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8

        44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aimed to compare the sensory ability of experts and untrained to evaluate three rice varieties by using five sensory evaluation methods. All paneli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ensory abilities to distinguish among Haiami, Chucheong, and Dasan 1 rice varieties when using the duo-trio test and triangle test. The expert panelists showed a clear preference in the following order: Haiami > Chucheong > Dasan 1, when using the paired comparison test, ranking test, and multiple comparison test. However, the untrained panelis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ensory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the Haiami and Chucheong varieties when using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The results indicate that, for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by untrained panelists, the paired comparison test is suitable for evaluating two samples and the ranking test is suitable for evaluating more than two samples.
        44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마트 모바일 시장은 사용자가 많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언어에 주목하여 디자인 환경과 사용 자 경험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곳에서 디지털 생활정보, 문화 및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스마트 모바일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모바일 앱(App)은 다양한 기능을 탑재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이는 커뮤니케이션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국내 다수의 커피전문 점들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보 제공을 위한 앱을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시중의 커피전문점 앱이 사용 자 측면에서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GUI콘텐츠를 중심으로 디자인 조형요소를 분석하 고 더 나아가 발전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분석대상은 2016년 4월까지 애플의 앱 스토어(App Store) 및 구글의 구글 플레 이(Google Play)에서 제공하는 커피전문점 앱 중 다운로드 수 및 커피브랜드 선호도와 리뷰를 조합하여 총 3가지로 선정되 었다. 그 후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 및 GUI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레이아웃은 수평형으로 일직 선 1~2줄 형태의 스타일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아이콘은 픽토그램 형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텍스트는 가독성이 높 은 고딕체를, 컬러는 고유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잘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을 사용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시각적 조형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최종적으로 앱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목표 로 한다.
        446.
        2016.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엑스티(주)는 2004년 원가절감형 이엑스티 파일Ext Pile을 개발 한 이후 연구개발 전담부서를 통하여 원가절감, 공기단축, 친환경 적인 공사 실현을 위해 많은 노력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끊임 없는 연구개발과 신제품 개발을 통해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초·지반분야에서 종합적인 컨설팅 전문기업으로 각종기술인증 및 건실 신기술을 획득(제684호)하였다. 또한, 이엑스티(주)의 주력제품인 이엑스티 파일Ext Pile은 지난 12 년간 총 13,000km가 시공되면서 공사비 3,700억 원을 절감 하였으 며, 공사기간을 약 36년 단축하여 국내·외에서 대형 건설기업과 건 설현장의 엔지니어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447.
        2016.04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선족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전문성 발달정도와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 달 정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연령, 학력, 경력과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높으며 이는 근무기관, 학력, 자격증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 정도와 직무만족도는 높은 정적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조선족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혹은 유아교사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448.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Wee클래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을 사용 하여 학교상담의 주요 관련자(stakeholder)로서 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상담교사 제공 서비스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초 점질문을 바탕으로 서울, 인천, 경기 지역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10명(남자 3명, 여자 7명) 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 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가 인식하는 도움요소는 총 12개의 군집으로 ‘군집 1. 자문 및 조언’, ‘군집 2. 심리적지지’, ‘군집 3. 정보 획득’, ‘군집 4. 교사 간 협력’, ‘군집 5. 상담환경 조성 및 홍보’, ‘군집 6. 외부기관 연계’, ‘군집 7. 예방 활동’, ‘군집 8. 위기 개입’, ‘군집 9. 학생과 공감적 관계 형성’, ‘군집 10. 상담교사의 전문성’, ‘군집 11. 학부모 상담’, ‘군집 12. 중재’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5점 리커트 척도)는 ‘군집 8. 위기 개입(M=4.60)’이 가장 높았고, ‘군집 12. 중재(M=3.75)’가 가장 낮았다. 반면 불만족요 소는 총 7개의 군집으로 ‘군집 1. 학생에 대한 지나친 허용적 태도’,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 ‘군집 3. 수업 중 상담의 문제’, ‘군집 4. 교사 대상 서비스 부족’, ‘군집 5. 상담교사 부족’, ‘군집 6. 상담 업무의 비공개성’, ‘군집 7. 상담교사의 역량 부족’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군집별 중요도 는 ‘군집 5. 상담교사 부족(M=4.30)’이 가장 높았고, ‘군집 2. 비밀보장의 문제(M=3.60)’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교육의 측면에서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과 제한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449.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유치원 교사의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 다. 현직 유치원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그들이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 는지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이 루기 위하여 6명의 유치원 교사들과 3번씩의 개인면담, 그리고 1번의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그들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유치원교사로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자료분석은 해석학적 현상학에 기초하였다. 6명의 교사들에 의하면 전문직, 전문가, 전문성은 서로 관련되어 있었다. 교육과 훈련, 높은 보수, 공공에 대한 봉사,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과 특별한 지식이 전문 직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 훈련, 경험, 보수, 일에 대한 열정, 능력과 한계 알기,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것이 전문가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열정, 직업에 대한 사랑, 일에 대한 뛰어난 능력 이 전문성의 정의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용어의 정의와 그 정의들이 유치원 교 사들에게 의미하는 바를 찾고자 시도해보았다.
        450.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도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국․공립 단설 및 병설유치원, 사립유치원 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교직전문성 인식에 따른 상·중·하 집단의 인식을 보면 모든 집단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주된 목적은 ‘교육의 질 향상’으로, 가장 필요한 사항은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도구’를, 불필요한 사항은 ‘업무과중으로 인한 수업 불충실’로 나타났다.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는 교직전문성 인식의 상·중·하 모든 집단 교사가 ‘수업실행’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은 ‘기준점수를 정하고 그 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 우수교사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교사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동료 교사 간 갈등과 위화감 조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결과는 교원 스스로의 전문성 향상 자료로 활용되어져야 하며, 전문성과 자질 이 우수한 교사는 학습연구년제 등 특별연수 기회를 부여해야 하고, 전문성과 자질이 부족한 교사는 현장 근무와 동시에 부족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별 맞춤형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조치로써 교원능력평가에 따른 업무경감을 위해 행․재정적 지원체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유치원 교원능력개 발평가의 전면 실시에 앞서 유치원 교육의 신뢰와 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평가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제도의 안정적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451.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 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미국 남부에 위치한 F 대학교 예비교사 40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척도, 교사헌신 척도, 전문성 지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적합도 지수인 χ2/df=3.07, CFI=.98, RMSEA=.07, SRMR=.03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최종모형에서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은 전문성 지향성과 교사헌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전문성 지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전문성 지향성의 중요성을 통한 교사헌신을 교사 양성 과정에서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455.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디자인 전공 분야에서 학생들이 현장 경험을 통해 실무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 지역사회경험학습인 CBL(Community Based Learning) 학습 모델을 고찰하고 그 질적 효과를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디자인과 지역사회경험학습’ 과목은 동의과학대학교 디자인계열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었다. ‘디자인과 지역사회경험학습’ 교과목으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이론과 지식을 실제 현장에 직접 적용해보고, 프로젝트 결과물을 수업 시간 중에 발표한다. 그리하여 시각 디자인 직무의 현장 실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경험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 실무와 관련된 CBL은 시각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전공능력과 직무 관련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NCS 기준에 의한 학생 일지 분석, CBL 관련기관 평가, 포트폴리오, 자격증 취득 결과 등을 통해, 본 논문의 교육설계와 그 설계에 따른 실행이 학생들의 전공능력과 현장실무 능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456.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된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이 정부에 의한 강력한 행정적 통제와 수요자 중심 개혁 논리를 기반으로,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정체성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교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대안적 논의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직을 보는 전통적 관점과 전문직 기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토대로 교사에 대 한 행정적 통제 강화에 따른 교직의 비전문화, 탈전문화, (감정)노동자로서 교사 개념의 발달 등 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직의 전문성을 재정립, 강화하기 위한 대안적 논의들로 Lauglo(1995)의 신전문주의, Whitty(2000)의 협동적·민주적 전문성, Hargreaves와 Fullan(2012)의 전문적 자본 개념을 제시하였다.
        457.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교직이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교육수준(교육대학원생, 대학생)에 따라 교직핵심역량, 교수능력 및 교직전문성 열망에 차이가 있는지, 이들이 지닌 교직핵심역량이 교 수능력과 교직전문성 열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경로모형이 교 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생들이 대학생들에 비해 교직핵심역량과 교수능력 및 교직전문성 열망을 높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교직핵심역량은 교수능력과 교직전문성 열망에 직・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능력은 교직핵심역량과 교직전문성 열망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 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수준에 관계없이 교직을 이수하고 있는 학생들 모두 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는 교직이수 학생들의 교직핵심역량 강화 구 축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8.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D) in Korea using teacher samples from the first and second cycles of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in School Education. Using chi-square tests and t-tests, we found 1)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non-content-focused PD; 2) middle school teachers had a decreasing pattern of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mixed results in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and 4)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ed to participate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 than middle school teachers. More support for both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needed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content-focused PD more a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