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41.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환경친화적이며 생태적 숲관리를 위한 활엽수의 조림기술을 개발하고자 강원도 홍천군 내면지역에 1979∼1982년에 대규모의 활엽수 조림단지를 조성했던 지역의 물푸레나무 조림지와 천연림으로 비교적 생장이 양호한 평창군 진부면 지역의 물푸레나무가 많은 천연활엽수림에 대한 임분구조 및 직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림 후 7, 8년까지의 직경생장에 임분간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연평균직경생장량은 맹아림에서 4.60mm/year로 최대값이었으며 다음으로 천연림의 물푸레나무가 4.59mm/year, 조림된 물푸레나무림에서는 4.18mm/year로 최소값을 보였다. 조림한 물푸레나무의 초기의 직경생장이 맹아갱신된 나무나 천연생의 나무보다 지극히 낮다는 것은 물푸레나무 나근묘의 식재는 성적이 매우 불량함을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물푸레나무림 갱신에서는 맹아, 천연하종, 직파조림 등의 다른 갱신법들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43.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축장에서 채취한 돼지난자를 직경별로 간격으로 나누어, 난자의 크기에 따른 체외성숙과 발육능을 구명코자 체외성숙과 체외수정 후의 배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채취한 난자의 투명대를 제외한 평균직경은 이었으며, 직경별 분포는 < 105, 105~110, 110~115,115~120, 120~125, <이 각각 3.0, 11.0, 31.2, 41.5, 13.0 및 0.4%로 72.7%가 110부터 사이였다. 체외성숙율에 있어서 직경 미만난자는 66.7%인 반면
        4,000원
        4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재배 토마토에서 경직경의 경시적 변화와 식물체내 수분, 토양수분, 증산 및 일사량 등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토마토 경직경의 monitoring에 의한 관개시기 진단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스트레인게이지로 제작한 경직경 미소변화 측정장치와 load cell을 이용하여 각각 경직경 변화 및 지상부 생체중의 변화를 1996년 7월 1일부터 16일까지 10분 간격으로 계측하였으며, 또한 토양 수분함량, 증산, 일사량 등도 동시에 관측하였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충분한 관개를 하였으며 이후는 외관상으로 위조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매 관개를 하였다. 생체중과 경직경은 매우 유사한 일변화를 보였는데 해뜰 무렵인 오전 6시경에 최대치에 이르고 이후 일사량과 증산의 증대에 따라서 감소하기 시작하여 중산이 최대에 이르는 시각보다 다소 늦은 오후 3시경에 최저에 달하였다가 일사 및 증산의 감소에 따라서 다시 증대하여 경직경의 변화와 체내수분함량의 변화와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분부족 증상이 없었던 날들의 일당 경직경 증가량(DI) 및 생체중 증가량(DG)은 일사량과 높은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수분부족장애를 받은 날들은 일사량에 따른 이들의 기대치보다 현저하게 낮아 생체중 및 경직경 증대가 매우 둔화되거나 오히려 감소하여 이를 기준으로 관개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실험기간 중 7월 10일의 경우 외관상으로는 위조증상이 없었으나 증산량은 현저히 감소하여 식물체가 수분부족 상태였던 것으로 판단되었는데 이 날 토중 l0cm 및 20cm에서의 토양수분 포텐샬은 -0.2bar 이상으로 전일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직경 및 생체중의 증가는 현저히 둔화되어 수분 부족을 잘 반영하였다. 한편 낮 동안의 생체 중 최대감소량(ML)과 경직경 최대수축량(MC) 역시 일사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일사량 및 증산량 증대에 따라 체내 수분 손실량이 증대하고 이에 따라서 경직경이 감소하는 한계를 보였다. 그리고 식물의 수분장애가 심한 경우에는 일사량에 따른 이들의 기대치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나 수분장애가 미약한 경우에는 기대치와 구별하기가 어려워 이들을 기준으로 관개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관개시기의 판단에는 토양수분, MC 및 ML을 기준으로 하는 것보다 DG 또는 DI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45.
        1994.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중요하게 된 진동 흡수를 위해서 BaTiO3 세라믹의 흡진 특성을 측정하고 미세구조와의 연관을 조사했다.BaTiO3 세라믹은 비교적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좋은 흡진재로 기대된다.BaTiO3 세라믹은 흡진 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 섬유상 분말을 소결하여 만들었다. KDC법으로 직경이 0.2μm, 1.2μm, 2.0μm인 각각 다른 섬유상 K2Ti4O9을 만들고 이온교환해서 섬유상 BaTiO3 을 만들었다. 면상으로 배향시킨 소결체의 흡진 특성과 전기적 물성을 조사하여 미세구조와 의 관계를 밝혔다. 소결체의 입경과 등가회로, 전기기계합계수(Kt), 발생 전압(V)을 조사한 결과, 사용한 섬유의 직경이 클수록 소결체의 입경은 작아졌다. 따라서 입계가 많아졌다. 흡진 특성은 입계가 많을수록 커진다. 즉 입계의 내무마찰이 클수록 흡진률은 커지며 이때의 내부마찰은 등가회로를 조사함으로써 확인되었다.
        4,000원
        4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코어직경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 변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코어직경 50mm 부착강도 13개 데이터와 코어직경 75mm 부착강도 17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부착강도의 평균값을 비교하면 코어직경 75mm의 값이 코어직경 50mm의 값에 비해 10.5% 정도 크게 나타났으며, 코어직경에 따른 부착강도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값을 비교·분석한 결과 코어직경 75mm의 변동계수가 모든 시험 회차에서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코어 직경에 따른 부착강도의 변동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코어직경 75mm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4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철근 콘크리트 내 강제 부식된 철근의 단조가력(Monotonic loading) 부착성능을 파악하고, 추후 해석모델 검증을 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전 연도에 진행된 연구(철근 콘크리트의 가속 부식 실험 방법 정립 및 부식 특성 분석)를 바탕으로 제작된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부식이 진행되었다. 철근의 직경, 철근 부식도, 콘크리트 압축 강도가 실험 변수로 지정되었고,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자체 제작한 인발 시험기를 활용하여 실험 변수에 따른 철근의 콘크리트 인발 거동을 실험하였다.
        48.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gelica gigas Nakai (AGN) is a traditional medicinal herb especially in Korea. It contains pyranocoumarins, which are major active components including decursin (D) and decursinol angelate (D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nge in active compone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the root diameter of AGN. Several processing steps are involved to use AGN roots as medicine. The dried AGN roots are divided into body (B), thick root (TkR), medium root (MR) and thin root (TnR) according to their diameter before cutting into medicine. The recovery rates of each root parts per 100 ㎏ were measured as 32.3±2.5, 9.0±1.0, 39.3±2.1 and 15.0±1.0%, respectively and the mean diameters were measured as 51.95±4.55, 7.05±0.89, 2.88±0.49 and 1.57±0.32 ㎜. Two index components, D and DA, were analyzed. The change of both D and DA content showed a similar tendency. Both D and DA content were increased as the root diameter decreased (higher in TnR). In addition,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in B and TnR, and lower in TkR and MR than control. This study showed that the thinner the root diameter, the higher the D and DA content in AGN roots and that TnR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other root parts, suggesting that the thinner root part of AGN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material.
        49.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 2018년 1월1일부터 2018년 6월30일까지 복부 CT검사를 위해 내원한 모든 환자의 영상 중 무작위로 선정하여 복부 면적의 크기 별로 20명 씩 60명을 총 3군으로 분류하여 복부 CT영상의 면적에 따른 유효선량과 화질의 변화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평균면적 군 에서 유효선량이 7.34 mSv로, 평균면적이상 군은 8.39 mSv, 평균면적이하 군은 5.89 mSv로 측정 되었다. 화질분석을 위해 복부면적에 따라 동일한 3영역에 ROI를 그려 비교해본 결과 3군으로 분류한 복부면적에서 모두 CT value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향후 실제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 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 임상에서 CT검사 시 적용하고 있는 다양한 선량감소 프로그램을 적용 및 복부 면적 외 다양한 환자의 변환 조건 등을 고려하여 연구와 고찰을 도출한다면 화질과 피폭선량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0.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ngelica gigas Nakai (AGN) is a perennial plant found in East Asian countries and an crucial medicinal herb especially in Korea. It contains several chemicals like pyranocoumarins, which are major active components including decursin (D) and decursinol angelate (DA), essential oils and polyacetylen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hange in active components depending on the root diameter of AGN. Methods and Results : Several processing steps are involved to use AGN roots as medicine. The dried AGN roots are divided into body (B), thick root (TkR), medium root (MR) and thin root (TnR) according to their diameter before cutting into medicine. Among them, B and TkR are mainly used as medicine. The mean diameter of dried each root part (B, TkR, MR, TnR) were measured as 51.95, 7.05, 2.88, and 1.57 ㎜, respectively. The water content of each root part was slightly reduc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iameter (higher in B). In addition, the two active components, D and DA,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change of both D and DA content showed a similar tendency. Both D and DA content were increased as the root diameter decreased (higher in TnR).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thinner the root diameter, the higher the D and DA content in AGN roots, suggesting that the thinner root parts of AGN could be used as potential materials.
        5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LEFC) transmits light through plastic rods inserted in concrete to stimulate emotion and give new image to spac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give a diverse and sensuous feeling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diameter and the interval of the plastic. For the application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a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light transmitting concrete reinforced with PVA fib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ameter (5mm, 10mm) and spacing (10mm, 15mm, 20mm) of the plastic rod.
        5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owel rebar is key parameter to control the lateral displacement in the sliding slab track. The lateral support block of the sliding slab track is supported by the dowel rebar. In this study, selected parameter (rebar diameter) was expected to affect the performance and behavior of the dowel rebar in the sliding slab track. Furthermore, evaluation of the shear behavior of dowel rebar compared to the results of the Soroushian et al. (1986) and CEB-FIP (2010).
        53.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 of ginsenoside contents according to tissue ratio in ginseng root by age and diameter. The epidermis-cortex and xylem-pith extent, fresh weight, dry weight of ginseng increased with the root age increase. They increased higher in xylem-pith than in epidermis-cortex. The ratio of epidermis-cortex decreased and xylem-pith increased as the main root diameter increased. In case of same diameter, the xylem-pith ratio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root age. The epidermis-cortex ratio was 4 > 5 > 6 years, respectively. The total 10 ginsenosides of epidermis- cortex increased with the root age increase. However, the total ginsenoside of xylem-pith decreased and it was 2~5 times lower than epidermis-cortex. The most of ginsenoside contents existed in epidermis-cortex. The diameter decrease in main root is related to the increase of epidermis-cortex ratio. It leads to increase of ginsenoside contents. In order to select high level of ginsenoside cultivar, it suggested that it should be selected main root having narrow diameter and lower epidermis- cortex ratio.
        54.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insenoside content in different root par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root diameter and ginsenoside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ed by direct seeding. The unit contents of ginsenoside were 29.65, 28.76, 26.34 mg/g, respectively in 4, 5, 6 years old. However, the total contents of ginsenoside were 431.97, 606.56, 657.80 mg/root, respectively.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fine root was higher than that of main root and lateral root. These tendencies were related to decrease by the increase of root diameter. When diameter of main root and lateral root were the same in different ages,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4 > 5 > 6 years old roots. Except for ginsenoside-Rg1, other ginsenosides components (PD/PT and total ginsenosides)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oot diameter within whole root, main root, lateral root and fine root, which indicated that ginsenoside content is correlated to root diameter. As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ginsenoside content can be predicted.
        5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root diameter and ginsenoside compositionof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r Yunpoong. Dry matter ratio of main root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lateral rootand fine root, and that was higher by the increase of root diameter in the same root parts. Total ginsenosides composition ofmain and lateral roots increased by the decrease of root diameter, especially in lateral root. Similar resulted in fine root, but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re root diameter was below 2.5㎜. Except for ginsenoside-Rg1, other ginsenosidescomponent, PDs, PTs and total ginsenosides had high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oot diameter within whole root, mainroot+lateral root and lateral root+fine root, while Rg1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oot diameter.
        57.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직경-두께비와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한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휨 거동을 다루었다. 유한요소 해석을 위하여 상용 프로그램 LUSAS를 사용하였으며, 충전 강관의 콘크리트와 강 사이의 부착면의 상세거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조인트 요소를 적용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와 강관의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소성영역에서 증가된 응력을 사용한 콘크리트와 강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구한 수치해석 결과는 등분포하중을 받는 강관의 하중-변위 곡선에 대한 실제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몇 가지 매개변수 연구는 서로 다른 직경-두께비와 콘크리트 강도에 대하여 휨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두었다.
        58.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of 69 open-pollinated family seeds were harvested from the clonal seed orchard of Pinus thunbergii, and planted at Jeju and Anmyon in 1992. When the progenies were 16 years old, height, DBH and volume growth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l
        59.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옻나무의 근삽에 의한 묘목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BA, kinetin 및 zeatin 등의 생장조절물질과 삽수의 길이 및 직경 등을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옻나무의 근삽처리 후 3∼5주 사이에 삽수로부터 신초가 발생하여 지상부로 출현하였다. 발생하는 신초의 수는 대부분이 1개였으나 2∼3개의 신초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한편 신초가 발생하지 않은 삽수들은 대부분 신초분화능이 포함된 피층부가 부패 한 것이 그 원인이었다.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있어서 zeatin처리가 가장 양호한 신초발생율을 보였고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발생율도 높았다. BA와 kinetin처리 역시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발생율이 높았으나 zeatin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생장조절물질 처리에 의한 묘소질은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구보다는 양호하였다. 삽수의 길이 별 신초의 발생은 삽수의 길이가 길수록 일찍 시작되었고, 묘소질은 15 cm의 삽수가 가장 양호하였고 삽수의 길이가 작아질수록 묘소질이 불량하였다. 그러나 단위길이 당 유묘 생산량은 10 cm의 삽수가 가장 양호하였다. 삽수의 직경에 따른 신초의 발생율은 삽식 10주 후에 0.3∼0.5 cm의 삽수가 76%로써 가장 양호하였고 묘소질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60.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추대성 참당귀 노지육묘 이식재배시 묘두직경에 따른 생육 및 추대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현율은 묘두직경이 클수록 높고 적올수록 낮았으며, 지상부 및 뿌리생육은 묘두직경이 클수록 양호하고 묘두직경이 적을수록 부진하였다. 추대시기는 묘두직경이 굵을수록 빨라지고 적을수록 늦어졌으며, 0.11~0.3, 0.31~0.5, 0.51~0.7, 0.71~0.9, 0.91~1.1cm로 묘두직경이 굵어짐에 따라 각각 0.2%, 1.6%, 3.3%, 11.8%, 46.6%로 증가되었다. 10a당 수량은 0.51~0.7cm에서 319kg 으로 가장 높았으며, 0.51~0.7cm보다 묘두직경이 작을수록 수량이 낮아지고 0.91cm 이상 묘에서는 추대율이 높아 수량이 낮았다. 추대율은 초장과 정(正)의 상관을 보였으며, 건근수량은 추대율과 부(負)의 상관을 보였다. 추대율이 비교적 낮고 수량이 가장 많은 묘두직경은 0.51~0.7cm였으며, 당귀재배시 적정 묘두직경의 범위는 0.31~0.7cm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