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51

        241.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즙장은 중국의 조리서에 수록되지 않은 순수 우리나라 속 성장으로 많은 종류가 있었으나, 보존성 문제로 대부분 맥이 끊겨서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조선시대 및 1950년 이전 조리 서의 즙장을 조사하여 밝혔다. 그 중 가지와 오이 등의 채소를 넣는 즙장은 34 가지, 넣지 않는 즙장은 9가지였다. 즙장의 주 재료는 콩과 밀기울이며, 보리, 메밀도 쓰였다. 즙장메주는 빨 리 뜨게 하기 위하여 일반메주보다 작게 만들었는데, 작은 알 형태가 가장 많고, 납작하거나 둥근 칼자루 형태도 있다. 즙장 은 메주가루를 소금과 물로 이겨서 담그는 것이 가장 많다. 함께 쓰는 것으로는 누룩가루, 밀기울, 밀가루, 술, 말장, 간장, 엿기름, 탁주 등이 있다. 즙장메주는 용기에 넣어서 띄우는 것 도 있고, 넣지 않고 띄우는 것도 있는데, 용기는 섬과 둥구미 가 가장 많고, 버드나무그릇, 치룽, 독도 사용하며, 즙장메주 의 깔개 및 덮개는 닥나무 잎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외에 짚, 북나무잎, 뽕잎, 가랑잎, 솔잎, 콩잎도 사용한다. 즙장은 다 른 장과 달리 말똥, 두엄, 풀더미에 묻혀서 이들이 썩으면서 내는 60~65℃의 열로 가열하여 숙성시킨다. 즙장은 맥이 끊기 거나 쩜장, 지례장, 무장, 빠금장, 막장, 집장, 토장 등의 형태 로도 변하였다. 이들 장은 즙장에서 사용하지 않는 쌀, 엿기 름, 고춧가루 등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4,600원
        24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대한민국의 백두대간보호지역 (baekdudaegan protection area)은 지형, 기후, 토양, 수문 등의 자연환경과 생물이 축 을 이루는 거대한 자연생태계이다. 이 지역은 생물의 서식 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산림자원 및 종다양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이곳은 산림자원 중에 자원식물이며 전통지식의 가치가 있는 약용식물이 있다. 덕유산 권역의 백두대간보호지역은 전통의학에 기초한 약용식물 보고가 미흡하여 그 연구의 필요성 때문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 사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한반도 전통의학 (동 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의 수재품목)의 약용식물 (관 속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확인된 전통의학 약용식물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 출현의 전통의학 (동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 약용식물은 45과 (family), 78속 (genus) 94분류군 (taxa)이었으며, 종 (species) 이하의 계급 분류는 86종, 7변종, 1품종이었다. 이를 문 (phylum) 단위의 상급분류로 구분하면 양치식물문 (pteridophyta)은 석송 강 1분류군 (1.1%), 고사리강 2분류군 (2.1%)이며, 나자식 물문 (gymnospermae)은 2분류군 (2.1%)이고, 피자식물 문 (angiospermae)은 쌍자엽식물강 77분류군 (81.9%), 단 자엽식물강 12분류군 (12.8%)이었다. 가장 많은 분류군이 출현하는 과는 국화과 (9분류군, 9.6%)이었으며, 다음으로 미나리아재비과 (8분류군, 8.5%), 백합과와 장미과 (각각 6분류군, 6.4%), 초롱꽃과와 참나무과 (각각 4분류군, 4.3 %) 순이었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 출현의 전통의학 약용식물 중 자생식물은 89분류군 (94.7%)이었으며, 침입식물은 5분류 군 (5.3%)이었고, 침입식물 중 귀화외래식물 2분류군 (2.1%), 식재식물 3분류군 (3.2%)이었다. 이용부위에 따른 전통의학 약용식물은 뿌리가 32분류군 (34.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전초 28분류군 (29.8%), 뿌리줄기 19분 류군 (20.2%), 잎과 줄기 각각 15분류군 (각각 16.0%), 열매 14분류군 (14.9%), 종자 9분류군 (9.6%), 꽃 5분류군 (5.3%), 가지 3분류군 (3.2%), 기타 2분류군 (2.1%) 순이었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 출현의 전통의학 약용식물을 의학고서별로 보면 향약집성방은 94분류군 (100%)으로 가 장 많았고, 다음으로 동의보감 73분류군 (77.7%), 방약합편 67분류군 (71.3%) 순이었다. 그리고 전통의학 약용식물의 의학고서별 유사성은 유사도지수 0.96을 나타낸 동의보감 과 방약합편이 가장 비슷하였으며, 다음으로 유사도지수 0.87의 동의보감과 향약집성방, 유사도지수 0.83의 방약합 편과 향약집성방 순이었다. 향약집성방, 동의보감, 방약합 편에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약용식물은 67분류군이었 으며, 이는 전통의학 약용식물 총 94분류군의 71.3% 비율 이었다. 덕유산 백두대간보호지역의 한반도 전통의학 약용식물 은 94분류군이었으나 광범위의 약용식물은 인접지역의 연 구를 종합할 경우 종류가 많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곳은 전통의학 약용식물 이외에도 현대의학 (대한민국약 전) 약용식물 및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광범위의 약용식물 조사가 따라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24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Beoseonbongip is a pouch that holds patterns for making Beoseon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esthetic and symbolic contents of the embroidery patterns by analyzing the kind, combination types, expression and arrangement types of patterns. In total, 140 Beoseonbongip artifacts, which were mostly made in the Joseon Dynasty, we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bout 83% of the total had flower patterns. Various kinds of embroidery patterns used for Beoseonbongips were newly identified. About 73% of the total had different kinds of patterns. Pattern combination types were identified by the kinds of patterns, the number of paired patterns, and the traditional painting styles used. The patterns of Beoseonbongips were expressed schematically more than realistically or abstractly. Beoseonbongips with different patterns on the four triangle tips of the front face and Beoseonbongips with the same/similar patterns on two opposite tips of the front face were observed more than the other types. On the back face, the embroidery patterns were symmetrically arranged, showing various division structures. It was inferred that wishes (e.g., marital harmony, fertility, good health and longevity, happiness, and wealth and fame) were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patterns embroidered on the Beoseonbongips. In terms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he union with nature, the harmony of yin and yang, symmetric balance, and neatness were also emphasized as a esthetic characteristics of Beoseonbongips.
        5,700원
        244.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전통민가건축은 다양화의 특점이 있다. 중국은 국토가 광활하고 다양한 지리환경이 있으며 따라서 생산생활방법과 종교신앙은 직접적으로 부동한 민족과 지역의 주거문화를 이루었다. 이런 다양한 전통민가건축은 중요한 역사문화유산으로 매우 높은 기술과 예술가치를 가진다. 북경전통사합원은 길림조선족주민은 각기 화북지역과 동북지역의 대표적인 건축으로 이들은 제각기 다른 지역요소와 기후요소의 영향을 받았고 따라서 서로 다른 지역특점을 가지고 있다. 이외에 문화학습 전통재료 및 민간 기예 등 면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런 차이점은 서로 다른 주거문화의 특성을 보여준다.
        4,300원
        245.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택은 삶의 형태는 물론 인생의 철학이나 가치를 반영한 것이다. 또한 한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려면 다른 나라의 문화도 이해 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한 중 일 아파트 평면의 비교는 큰 의미가 있다. 한국 , 중국 , 일본의 현대적 주거 특성을 비교하여 상대적인 정체성을 도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경우 공통점을 공유하면서도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독자적인 주택형태를 발전시켜 왔다.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급속한 인구증가에 따라 한국과 중국 일본이 함께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거유형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적인 공간의 개념으로 현대 사회의 아파트의 평면을 살펴 보았을 때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공간을 구획함에 있어 이러한 환경이 모두 영향을 끼친다고 가정한다면 한국 중국 일본의 아파트 평면을 비교하려는 시도는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도 전통 공간에 대한 이해방식의 하나의 사례를 선택하여 특성을 살펴 보았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고, 특히 영토가 넓은 중국의 경우 다양한 아파트 평면이 나타나고 있음을 감안해 볼때 이와 같은 비교 작업의 경우는 의미가 약화될 수도 있지만,본 연구에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평면 특성의 일반화를 모색하기 보다는 앞으로 각국의 특성을 반영한 평면의 개발을 모색할 수 있는 출발점 내지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4,000원
        25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rai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utilizing different Mit-sool, Juk, Seolgi-tteok, and Godubap, to produce traditional liquor. In all experimental plots, pH and amino acidity tended to increase with duration of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displayed a very high number on the second day but then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Sugar contents were highest on the fourth day and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Alcohol content increased sharply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increased gradually. On the 15th day, traditional liquor made with Godubap recorded the highest alcohol content. Common free sugar components were glucose and sorbitol. Common free organic acid components were lactic, succinic, citric, tartaric, malic, and acetic acids.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six alcohols, five esters, three aldehydes, and two ketones. Regarding overall acceptabil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traditional liquor using Seolgi-tteok as Mit-sool scored the highest. Overall, even though different types of Mit-sool ha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or sensory evaluation scores.
        4,000원
        25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일제국은 러시아 정교 교회 전통에 대한 패러디 위에 구축되어 있다. 단일제국은 2×2=4에 근거한 무류한 지식(신앙)에 근거해 만장일치의 선거(부활절)를 통해 은혜로운 분(여호와)에 의해 통치되며 보안요원(수호천사)들에 의해 수호되는 세계이다. 그리고 이 단일제국는 I-330을 비롯한 불복종하는 파편화된 오만한 개인인 메피들, 즉 ‘영혼’이라는 병이 든 사람들(교활한 뱀과 악마, 반그리스도교도들)이 재판제(예배식, 종교재판), 수술, 가스종과 처형 기계로 진압되고, 자유, 그림자, 욕망, 웃음이 존재하지 않으며, 행복과 구원과 미소가 머무는 국가이다. 이 안에는 선악에 대한 선택의 짐으로부터 해방되고 구원을 받은 순진무구하고 복종적인 D-503과 O-50과 같은 이들이(아담과 이브) ‘우리들’로 살아가며 석유식품(그리스도의 빵)과 교리강의기(율법), 시간 율법책(성상)으로 일상을 영위하는 지상낙원(기독교의 낙원이자 단일교회)인 것이다. 영원한 혁명을 꿈꾼 자먀찐은 엔트로피의 세계를 깨고 새로운 역사의 발생을 지향하는 에네르기의 세계, 악마와 반그리스도교도의 편에 서 있다. 그런 점에서 그는 도스토예프스키보다는 니체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7,000원
        25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在這幾年連續去世了韓國兩位在野漢學家-許棌和李雨燮。他們都繼承儒家傳統學問,終身實踐儒家教訓以外,中間不斷綴文賦詩,又竭誠講學,其門徒早已成爲桃李滿天下。 韩国的汉学,继承了两千多年的传统,这么长久的时间里,汉学及儒学都成为韩国文化的枢纽,不但杰出的汉学家也数不胜数,而且儒家思想一直奠定了韩国统治理念及个人道德价值规范。我们认为这也就是韩国传统文化本源之一。 不过到了现代,西方的文物盖住了全韩国,传统学校一律被淘汰,全国设立西式学校,教西方的文物以代替传统学问,现在的初学到大学里都难以看到我们自己的了.虽然如此,但是还有些人继承传统文化及学术,在巷间里独自研磨,不過并没受到学界的注目, 我们叫他们‘在野学人’。他们两位都在釜山地区作了讲学等学问活动,不幸2006年与2007年两位相继去世,只相隔一年的时间,继承传统学问的两大学者又成了过去的人物。 他们也表现了学问就是以实事求是、经世致用的现实精神。在做人方面就要实践圣人的教训,在文章方面则要能缀文赋诗,这两方面都要俱全,这就是他们终身实践的态度。 他們是在韓國繼承漢學的最後一代,他們終身注重學問的實踐,和我們現代學者大爲不同。現代人主要談理論,不求實際,空理空談多。在此透過兩位傳統漢學家的實踐精神來提供檢討現代學問的端緖,就是本文的主要目的。
        6,100원
        257.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jeonggwa” is a traditional korean beverage made from dried persimmon, cinnamon, and ginger and is oftengarnished with pine nu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ingredients, recipes, and processingof “sujeonggwa”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since 1400. The name sujeonggwa is derived from jeonggwa. In the early1600s, sujeonggwa was used in ancestral rites and as a reception beverage, although we don't know its cooking method.According to the literature of the early 1800s, sujeonggwa was made from various fruit ingredients such as pear and yuzu.But since the late 1800s, it has been mostly made from dried persimmon based on ginger and cinnamon boiled with water.Garyeon-sujeonggwa is made with lotus leaf while japkwa-sujeonggwa is made with pear and yuzu. Japkwa-sujeonggwa issimilar to hwachae in terms of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
        4,300원
        258.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ditional cuisine reflects cooking traditions shaped by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haracterized by authenticity and uniqueness. Traditional food is not only a part of our cultural heritage but also a knowledge resource. Application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reviewed from six points of view, including food preservation, fermentation, changes in food materials, utilization of food functionality, and packaging and development of cooking appliances. Books from disparate times were chosen in order to cover a wide range of material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ood preservation and ferment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various food materials. Combination of science and skills contributes to the accessibility of diverse food materials and better quality foods. Koreans use assorted and resilient plants, which have an abundance of functional substances such as food materials. Among cooking appliances, microwave oven and refrigerator are the most innovative products with huge influences on food eating patterns as well as lifestyle. Packaging effectively reduces post-harvest preservation losses, and better packaging has technical improvements for storage and distribution. Kimchi was chosen as an example in order to study technolog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vailability of Kimchi cabbage, enrichment of functional ingredients, identification of useful microbial species, standardization of recipe for commercialization, prevention of texture softening, introduction of salted Kimchi cabbage and Kimchi refrigerators, and packaging were reviewed. The future of traditional foods in the market will be competitive. First, traditional foods market should be maintained to protect the diversity of food materials. Secondly, tailored foods for individuals should be considered using foods with functional properties. Information on health benefits would provide insights into health and traditional food products. Third, speedy transfer of new technology to the traditional food industry is needed to ensure food quality production and new opportunities in the market. Fourth, safety of traditional foods should be ensured without sacrific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ly important foods. Improvement of logistics, distribution, and facility should be carried out. As demand for convenience foods increases, traditional foods should be developed into products.
        4,000원
        25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education on improving preferences to Korean traditional foods in upper grades schoolchildren. The education group consisted of 184 children (4th=65, 5th=50, 6th=69),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35 children (4th=40, 5th=55, 6th=40). Each group was selected from a different school in Changwon. In the education group, 12 lessons were implemented using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sensory education. For the evaluation, pre- and post-surveys were performed in each group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Variables i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elf-efficacy, subjective norms, cognitive attitude, food neophobia scale, eating frequency, preference, intake experience, and nutrition knowledge. After education, the knowledge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However, self-efficacy (p<0.01), subjective norms (p<0.01), cognitive attitude (p<0.001) and food neophobia scale (p<0.001) changed significantly in only the education group. The intake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food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in either group. However, the preferences and intake experience of the foods, which were offered in class and school meals, changed significant in only the education group. In conclusion, dietary education based on sensory education may be useful for developing a positive eating attitud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in children.
        4,500원
        26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rospect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pecification of modern factory-made traditional Korean roof-tile. Its another purpose is to analyze the specification of watong(瓦桶, a wooden molding frame for roof tile making) which is recorded in the literature of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specification of modern factory-made Korean roof-tile that currently used was established in 1978. And it did not succeed old traditional specification. Second, in case of construction or repair of main building of palace, it was a principle to use Daewa(大瓦, the big size roof-tile). And Sangwa(常瓦, the ordinary size roof-tile) was used when needed. Also, Jungwa(中瓦, the middle size roof-tile) was used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building. And Sowa(小瓦, the small size roof-tile) was used in house and wall of royal tomb. Third, it is needed to establish a specification of traditional handmade roof-tile based on the specification of watong through research of the litterateur. So, a standard draft for this was proposed. Finally, one can find the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a specification of traditional roof-tile that can be applied to construction or repair of cultural heritage.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