.
        161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백선’의 절화를 1단계부터 6단계까지 개화단계별로 수확하여 5℃, 20℃, 35℃의 온도조건에서 48시간 수송한 후 절화의 품질과 노화정도를 비교하였다. 35℃에서 수송할 경우 5℃의 저온 수송에 비해 개화단계별로 화폭이 작았고, 1~2단계에서 수확한 절화들은 5~6단계의 것보다 크게 작았다. 또한 2~6 단계에서 수확한 절화는 수송온도가 높아질수록 최대 화폭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이 2~8일 늦었다. 20℃와 35℃에서 수송한 처리에 비해 5℃에서 수송한 처리가 전체 개화단계별로 생체중이 높게 유지되었다. 개화단계에 따른 용액 흡수량은 4~5단계의 절화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5℃의 수송온도 처리보다 5℃ 수송온도 조건에서 흡수량이 더 많았다. 20℃와 35℃에서 수송한 처리보다 5℃에서 수송한 처리가 노화가 늦게 진행되었다. 노화율이 50%되는데 소요되는 일수는 절화가 35℃에 비해 5℃에서 수송했을 때, 1단계의 절화는 4.4일, 2단계의 절화는 3일, 3~6단계의 절화는 2.7일~3.7일 연장되었다. 따라서 국내 출하용은 6단계의 절화를, 일본 수출용은 3단계의 절화를 5℃ 조건에서 수송하는 것이 절화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는 오므려들었다. 꽃의 직경은 개화 1일째는 10시 정각에 7.6cm, 2일째는 7시 정각에 25.2cm, 3일째는 8시 정각에 23.7cm, 4일째는 10시 정각에 22.2cm로 최대치를 나타냈다. 꽃잎 수는 14개였으며, 3일째에 2개가 탈락되었으며, 4일째 12시 이전에 모두 탈락되었다. 꽃잎의 각도는 개화 1일째는 모두 직립하였으며, 1일째와 4일째는 하향된 꽃잎이 없었고, 2일째는 수평, 3일째는 직립형과 사립형이 많았다. 이와 같이 백련 꽃의 화형은 개화 후 경과 일수에 따른 각각의 특성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개화 상태별로 시청각 자료나 모형을 만든 후 시청각 자료 및 모형을 보면서 개화 이력을 추적할 수 있게 하면 무안 회산지 백련은 생태체험 관광 자원으로서 활용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1614.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중콘크리트 공사에 적용을 검토할 수 있는 초속경 콘크리트는 초기 급속한 발열반응을 통해 동해를 입기 전에 소요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열 보상을 통해 시공환경이 유지될 경우 강도발현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 콘크리트는 영하의 기온에서 타설할 경우 양호한 경화를 얻을 수 없으며, 저온에서 동해를 방지하고 경화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한방동제를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내한방동제의 대부분은 염화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를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의 동결을 방지하고 시멘트의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응결시간을 단축하고 초기강도 증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장기재령에서 강도발현이 문제가 되고,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연구되고 있는 마그네시아 인산염 복합체는 초속경성이 있고 저온에서도 수화반응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새로운 한중공사 및 극한지용 건설재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중공사 및 극한지에서 사용이 가능한 건설재료의 개발을 위한 사전 연구의 일환으로서, 마그네시아 인산염 복합체를 활용한 모르타르에 대해 온도의 영향을 고려한 재료 물성 평가를 실시하고 적정 배합을 제안하고자 한다.
        1615.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initial setting of mortar containing 0.2% xylitol and 2% sodium phosphate dibasic dodecahydrate was found to become fast. And a initial setting of mortar containing 0.3% xylitol was found to become slow. Also, mortar containing xylitol and PCM can reduce of maximum temperature and increase compressive and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the plain mortar and mortar containing blast-furnace slag.
        1616.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finger joints have been more popular than rail type joints due to their many merits: easiness to maintain, low noise, etc. However, finger joints have some demerits to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amage of finger joints installed at a curved PSC box girder bridge.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damage of finger joints of the curved bridge is caused by thermal expansion and imperfect installation of the joints.
        1617.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프레이 국화 ‘Leopard’의 절화를 1단계부터 5단계까지 개화단계별로 수확하여 5℃, 20℃, 35℃의 온도조건에서 48시간 수송한 후 절화의 품질과 노화정도를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1, 2단계에서 수확한 절화는 5단계에서 수확한 절화에 비해 최대 화폭이 2~4mm 작은 것으로 나타나 꽃이 작음을 알 수 있었다. 수송 온도가 35℃로 높았을 때 개화가 지연되었고, 또한 처리 26일째 이후로 화폭이 급격히 작아졌다. 개화단계가 낮을수록 생체중은 가벼웠으며, 2~4단계에서 수확한 절화는 처리 후 30일까지 전반적으로 5단계의 절화에 비해 10~15g 정도 낮게 유지되었다. 또한 5℃와 20℃에서 수송한 것에 비해 35℃에서 수송한 처리에서 생체중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송온도에 관계없이 개화가 많이 진행된 절화일수록 총 흡수량이 많았고, 수송온도가 낮을수록 절화의 총 흡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단계에 관계없이 5℃ 수송온도 조건에서 노화가 가장 늦게 진행되었으며, 35℃ 수송온도 처리에서 노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었다. 5℃와 20℃의 수송온도 처리에서는 1단계에서 수확한 절화가 5단계에 비해 노화율이 50%되는데 소요되는 일수가 각각 5.4일과 5.2일 길어졌다. 따라서 일본 수출용은 3단계의 절화를 5℃에서 수송하는 것의 절화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