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8

        241.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e sociocultural significance of architectural journals produced in the 1970s during which a fundamental reconsideration of architectural discipline has been made. To this end, we established a method of analysis adap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journals of that period. In this formulation, the relative autonomy of architectural journal with regard to various actors and institutions involved in its production emerged as a major criterion for the analysis of a journal. From this methodological reflection, we analyzed two French architectural journals, AMC published between 1973 and 1981 and l’Architecture d'Aujourd'hui between 1974 and 1977, which were produced both in close relation with parisian architectural schools (UPA) in the context of reestablishment of architectural education and beginning of architectural research in France after the events of May 1968. If these journals reflected and strengthened the architectural reality and especially the social network of their protagonists, it is equally important to note that they have transformed it into cultural network, and this by the mechanism proper to their preparation and their textual organization.
        5,100원
        24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꽃장식의 전문성을 체계화하기 위해 수행 되어졌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미지 형용사가 질감 성, 색감성, 시대성, 장식성의 4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진다. 요인별 꽃에 대한 분석을 보면, 질감성에 있어서 는 질감성이 가장 높은 꽃은 흰색 칼라꽃이 2.00으로 나 타났으며, 로코스퍼럼은 −1.90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 타났다. 색감성에 있어서는 색감성이 가장 높은 것은 노랑색 장미가 1.70로 나타났으며, 안개꽃은 −2.40으로 색감성이 가장 낮았다. 시대성에 있어서는 시대성이 가장 높은 꽃은 천일홍이 2.00이었으며, 로코스퍼럼은 −3.00으 로 시대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식성에 있 어서는 장식성이 가장 높은 종류는 아가판서스가 2.50로 나타났으며, 헬리코니아가 −2.0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 다. 각 요인별 상관관계를 보면, 색감성과 시대성이 상 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색감성과 시대성이 꽃장식을 할 경우 가장 중요하다고 해석되었다.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는 색감성이 가장 높고 다 음으로 질감성과 장식성, 시대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것은 소비자들이 꽃장식을 할 때, 색감성과 질감성에 치우치다보면 시대성에 대한 중요도가 간과되기 쉬워 진다고 생각되었다.
        4,000원
        243.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에 비해 열악할 수 있는 2년제 대학생들의 진로인식․탐색․준비를 기초로 졸업 후 취업을 향상하는데에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의 취업지도 및 진로지도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강화 대책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취업률을 향상시키고자 학교차원과 학과 차원으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취업률 향상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학교차원으로의 방안으로 첫째, 취업정보센터의 원활한 운영이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취업정보센터의 업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원이나 직원의 순환보직도 학교 내부의 효율성 측면을 보았을 때에는 생산적이겠지만, 전문적인 인력을 고용하여 학교취업을 극대화하는 것을 고려해야한다. 둘째, 학생역량강화시스템의 도입이다. 즉 최근에 정보공시제, 취업률 공개, 성과지표방식 적용, 교육역량강화사업 등 정부의 대학 평가 및 재정지원 기준이 강화되었는데, 이에 학생 입장에서는 입학에서 졸업까지 진로탐색-진로설계-경력관리-진로상담-취업지원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도교수는 담당학생들의 진로, 경력, 적응, 중도탈락 위험요인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 진로지도 및 상담을 지원하는 시스템 필요하고 대학에서는 중장기적인 학생 역량 인프라 구축, 타 대학과 차별화되는 핵심 서비스 필요, 진로/역량/취업 서비스의 통합적 관리 등 다양한 업무 지원 및 학생 관리 서비스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취업박람회 개최를 고려할 수 있다. 취업박람회는 후원 기관의 협조 및 세미나 행사(IT,전기전자업종협의회 MOU체결) 등과 연계하여 기업체 경영자 및 기관 일자리 담당자 방문으로 실질적인 협력체 관계를 마련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다음은 학과차원으로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첫째, 현장실습-직업체험(Job Shadowing)의 효율적 운영이 요구된다. “현장실습” 교과목의 강조이며, 지도교수의 업체 방문을 통해 현장교육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둘째, 취업교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시 진로지도시스템(L.C.P.)으로서 지속적인 진로정보를 제공하고 취업 및 진로에 관련한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시간에 주 1회 이상 진로 및 취업관련 상담과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6,000원
        244.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사회복지사 자격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주장에서 멈추지 않고, 관련 법령의 개정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수요를 조절하고, 나아가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계기로 삼고자 하고 있다.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의 이수해야 할 의무교과목 수를 늘리고,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강화를 통해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하며, 사회복지사 1급· 2급 자격증을 국가시험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단일사회복지사자격제도’ 등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의 움직임은 찬성하고, 적극적으로 동참할 일이지만, 앞으로 닥쳐올 대학입시자원의 감소, 사회복지사 2급 자격제도의 시험제 전환, 보육교사 2급자격증관련 이수 의무 교과목 수의 증가, 정부의 대학구조조정 교육정책 등은 2년제 전문대학에게는 큰 위기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열고 전진할 수 있는 기회임에도 틀림없다. 따라서 2년제 전문대학은 이 같은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이며, 자발적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전문대학의 장점인 단기성, 현장(업무)중심성, 전문성, 평생교육친화성 등을 살려, 다양한 사회복지분야의 복지업무특성을 파악하여 분야별, 업무별, 대상별로 전문화하고, 사회복지현장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며, 현장중심의 맞춤교육의 실현에 중심을 두어 교육과정을 개선해 나간다면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분명히 발전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4,800원
        245.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sed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the take-out coffee shop. The switching barrier was also studied as a moderating effect.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customer loyalty and switching barriers. A lot of previous studies interest only in customers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analysed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switching barriers and brand loyalty. Eventually, service quality significantly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s, brand loyalty and marketing performance. SERVQUAL model which was established by PZB (1988) was used as a service quality factors. Th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was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dditional factors of switching barriers was classified based on previous studi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factors of customer loyalty among switching barriers. In the result, we can find that the importance of tangibles, responsiveness in service quality factors and contract cost, search cost and continuous cost in moderating effects.
        4,300원
        246.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power blogs that serve as professional source of information and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the criteria for the certification and selection of power blog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configuration of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categories of the power blogs. Eleven domestic blogs were examined, of which ten were certified as power blogs on several portal sites and one blog was operating in English. Furthermore twelve foreign blogs were examined, of which ten blogs were selected from the graded list of www.alexa.com for the Fashion Power Blog TOP 20 adopted on www.telegraph.co.uk in 2009, and two noticeable blogs were selected additionally. Data were analyzed by both theoretical and exploratory studies. The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by fourteen majors, who took interest in the blogs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look at the domestic and foreign sites, from 12 October to 12 November in 2010. The types of blogs were classified by frequency analysis of interactivity, interest provis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purchase capability. The investigators checked the type of the contents of each blog and the frequencies were used for the classification typ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requencies were in the order of information provision, followed by interest provision, and purchase capability for foreign blogs, while interest provision was followed by information provision for domestic blogs. Interactivity, interest provis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purchase capability were generally reflected in foreign blogs. Rather than interest provis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however, interactivity and purchase capability were reflected relatively weakly in domestic blogs.
        5,200원
        247.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omote use of nutrition labels, degrees of awareness, use, and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ing on eating-out menus were investigated by a self-recorded questionnaire from May to July 2010 in 629 participants who visited four bakery chains (n=409) and three ice-cream chains (n=220) located in Daejeon. Of the subjects 53.4% were female, 68.8% aged 20~29 years, and 59.3% visited bakery or ice-cream stores 1~3 times per month. Only 38.2% of participants had knowledge of nutrition-labeling mandates for eating-out menus, and 74.9% had seen labels before in bakery and ice-cream stores. Most subjects understood calorie amount and daily value of sodium very well, but they fail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aily value. Only 21.2% of the subjects understood nutrition label information completely. Of the participants, 46.7% read nutrition labels in bakery or ice-cream stores when purchasing. Among the subjects who read the labels, 77.2% (36.1% of total subjects) referred to the label information when selecting a menu and 46.9% (21.9% of total subjects) had experienced altering their menu choice based on the information. Exactly 53.3% of subjects answered they did not read nutrition labels since they were not interested or had no time, or because the labels were not noticeable. Satisfaction of the place, timing, and format of nutrition labels at bakery and ice-cream stores fell below average overall. Many subjects wanted trans fat and cholesterol to be added to the labels. In conclusion, degrees of perception, use, and satisfaction of nutrition labels at bakery and ice-cream stores were still low. More effective publicity and consumer education about nutrition labeling will be necessary, and bakery or ice-cream companie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nutrition labeling such as providing format and place.
        4,300원
        250.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uggested specific and practical marketing strategies to coffee shop managers and customers to create a symbiotic relationship. The coffee shop's relationship to reliability, commitment, and shop loyalty was analyzed thoroughly.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393 coffee shop customers in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customer reliability about coffee shops improved as reputation, customer orientation, specialty, and tie increased, but reliability was reduced as the size of the coffee shop became larger. Commun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liability. Second, customer reliability positively affected commitment, so commitment increased as customer reliability increased. Third, customer reliability positively affected shop loyalty, so shop loyalty increased as customer reliability increased. Fourth, customer commitment positively affected shop loyalty, so shop loyalty increased as customer commitment increased.
        4,200원
        251.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recently became evident that the EFL need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could not be met by the then-current complement of teachers.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versational English Instructors in the public school system. This growing demand for EFL instructors in our nation‟s public schools requires an obligation to examine the selection criteria and process for incoming EFL instructors. Based on our analysis of a nationwide survey of EFL Instructors, we recommend reforms to the selection process system. A total of 199 EFL instructors in secondary schools including those in Seoul, metropolitan cities, medium-sized cities, and small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The survey considered the entire EFL Instructor selection process including the 1st step of applicant specifications, the 2nd step of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test and interview test.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selection criteria should include the applicant‟s proficiency test score in spoken and written English, and the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should be emphasized in a greater exten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way of testing the applicants‟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in the 2nd step selection process should be changed into a more authentic microteaching situation, and that regional needs vary and must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6,900원
        253.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한 협치 기제로써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운영이 의무화되고, 2010년 현재 1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종결 및 2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에 도래하였다. 하지만 1기 평가의 미진, 파행적 계획과정의 답습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구속력, 강제력 강화를 위하여 사회복지조직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의 G구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중심 거버넌스 이론, 조직요건 및 전문적 관료제적 측면에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관 중심의 편협한 위원선정, 관 중심적 협의체 영향력 행사 등의 문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적 관료제 측면에서는 지방자치단체 주무관이 상근간사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대표협의체-실무협의체-실무분과의 계층적 조직구조를 부정하고 개별적인 조직으로서의 활동을 조장하고 있었으며, 관계 중심적․의무감의 조직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구성원의 역할 법제화를 통하여 위원들의 자주적 활동을 보장하고, 민간간사 또한 관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정기적인 교육과 사업 평가의 공식화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비단 서울의 G구 뿐만 아니라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 활성화에 밑거름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7,700원
        255.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256.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운영 및 평가체계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하여 고도화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이용자와 전문가로 구분하여 이용자는 사업자 및 엔지니어, 전문가는 항해사, 도선사, 관제사, 공무원, 전문직ㆍ 교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2010년 7월 26일부터 8월 16일까지 각각 94부, 95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및 상관분석, 빈도 및 교차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도시행전 66%가 사업수행의 어 려움을 경험하였는데 진단제도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도의 홍보부족은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제도시행전 평가결과의 불신에 대해서는 진단인력의 교육훈련을 통해서, 진단대행의 활성화를 위해 자격증 제도 신설, 제도활성화를 위해서는 사후진단 및 신규사업의 추가 지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3,000원
        25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isk level for each construction work can be very important factors to establish advanced prevention measures. But it is important how to produce it. There are three different methods to set it up for construction situation. They are as follows; 1) occurrence frequency = the number of accident workers of each work kind / yearly accident workers 2) occurrence frequency = the number of accident workers of each work kind / yearly workers 3) occurrence frequency = the number of accident workers of each work kind / the total workers All these three concepts(=averaged concept)are analyzed. Additionally frequency based on discrete curve, and severity based on continuous curve are also combined for producing risk level with more scientific approach. This risk level can be very useful to make prevention plan or take measures at construction sites. This is study result can change existing risk level concept to new concept of it, namely rail way work and in-water work showed be high risk level and RC work be low risk level, different from the situation which we have thought commonly, so far.
        4,000원
        26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반적인 보조공학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교과목을 조사함으 로써 작업치료사의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의 자격요건을 확인하고 나아가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 심화과정 에 필요한 교육과목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보조공학 전문가 집단 9명을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을 통해 수집된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국내 작업치료(학)과 및 재활공학과에 개설된 교육과목을 참고하여 최종 설문 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9년 8월 17일부터 12월 18일까지였으며, 설문 회수율은 1차, 2차, 3차 모두 100%이었다. 결과 : 작업치료(학)과 개설과목 중 작업치료사가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자격을 갖출 수 있는 과목으 로 (재활)보조공학, 기능해부학, 일상생활동작, 스프린트 등의 14과목이 상사분위인 75%이상의 응답률을 보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교과목에는 노인작업치료학, 근골격계 작업치료학, 인지 재활 등의 7과목이 상사분위에 선정되었다. 전반적인 보조공학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 심 화과정에 가장 필요한 교과목은 주택 및 직장환경 개조 과목으로 나타났다(88.9%, 77.8%).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필요한 과목들을 학교 교육과목에서 습득하고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복지용구 급여 서비스를 포함한 다양한 보조공학 서비스에서 작 업치료사의 역할을 구체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의 역량을 증진 시키기 위한 보조공학 서비스 전문가 심화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보조공학 서비스 심화과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