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recipe for muslim-friendly halal Korean foods through investigation of awareness of Korean foods, taste evaluation, and menu preferences. After Korean foods’ menu range and standard were set up for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halal food experts were conducted, 35 kinds of halal Korean foods were examine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05 foreign Muslims living in Jeonjusi, Jeonbuk and Gimpo-si, Gyeonggi who ate Korean foods. Foreign Muslims were male workers in their 20’s residing in company housing, and their monthly mean income was 1.01~2 million KRW. The majority of subjects responded that meal problems were the most difficult in everyday life. Concerning the taste of Korean foods, the response rate of ‘sweet’ and ‘spicy’ was high while ‘Korean food is healthy’ and ‘Korean food ingredients is fresh’ were high for awareness of Korean foods. ‘Bulgogi’ was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selected Korean foods, which wa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formation on Korean foods that can be made with food ingredients certified as halal and their recipes through various media for foreign Muslims who have limitations on in meals due to religious factors.
이 연구는 포스트모던 시대 다문화적 상황에서 한국교회가 마땅히 지향해야 할 성규범이나 가치가 무엇인지 찾고, 더 나아가 한국교회 내 목회자의 성윤리 의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결혼 관련 주제들(독신, 이혼, 재혼, 혼전동거, 혼전순결 등)에 대한 관련 집단의 의견을 면밀하 게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 독신, 이혼, 재혼, 혼전동거/순결 등 결혼 관련 주제에 대하여 관련 집단(기독교대한성결 교회 소속의 목회자와 평신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율은 78.7%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했고, 빈도와 백분율, 평균값을 산출하여 분석하였 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목회자 성윤리 문제는 목회자의 물질욕, 권력욕 다음으로 매우 심각한 이슈로 나타났다. 2) 목회자의 성 도덕 타락 정도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3) 목회자와 평신도 상당수는 독신 반대 (71.1%), 이혼 반대 (75.1%), 재혼 찬성 (86.7%), 혼전동거 반대 (87.6%), 혼전순결 찬성 (82.7%) 의견을 보였으며, 그 이유를 성경적 근거에서 찾았다.
좋은 수업에 대한 기준은 수업의 주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중등 교사를 대상으 로 이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이란 무엇이며,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수업컨설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첫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은 무엇인가, 둘째, 현장 교사가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을 구분하여 이해하고 있는가, 셋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의 효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넷째, 현장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의 개선 방향 은 무엇인가 등 넷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심층면담기법을 활용하였는데,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화성시에 근무하고 있는 수업컨설팅 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일반교사 2명, 수업컨설팅 경험이 없는 경력 10년 이상의 일반교사 2명, 교내·외에서 수업컨설턴트 역할을 하는 수석교사 2명 등 총 6명 이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은 학생과 교사가 좋은 관계로 소통하는 수업,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수업, 학습자의 수준이 반영된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이들은 수업컨설팅이 수업장학에 비해 부담감이 적고, 수업에 대한 평가보다 수업을 개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수업 컨설턴트가 상대적으로 권위적이지 않고, 참여과정에서 행정적 부담이 적다고 생각하였다.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사들은 이 과정을 통해 수업의 철학과 방법의 변화를 경험 하는 긍정적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수업컨설팅의 한계로 수업공개에 대한 부담감, 비자발적인 컨설팅 참여, 컨설턴트의 역량부족, 단발성 컨설팅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수업컨설턴트의 역량 강화, 교사의 실제적인 행정업무 감소,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수업컨설팅 등을 제안하였다.
Nutrition labeling can provide information in order for people to select products suitable for their own health, and sodium content labeling for processed foods is important since sodium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cardiac diseases. This study had carried out to propose the desirable sodium content labeling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awareness of sodium content in processed foods, understanding of sodium content labeling, and requirements for new sodium comparative claims. The survey period was from 12th of September, 2016 through the 24th, during whic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1,003 persons through demographic quota sampling by age and reg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66.0% of respondents assuring nutrition labeling answered they check sodium content labeling, whereas 83.2% were aware of excessive intake of sodium having a negative effect on health. Exactly 49.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rrent system for nutrition labeling on processed foods does not help on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sodium, whereas 72.9% answered they wanted to compare sodium contents with those of other products when buying or taking processed foods. As 92.5% cited the importance of sodium comparative claims made by processed foods, preparation of a new system for food labeling should be considered by which consumers can easily compare sodium contents with those of other similar produ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food according to the ethnic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Korean food was preferred by Korean-Chinese as compared with Chinese students, and Korean-Chinese students preferred Korean food more than Chinese food. Both Korean-Chinese and Chinese preferred Korean food more than traditional Chosun food. More Korean-Chinese than Chinese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of Korean food, which included foods made with jang, kimchi smell, and healthiness due to diversity. For evaluation of Korean food taste, more Chinese than Korean-Chinese subjects thought Korean food is not greasy and hoped salty taste. Both awareness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fo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Chinese than Chinese students. Meat foods (so-galbi, dak-galbi, jang-jorim) were relatively high in terms of preference in both Korean-Chinese and Chinese students. Moreover, Chinese students preferred Korean traditional foods (sujeonggwa, yakgwa, gangjeong). In Korean- Chinese students, Korean representative traditional foods (kimchi, jangajji) and Korean traditional holiday foods (tteokguk, mandu-guk) were relatively low in terms of prefere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traditional food culture of Korean-Chinese has been maintained in Yanbian, whereas there is a change in the young gener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food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6 (124 males and 182 females) students. The preferences for Chinese food (44.7%) and a combination of Korean (32.0%) and Chosun food (12.4%) were similar, and Korean food was more preferred than traditional Chosun food. The main reason for preferences for Korean food was taste. The perception of Korean hot spices and kimchi smell was not good, whereas positive perceptions where held for foods made with jang, new Korean food experience and healthiness of Korean food. Awareness of Korean food was in the order of bibimbap, kimchibokkeum- bap, gimbap, baechi-kimchi and ttoe-bbokki. Preference order was bulgogi, so-galbi, jang-jorim, dak-galbi and dewaeji-galbil. Meat foods and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relatively high, whereas kimchi, ttoe-bbokki and bibimbap were relatively low in terms of preference. More female than male students preferred Korean food, and the perception of new food experience and healthiness of Korean food were positive. Moreover, both awareness and preference related to Korean foo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than male stud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foundation to prepare a localization strategy of Korean food to China.
목적 :연구는 2014년 개정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내용과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 고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연구방법 :전국 각 지역에 있는 237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2015년 12월 25일부터 2016년 04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의 일반적 특성과 개정된 노인장기요양보 험제도의 인식에 대한 모든 항목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 :연구결과 개정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 식도가 높은 집단은 남성 작업치료사, 연령 32세 이상자, 수도권 거주자 집단이 높았고, 인지활동형 프 로그램 제공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에서는 프로그램 교육과 복지용구 제공을 우선 순위로 인식하였 다. 작업치료사가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의 우선순위에서는 시설급여가 가장 높았고 방문목욕이 가장 낮 았다. 작업치료사의 인식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법으로는 87명(36.7%)이 전문자격증 제도 도입이라고 응답하였다.결론 :본 연구는 개정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관심과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교육과 인식개선에 도움을 주어 발전된 작업치료서비스 제공 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Deep learning techniques are being studied and developed throughout the medical, agricultural, aviation, and automotive industries. It can be applied to construction fields such as concrete cracks and welding defects. One of the best performing techniques of deep running is CNN techniqu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lassification of handwritten images using CNN technique before applying them to construction field. Deep running is generally more accurate with deeper layers, but analysis cost is high. In addition, many variations can occur depending on training options.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a parametric study to be a reference when CNN technique was applied through accuracy analysis according to training option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직업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안경사가 직업으로서 사람들에게 어떻게 인지되는지 확인하여 안경사의 직업지위와 직업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의 안경광학과를 제외 한 45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0일부터 5월 1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불성실하고 오류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400명의 설문을 이용하여 SPSS 18.0으로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안경사의 사회적 인식(하위 요소- 직업자부심, 직업전망 및 직업전문성)과 직업존중감(하위 요소- 정당대우, 긍정적 가치 및 상대적 우위)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인식의 요소인 ‘직업자부심’은 ‘정당대우’와 ‘긍정적 가치’ 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둘째, 사회적 인식 중‘직업전문성’은 ‘정당대우’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직업 존중감’의 요소 중 ‘정당대우’와 ‘긍정적 가치’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안경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여 안경사의 직업 존중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체, 대학, 안경사 개인이 정당대우 및 긍정적 가치 부여에 대한 인식 및 제도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량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요즘 하나의 해결 방안으로 곤충 사업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곤충이 미래 식량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짧은 시간 안에 대량사육이 가능 하며, 인수공통전염병이 없으므로, 질병, 전염병 우려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사육으로 인한 환경 파괴가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식용곤충을 사육하는 농가는 8백 곳으로, 1년 만에 5배 넘게 늘었으며 농촌진흥청은 곤충산업 규모가 2020년 2조~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렇게 커져가는 식용 곤충 산업에 대해 사람들의 곤충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10대부터 40대 이상의 연령층을 조사하여 다양한 연령의 선호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유년기 시절 지역을 조사하여 지역에 따른 곤충의 선호도 정도를 조사하였다. 온라인 400명 오프라인 400명으로 표본 집단의 크기를 충분히 하였다. 해당 설문 조사에서는 유년기 지역보다는 성별로 식용 곤충 섭취 경험이 나뉘어 졌다. 향후 식용 곤충 섭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지만 가공된 식품으로 대중화 한다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분 인식과 정서 표현이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부적인 관계를 약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우선 정서 표현은 학업 스트레스와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정서표현성은 학업스트레스와 학업 적응 간의 부적 관계를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런 효과는 학업 스트레스가 심할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기분 인식의 두 요인인 기분모니터링과 기분명명 화가 학업 스트레스-적응 간의 관계에서 보이는 다른 양상인데, 두 요인이 모두 학업 스트레스-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과는 다르게, 기분 모니터링은 둘 사이의 관계를 조절한 반면 기분명명화는 조절효과 없이 주효과 만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기분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스트레스 많은 상황에서 학업 적응에 도움이 되었고, 본인의 기분이 무엇인지 명명하는 것은 스트레스의 수준에 관계없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기분 모니터링과 정서 표현이 학업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해야 하는 경우 인지적 행동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이 함께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