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7

        1201.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역할갈등과 학교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보건교사들의 학교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D도시에 근무하는 초․ 중․고 보건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10명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 집된 자료는 SPSS/WIN 21를 사용하여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학교급, 연령, 학력, 교직경력, 보건수업 실 시여부에서, 역할갈등은 연령, 학력, 학급수에서, 학교조직몰입은 보건수업 실시여부와 교직선 택 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건교사효능감, 역할갈등, 학교조직몰입 간의 상 관분석 결과 보건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은 정적인 상관관계, 역할갈등의 하위요인은 부적인 상 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교사 효능감과 역할갈등에서 학교조직몰입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역할과다갈등, 개인역할갈등, 보건서비스효능감, 업무대인관계효 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보건교사의 학교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역할기대는 전문 직 교사특성에서 업무의 세분화와 역할분담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120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러티브는 인간 세계를 재현하는 형태 중 하나로 인간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방식이며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허구나 실제 사건의 진술인 문어로 된 내러티브를 토대로 내러티브의 구조와 속성을 살펴보았다. 특정 입장(수업의 목표)에 따라 등장인물(수업주체인 학습자)이 종결(수업의 산출)을 향해 이동하며 경험하는 사건들(교육내용의 투입과 그룹별 협업)의 재현형태인 내러티브는 학습자들이 수업에 몰입할 수 있는 마음의 문을 여는 동인이 되며 내러티브 수업 모형(목표-주체-투입-숙의-산출-목표)을 창출하고 감성교육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내러티브 기반의 학교교육에서 학습은 지식과 기능의 습득을 넘어서 해석과 이해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내러티브 자체의 특성이 반영되어 내러티브 학교교육은 변형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그리고 학생과 학생간의 내러티브 교환을 통해 존재의 가치 발견과 구성 및 재구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요컨대 내러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전인적이고 총체적인 발달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내러티브 감수성(민감성)과 이해력이 요구되며 다양한 내러티브의 수집과 교과별, 학년별, 그리고 주제별 분류 작업뿐만 아니라 내러티브 활용시 주의사항과 평가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120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재량활 동시간에 적용하여 저학년과 고학년의 기초탐구능력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의 2, 5학년 각 1개의 학급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고, 실험군에는 재량활 동시간을 활용하여 상추 기르기 과학 탐구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실험군의 상추 기르기 활동에 기초한 원예-과학 통합프로그램 시 행 후,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기초탐구능력 총점이 사전보다 각각 3.89, 1.76으로 증가하였고, 저학년이 고학년과 비교하면 2.13점 더 향상되었다. 저학년의 기초탐구능력 하위 요소별 사후 검사 결 과, 대조군은 관찰을 제외한 분류, 측정, 추리, 예상에서 유의차 없 이 향상되었으나, 실험군은 사후 검사결과 관찰, 분류, 측정, 추리, 예상 모든 탐구요소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고학년의 기초탐구 능력 하위 요소별 사후 검사 결과, 실험군은 분류와 추리 영역에서, 대조군은 분류 영역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1210.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과 그 발 전과정을 고찰한 후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다. 연구결과, 19세기 말, 유럽의 진보주의 교육사상과 미국의 Nature-Study 교육사상이 미국 학교정원운동의 사상적 배경이 되 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정원운동의 발전과정은 형성, 쇠퇴, 재부 흥의 과정을 거쳤다. 1891년을 시작으로 1914년까지 학교정원은 교육개혁차원에서 국가적인 학교정원운동으로 형성되었다. 그러 나 1914년부터 1918년까지 학교정원은 세계대전을 위한 식량생 산의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전쟁이 끝난 이후 학교정원운동은 쇠퇴 의 양상을 보였고 1950년대 이후 기술(technology)이 주도하는 사 회가 되면서 학교정원이 점차 사라졌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심 각해지는 어린이 비만과 자연결핍의 문제를 개선하고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교정원운동이 새롭게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학교정원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정 원의 존재목적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둘째, 교과목과 연계된 학교정원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교정원운동의 대중 화를 위해 개척가적 리더십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현장에 성공적 으로 구현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마지막 으로 지역사회와 학교상황에 맞는 융통성 있는 학교정원 교육모델 이 필요하다.
        121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시험불안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험불안과 관련된 선행 연구 및 기존에 개발된 초등학생용 시험불안 검사 도구의 문항, 학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면담 내용을 근간으로 하여 60개의 초기문항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초기문항을 8인의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29개 문항의 예비검사를 구성하여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다. 예비검사 과정을 거쳐 17개 문항의 본 검사를 현장에 적용하고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3요인 15개 문항의 척도를 개발하였다.
        1212.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화학과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화학과 교육과정과 ESD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교과서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였다. 그 다음 화학과 ESD의 연계 가능성을 평가하여 ‘오리엔테이션’, ‘안전’, ‘물’, ‘에너지’, ‘건강’ 총 5가지 주제의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그 후에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수-학습과정안의 형태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교차검토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한 후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교육 현장에서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차시를 보완할 수 있는 형태로 구조화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화학이 지속가능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과목이라는 인식을 갖고, 나아가 자신이 이러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다는 의지를 가지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화학을 배우는 학생들이 화학-환경-경제-사회의 상호관계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1213.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은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일반생활, 수업기술, 인간관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장은 다문화 교육의 발전에 대한 관심, 의사결정을 위해 교사를 격려, 교사들의 지적 성장에 대한 도움, 교사들을 향한 신뢰와 존경의 태도, 다문화 교수에 관한 피드백, 다문화 환경개선 등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학교 경영자인 교장은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이 다문화 교육의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1214.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최근 중등학교에 재학하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증가 비율이 높은 현실을 고려하여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인식을 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다문화교육 인식은 다문화가정 학생 수용성,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에 대한 동의, 다문화가정 학생의 지원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담임 경험 여부, 담당 교과, 학교급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에 주목하였다. 조사는 전국적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이 일정 수 이상인 중학교와 고등학교 167개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중학교 교사 1,733명, 고등학교 교사 835명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 유무나 담당 교과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 등에 더 동의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담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러나 담당 교과에 따른 차이는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편이었다. 국어와 사회과 담당교사는 영어나 그 외 교과 담당 교사에 비해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해 더 수용적이며 다문화교육에 더 개방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 등 정책적 대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1215.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교생활기록부가 아동에 대한 평가자료 및 입시참고 자료로서의 그 중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작성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체험은 그동안 외면되어 왔던 경향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대한 교사들에 체험과 그것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인터뷰, 평가일지, 학교생활기록부 내용 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정 속에 내재 되어있는 의미로서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한 교사의 의미규정’,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대한 부담감’,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전략’, ‘또 다른 학교생활기록부’,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경험이 교사에게 주는 영향’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과 관련된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1216.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내러티브 연구를 시작하면서 인식하게 되는 교사 자신의 정체성과 한명의 특별한 아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느껴지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초등학교 교사의 성장을 위해서는 성찰의 과정을 대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이 교사 본인의 이야기일 것이다. 이 이야기는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 반성을 돕는 데 유용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늘 교사는 자신이 살아왔던 삶에서 그 이야기를 구성해 나가고 있지만 교실이라는 구조 안에서는 혼자이지만 학교라는 구조에는 학생, 다른 교사, 그리고 주변 인물들이 존재한다. 그 모든 사람들을 통해서 삶의 이야기를 하고, 말하고, 삶의 이야기를 다시 말하고, 다시 살아갈 것이다. 이러한 삶의 경험의 연속선상에서 교사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학생 전체가 아닌 특별한 아이를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의 변화를 느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편향된 지식관을 변화하기 위해서 교사의 내러티브적인 사고와 탐구를 통해서 아이들을 교사의 눈이 아닌 아이들의 눈으로 수업을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한다.
        1217.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하여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는 내러티브라는 인간의 인식론적 도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 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정렬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한 단원의 설계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쉽게 설계하여 교사와 학생들의 배움을 촉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장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적 측면을 다루었으며, 3장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과 원리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설계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마지막에는 설계안을 시각화 하는 템플릿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내러티브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의 하나의 안으로 활용하는 것은 현재의 지식전달중심의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218.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learning with a humanoid robot and seek for a policy implication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using humanoid robot.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as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garding the most effective subject through the use of humanoid robot. While the students consider Physical Education as the major subject, the teachers consider Science as the one. The students recognize that the use of humanoid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learning while the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most effective in helping their teaching. As an expected positive effect, both of them choose an increase in interest in learning as the main effect of the use of humanoid robot, but the students, unlike the teachers, consider the improvement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its main effect as well. These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use of humanoid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and in addition,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m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1219.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토요 방과 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적 능력, 및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목포시내에 있는 B 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1-3학년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9월 22일부터 12월 22일까지 주 1회 총 13회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압화 작품 만들기, 텃밭 만들고 관리하기, 씨앗채소 가꾸고 수확하기, 크리스마스 카드 만들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정서지능, 사회적능력, 학교적응력 검사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서지능은 프로그램 전 97.0점에서 프로그램 후 115.0점으로 18.0점이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사회적능력은 프로그램 전 114.9점에서 프로그램 후 132.6점으로 17.7점 상승되었고, 유의성 있게 높아졌다. 학교적응력은 프로그램 전 109.8점에서 프로그램 후 122.1점으로 12.3점 상승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토요 방과 후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능력, 학교 적응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1220.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조사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 수를 결정하고,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표 달성을 위해 선별된 활동 안을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충청 남·북도의 군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다문화가정 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전과 후의 대인관계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었으며 하위 영역에서도 신뢰감 및 개방성 영역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