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74

        110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economic value of Multi-functionality Roles including landscape and so on, which traditional stone fences in Korea possess, using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DC-CVM). The stone fences is life cultural heritance of regional residents. It has functions like Development of Favorable Landscapes,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 and Recreation/Relaxation. Expectation from regional visitors shows that the existence and inheritance value of the stone wall is higher then we expe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at we had done from the people that had agreed to contribute the stone wall. moreover the public commercial value of regional tradition stone was not only 2,900 billion won but also it will increase an economic gain in every year. Therefore, preserving the stone wall that has Multi-functional Roles and values can lead to huge economic value in the future. But farmhouses in the stone wall conservation area are being supported 9 billion won in every year. This is only 0.03% of the income that farmhouse earns per year. Thus, stone wall preservation policy and plan can raise green-tour commercial value of inland area as a long-term inside measurement. Those will have to be propelled continuously.
        1104.
        200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occurrence of fog are analyzed using 4-years (2000-2003) data at Chuncheon. From the analysis of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the fog at Chuncheon occurred before sunrise time and disappeared after that time and lasted for 2-4 hours. When fog occurred, on the whole, wind direction was blew the northerly and wind speed was below 2.1 m/s. Especially, about 42 % of foggy day fell on the calm(0~0.2 m/s) conditions. The difference between air temperature and dew point temperature near the surface were mainly less than 2 ℃. For the lack of water surface temperature, the water surface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using Water Quality River Reservoir System (WQRRS). In Chuncheon,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fog day and outflow from Soyang reservoir and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air and cold outlet water temperature.
        1106.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및 일본에서 육성된 벼 품종을 고온 저장시 저장기간에 따른 발아율, 이화학적 특성, lipoxygenase의 활성 및 이들 상호관계를 검토하였다. 1. 고온저장(35℃ )시 발아율, 현미 단백질,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은 저장기간 및 품종 간 차이가 크게 있었으며 두 요인의 상호작용도 인정되어 저장기간별 품종 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2. 고온저장에 의한 현미 단백질,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던 반면, 발아율 및 도요식미치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지방산도와 발아율 간에는 부의 상관이 지방산도와 lipoxygenase의 활성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17개 품종을 발아율,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을 고려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I군에 속하는 품종은 오대벼, 상미벼, 운광벼, 일품벼, 남평벼, 일미벼, 동안벼, 중산벼, 추청벼, 히또메보레, 고시히까리 등 11개 품종으로 비교적 발아율이 높고 지방산도 및 lipoxygenase 활성이 낮았다.
        1107.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veral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destrians and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recognition on management of street trees and green spaces along street sides. The followings were main results of this study. Both pedestrians and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mostly perceived positive influence of street trees on urban environment and their business. In addition, pedestrians gave higher scores of positive influence of trees function than those of commercial business men and employers. Pedestrians showed strong intention to participate management activities of street trees or green spaces. This study indicated that negative perception on street trees came from improper management rather than existence of street trees. Therefore, more intensive management actions are needed.
        1108.
        200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local agenda 21 of Daegu City based on the evaluation model and propose important measures to solve its problems and improve the limitations. As a whole,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ocal agenda 21 of Daegu City showed very low score, only 151 points out of 500 points and revealed it was below the level in all three domains of making process, designed content, and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The making process got only score below the half in all large indicators of understanding, driving, and rationality. This unsystematic and irrational process inevitably resulted in ambiguous and proclamatory content mainly expressing willingness to do. This fact means that the local agenda 21 of Daegu City has not served as the comprehensive local environmental plan containing visions, policies, ends and means. It did not suggest evaluation system and institutionalization of evaluation. These results of evaluation suggested that the existing local agenda 21 of Daegu City was neither useful nor effective and thus the totally new local agenda 21 should be prepared. Finally, important measures in making process, designed content and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were proposed for the remaking.
        110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which can analyse local agenda 21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from the making process to the designed contents. The evaluation model was devis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local agenda 21 and designing the evaluation system composed of evaluation domains, related indicators and scales. The evaluation system was carefully constructed based on planning theories and the discussion and agreement of specialists regarding local agenda 21. This model has three evaluation domains of process, content, and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with different weighting values. Each domain contains large indicators, medium indicators and small indicators. Each indicator has different weighting value according to its importance. Basically, each small indicator was scored by 3 or 5 point scale. This evaluation system can not only analyse local agenda 21 quantitatively, but also find out good points, problems, and limits of various phase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local agenda 21.
        1110.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렁이 생체에 대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74.8%, 조단백질 12.7% 및 조지방 0.6%의 함량을 보여 고단백 저지방의 식품재료로써 그 이용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우렁이를 껍질, 내장 및 근육 3부분으로 분류하여 무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우렁이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P, Ca, Mg 및 Na이었으며, 그 중 껍질 및 내장, 근육모두에서는 Ca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중요한 Ca 급원으로 이용 가능하다.
        1111.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 콩 품종육성 및 유전자원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콩 주요품종 46계통 및 보존 유전자원 517 계통의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변이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콩 주요 품종의 지방함량 범위는 15.8%~20.3% 였으며, 평균 18.2%를 나타내었고, 지방함량이 가장 낮은 품종은 1986년에 육성된 보광콩이, 가장 높은 품종은 2000년도에 육성된 새별콩으로 조사되었다. 2. 한국산 콩 주요 품종 46계통의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포화지방산인 C16:0 및 C18:0의 경우 각각 8.96~13.23% 및 2.55~4.20% 범위로 존재하였고, 불포화지방산인 C18:1, C18:2 및 C18:3의 범위는 각각 16.33~36.41%,42.32~58.84% 및 6.98~10.72% 를 나타내었다. 3. 국내 보존 유전자원 517계통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C16:0은 8.50%(IT 154681)~14.78% (IT 154558), C18:0은 1.86%(IT 022331)~4.78% (KLG 10738), C18:1은 13.29%(IT 178710)~43.30% (IT 154657), C18:2는 38.21%(IT 156004)~61.51% (IT 178710) 및 C18:3이 5.03(IT 188085)%~11.48% (IT 153412)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4. 콩 함유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에 속하는 C16:0 및 C18:0은 불포화지방산인 C18:1과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인 C18:1은 다른 종류의 불포화지방산인 C18:2 및 C18:3과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고, C18:2와 C18:3 사이에는 고도의 정의상관이 인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12.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protein maize(QPM) 육성계통의 화학적 특성과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KS5/QPM 계통의 BC1F2 및 KS135/QPM 계통의 BC1F2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opaque-2 specific micro-satellite marker인 umc1066를 사용하여 QPM 26계통을 선발하고 non-QPM 34계통을 공시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QPM계통은 non-QPM계통에 비하여 지방함량이 유의하게(p<0.05) 증가되었으나 단백질함량은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2. QPM 계통과 non-QPM 계통 모두 linoleic acid(Cl8:2)의 조성비가 가장 높고 oleic acid(Cl8:1), palmitic acid(Cl6:0), linolenic acid(Cl8:3), stearic acid(Cl8:0)의 순으로 지방산 조성비가 높았다. 3. QPM 계통은 non-QPM 계통에 비하여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다소 높고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non-QPM 계통에 비하여 조성비가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QPM 계통은 non-QPM 계통에 비하여 lysine의 조성 비율이 높고 황함유 아미노산(cystine, methionine)의 비율이 증가되었다. 5. QPM 계통의 필수아미노산의 조성비율은 28.1%였고 non-QPM 계통은 27.1%로 QPM 계통이 영양학적인 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114.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최근 발생한 집중호우와 이상강우를 고려하며 인천지역에서 사용중인 확률강우강도식에 대한 새로운 확률강우강도식을 제안하였으며,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지속시간 10분24시간까지의 임의시간 연최대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개의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방법, Kolmogorov-Smirnov 검정방법, framer Von Mises 검정방법으로 적합도 검정과 함께 최근 강우에 대한 경향을
        1115.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재래 야생콩 70계통들의 종실 성분들을 분석하여 활용 가능한 야생콩 계통을 선발함으로써 나물콩 품종 육성의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 범위는 35.6-47.9~% , 평균은 42.3~% 였으며, 13계통은 45~% 이상인 고단백 계통이었다. 조지방 함량은 2.8-18.0~% , 평균 10.2~% 로 3~% 이하인 2계통을 찾을 수 있었다. 2. 지방산 조성에서 16:0은 11.1-44.6~% , 18:0은 3.0-11.4~% , 18:1은 11.1-30.6~% , 18:2는 12.4-59.5~% , 18:3은 1.1-17.3~% 범위였는데 특히 18:3 조성이율이 극히 낮은 2계통을 발굴하였다. 3. 조단백질은 조지방 및 지방산과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고, 조지방은 16:0, 18:0함량과 고도의 부의 상관이, 18:2와 고도의 정의 상관을 그리고 16:0과 18:0, 18:1 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18:2와 18:3과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1116.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Mogchotan(the mixture of charcoal and pyroligneous acid, 80:20, w/w) supplementation on fattening performanc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at in pigs. The present study was also stress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utilization of charcoal and pyroligneous acid as a livestock feed additive.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in pigs fed the Mogchotan supplemented die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fatty acids composition, palmitic acid(C16:0) contents of Mogchotan treatment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Mogchotan supplementation increased C16:1, C18:0, C18:1, C18:2 and C18:3 contents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igs. Also, Mogchotan supplementation groups decreased saturated fatty acids level than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Mogchotan supplementation showed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s value, especiall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value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carcass pH of pigs fed the Mogchotan tended to be higher than control,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water hold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igs fed the 3.0% Mogchotan-supplemented diet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 groups(p<0.05). Altogeth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dietary 1~3% of Mogchotan supplementation improved the fattening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pigs.
        1117.
        2005.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피루리나 첨가 저지방 샐러드 드레싱을 또는 에서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드레싱의 점도는 저장 2주후부터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유화안정성은 제조직후의 에서 저장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여 저장 8주후에는 정도 감소하였으며, 저장 온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방구의 입자 크기는 저장 30일까지는 제조직후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75일 후에는 가장 작은 크기인 는
        1118.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종실의 유분함량이 많아 유료작물로 전용이 가능한 대표적인 섬유작물인 대마 종실의 지방산조성의 분석을 통하여 감마리놀렌산 함유여부 및 함량과와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였다. 45 수집종의 대마 종실에는 감마리놀렌산의 경우 평균 2.1%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중 IH4 등 7 품종이 3.1%~3.8%로 높으면서 경장이 31~122 cm로 작아 종실용 품종 육성재료로 유망시 되었다. 도입된 대마의 지방산 조성 변이에서 감마리놀렌산 비율 범위 및 변이계수는 각각 0.8%~3.8%, 42.9%로 품종간 변이가 가장 컸으나 리놀레산은 각각 51.4%~61.8%, 4.2%로 가장 적었다 개화일수와 경장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었고, 개화일수와 알파리놀렌산 비율 및 경장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 상관이었으며 환각성분인 THC와 다른 형질들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 팔미트산과 감마리놀렌산 비율간에는 부의상관, 올렌산과 알파리놀렌산 그리고 리놀레산과 알파리놀렌산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감마리놀렌산 함량이 높은 도입종들은 대체로 수집지가 중앙러시아 등 유럽이었고 개화일수가 29~44일로 짧았다.
        1119.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만인과 당뇨병환자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특용식이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킨 쥐에게 유기농현미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하고 각종 기능성 요소가 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50여종의 식품원료를 조성으로 한 분말형 식이를 급여한 후 혈장 glucose 농도 및 지질구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당뇨유발 후 28일동안 각 처리별 식이를 급여한 결과 정상군에서는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당뇨유발군 모두에서 감소했다. 당뇨유발군중에서는 특용식이 100% 처리군에서 체중감소가 가장 많았다. 혈장 중성지질총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특용식이 50%, 100%에서는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특용식이 50%, 100%에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HDL-cholesterol량은 전 처리군에서 30mg/dl 대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각 처리에 따른 일정한 변동경향을 볼 수 없었다. LDL-cholesterol량은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 최저치를 나타내어 정상군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여타 처리군들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를 유지하였다. 혈장glucose량은 특용식이 처리군 모두가 대조군 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특용식이 100%처리군에서는 120mg/dl의 수치를 나타내어 정상수준의 범주였다.
        1120.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원료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인삼의 기내배양에 의하여 생산된 캘루스 및 모상근으로부터 인삼사포닌, 지방산, 산상다당체, 페놀성화합물 및 유기산함량을 조사하였다. 인삼사포닌의 경우에는 캘루스에 비해 모상근에서 훨씬 많았으며 모상근 세포주간에는 약 10mg/g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포화지방산은 인삼 캘루스에서 높은 반면 모상근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산이 오히려 많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인삼 캘루스에서는 palmitic acid가 많이 존재하였으며,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가 캘루스의 5배 이상 많은 검출되었다. 산성 다당체와 페놀성화합물은 기내 배양한 인삼 캘루스 조직에서는 거의 동량으로 존재하였으나,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세포주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HR-2같은 경우에는 산성 다당체보다는 페놀화합물이 2.26%로 산성 다당체보다 2배 이상 많이 존재하였는데 반하여, HR-3 인삼 모상근의 경우에는 산성 다당체가 1.64%로 페놀화합물보다 4배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삼 모상근세포주와 캘루스의 유기산은 모상근 세포주가 34.64 mg으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