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developed a data reduction program (RX) to process BOES data automatically. It processes a whole set of data taken during one night automatically - preprocessing, extraction to one-dimensional spectra and wavelength calibration. The execution is very fast and the performance looks pretty good. We described the performance of this program, comparing its procedure with that of IRAF. RX does not have functions for continuum normalization yet. We will develop those functions in the next work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게 다감각환경(스노젤렌) 프로그램이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원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6명의 중등도-중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 스노젤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였고, 12가지 이상행동빈도와 이에 따른 보호자의 고통정도를 스노젤렌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비모수 통계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증상 빈도의 평균이 57점에서 37점으로 35% 감소하였고, 보호자의 고통정도는 평균이 29점에서 19점으로 29.6%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감각환경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중증 치매노인의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가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control of overeating of obese children on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 program included nutritional education, psychotherapy and physical exercise on weekly session for 9 mon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e study involved 30 obese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The average age of the children was 11.78 years,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46.22cm and 50.61kg. The average BMI and body fat contents were 24.06 and 30.49% respectively and WHR of the children was 0.8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BMI(25.18, 23.31, p<0.01). As a result of the eating habits test, 50% of the subjects showed low level of regularity of diet, and 76.7% of the subjects showed high level of balanced diet score. Large portion(83.3%) of the subjects had high level of healthy behavior score. WHR of girl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86 to 0.82(p<0.01) after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components of the obese children after the program. When regarding the score of eating habits in relation to obesity indices, the WHR significantly decreased(p<0.05) in a group of children with high eating habits score. Also in the group of overeating controls, significantly decreased WHR(p<0.05).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ody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r=0.624),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r=0.5109) and HDL cholesterol(r=0.5088). The score of healthy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ight(r=0.5286)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LDL cholesterol(r=0.3555) and WHR(r=0.4028)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must be considerate of th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with different scores in the eating habits and overeating controls test.
본 연구는 과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선하는데 반영하고자 2002년도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교육센터에서 운영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분석하였다. 교육 목표와 과학적 모형, 탐구 활동의 세 요소들은 과학 교육 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각 요소들이 제시된 정도를 파악한 후 이들의 수준이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지에 초점을 두어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 목표의 인지 영역 중에서 상위 사고력 영역에 해당하는 종합 영역, 과학적 모형 중에서 상위수준의 추상성과 복잡성 모형인 다 개념-과정 모형,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 중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이 과학 영재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 중요한 항목임을 전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대학교 과학 영재 프로그램의 각 주제에 제시된 교육 목표는 상위사고력 영역과 하위사고력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그 중에서 종합 영역은 낮게 나타났다. 과학적 모형은 다 개념-과정 모형보다는 단일 개념 모형이 많았으며 추상성 수준은 중간 정도였다.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은 실제 과학 탐구의 인지 과정을 고르게 다루지는 않았다. 특히 실험 설계의 인지 과정은 적게 다루고 있었다. 따라서 분석한 과학 영재 프로그램이 과학 영재들의 인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종합 영역의 교육 목표, 다 개념-과정 모형, 실험 설계의 인지 능력을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
평균 연령 10.8세인 비만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영양교육을 중심으로 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비만도와 BMI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방 조직 분비 호르몬-resistin, adiponectin, leptin의 수준은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esistin과 leptin의 변화량은 BMI 변화량과 양의 관계를, adiponect의 변화량은 음의 관계를 나타내 체위와의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만으로 이들 호르몬들과 체위변화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기에는 부족했다. 또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후 열량 외에 무기질과 비타민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감소하여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열량섭취는 줄이면서 미량 영양소의 섭취는 유지할 수 있게 올바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조절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영양교육의 내용을 수정하고, 체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며 좀 더 장기적인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수행한다면 아동 비만 치료에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비만과 체지방분비호르몬의 상관성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본다.
이 논문은 초등학교 한자 한문 교육과정에 적합한 한자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은 방안을 모색하여 본 논문이다. 학교 현장에서 한자 지도를 체계적으로 전개하며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는 재미있는 한자 수업을 실제로 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에 본 논문은 어린이들이 한자 공부를 하면서 흥미와 재미를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창의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학습 단계를 고려하여 읽기 단계, 쓰기 단계 그리고 활용 단계의 3단계로 개발하여 각 단계에 알맞은 프로그램과 실제 적용 사례를 구안하였다.1. 다양하고 재미있는 창의적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계별 한자 지도 방안 1단계는 한자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한자 학습 프로그램으로 ① 한자 주사위 게임을 통한 한자 읽기 ② 한자 돌림판을 이용한 한자 읽기와 쓰기 ③ 한자 슛 게임을 이용한 한자 읽기와 쓰기 ④ 사자성어 큐빅을 이용한 한자 맞추기 ⑤ 퍼즐을 이용한 고사성어 한자 읽기 등 다양한 학습 자료와 구체물을 이용하여 한자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2. 쓰기 단계의 한자 학습 프로그램2단계는 한자 쓰기 능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① 만화를 이용한 한자 쓰기 ② ‘골든벨을 울려라’ 게임을 통한 한자 쓰기 ③ ‘빙고’ 게임을 통한 한자 쓰기 등 재미있는 게임을 통해서 한자 쓰기 능력을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3. 활용 단계의 한자 학습 프로그램3단계는 실제 한자 학습에서 다양한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한자 학습력을 한 단계 끌어 올릴 수 있도록 ① 시각화 자료를 이용한 한자 익히기② 한자 입체 병풍 만들기를 통한 한자어 익히기 ③ 플래시를 활용한 1분 스피드 한자어 맞추기 ④ 즉흥극 표현을 통한 한자 익히기 ⑤ ox 평가 학습 등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초등학교 한자 학습에서 이러한 단계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기대되는 효과로는 첫째, 다양한 창의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자를 재미나게 익혀 한자 학습에 대한 친근감과 흥미도를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둘째, 다양한 창의적 한자 프로그램 학습을 통해 익힌 한자, 한자어, 한자어구에 관한 지식이 일상의 언어생활에 자기 주도적으로 활용되어 국어 지식적인 측면에서 창의적인 언어 사용 능력이 길러질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한자 학습 방안에 대한 실천적 연구가 일천한 현실에서 이러한 연구가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한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 한자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의 우발적이고 충동적으로 발생되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사회에 바람직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격성 및 사회재적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소재 S보호관찰소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 40명 중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에게 6회기 구조화된 해결중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1주일에 1회, 매회 2시간씩 총 12시간을 실시하였다. 집단개입에 대한 분석은 비교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이루어졌다. 측정영역은 공격성과 사회재적응력 이었으며, 목표달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행동변화 목표가 집단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취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공격성 감소와 사회재적응향상을 나타내어 해결중심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의 사회적응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목표성취에 대한 분석은 대상자들이 설정한 목표를 대부분 성취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입이 참여 동기와 목표성취 동기를 높이며 자신감을 얻게 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에 나타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장점을 찾아 칭찬하고 격려하며 이를 강화시켜나가는 해결중심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에게 내재되어 있던 자신감(competence)을 이끌어 내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자신감이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Prescrib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ow noise measurement method was changed to personal sampling in the method to measure an area noise. Such method had the limit which did not evaluated characteristic of sound of occurrence and the place of origin. This study was peformed to establish an engineering remedy of the work-place noise. The subject was a vib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place of business in Pusan. A simulation program applied for an engineering improvement of the work-place nois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n noise occurrence level of the work-place before improvement was 88~97dB(A), We applied an improvement method to be established and were expected to 80~l19dB(A), 2. The level of the noise-distribution to appear in the place of origin of the work-place before improvement was 90~93dB(A) but, We executed the simulation after applied an engineering remedy and predicted 80~85dB(A). A result of the simulation blue part was changed mostly into the dark blue color. The results suggest that simulation program establishes an engineering remedy and is useful to the case to apply.
지도는 학습정보를 장기간에 걸쳐 기억하게 해주는 기능 뿐만 아니라 자연현상 및 인문현상을 비교적 짧은 기간에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는 지리학습에서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기후도를 통하여 탐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제해결 기법을 원용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 모형을 이용하면 교사들은 교수활동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학습자의 이해를 보다 흥미있게 증진시키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행평가를 수행하는데 좋은 평가도구가 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