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struction plann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rmal environment, find particles and biotope area rate according to land cover types of outside space of schools located in Chung-ju. When meteorological fact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land cover types, for temperature planting area and paved area showed low-and high-temperature ranges, respectively, and relative humidity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emperature as low-and high-temperature ranges corresponded to high-and low-humidity ranges, respectively. For Wet Bulb Globe Temperature Index (WBGT) by land cover types, it was observed to be artificial grass> bare land> natural grass. Find particl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land cover types of playground with being bare land> artificial grass> natural grass in the order. Bare land playground, where there were artificial factors and no absorption of fine particles through stomata of leaves as a function of natural circulation,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39.8 ㎍/㎥ and the level was relatively higher compared to the levels by season in Chung-ju. Biotope area rate showed the order of M elementary school> K elementary school> C commercial high school. That wa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land cover type of school playground accounting for a large part of a school.
본 연구는 최근 제안된 2×2 목표 구조에 근거한 성취목표 동기유형이 지속적인 태권도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내적동기와 신체활동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 동기유형, 내적동기와 신체활동 의도를 조사한 뒤,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성취목표 동기유형 가운데 숙달접근이 내적동기뿐 아니라, 신체활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숙달접근은 내적동기 하위요인 중 재미/노력과 신체활동 의도에 대한 변화를 예측하는 주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는 체육활동 상황에서 참여자들의 숙달접근 동기유형이 내적동기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신체활동 의도를 지속할 수 있는 동기유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성취목표 동기유형에 따라 관련변인을 이해․연구하는데 의미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신체활동 참가자들의 성취목표 동기유형을 탐색하는 데에 유용한 통찰력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교육 현장에서 아동의 자아 탄력성과 자아 통제에 대한 문항을 개발하고 개념적 구조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단계의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첫번째 단계에서는 5명의 스포츠 심리학자와 2명의 심리 측정척도 전문가가 참여하여 개발된 문항에 대한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어서 5인의 초등학교 교사가 각 문항에 대한 가독성을 조사하여 어린이들의 독서력에 맞게 문항을 수정한 다음 15명의 어린이에게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위해 230명의 데이터가 처리되었으며 각 문항의 정상분포 여부를 알기 위해서 기술통계를 알아보고 이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요인 33문항이 추출되었다. 두 번째 단계의 연구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3요인 33문항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요인과 문항을 확정하는 것이었다. 이 단계에서는 1차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192명의 데이터가 처리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한 분포도는 정상분포를 보였고 이어서 실시된 확인적 요인분석도 3요인 33문항의 요인구조 모형이 데이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자아 탄력성이었으며 이 요인은 상황에 따라 개인이 잠정적으로 적응해 갈 수 있는 능력 요인이었다. 두 번째 요인은 과잉 통제 요인으로 보통 과잉 통제적 성향을 보이는 사람은 상황에 관계없이 충동과 감정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세 번째 요인은 과소 통제 요인으로 이 성향을 보이는 사람은 상황에 관계없이 충동과 감정을 지나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충북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간에서 사회관계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초⦁중⦁고⦁대학생 전체 1,872명 이었으며, 2009년 3월초부터 4월초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질문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구조와 기능영역 모두 비교적 낮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일부 학생들이 집중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둘째, 구조 영역에서 대학생들은 규모가 가장 낮고, 전문계 고등학생들이 가장 높다는 것은 전문계 고등학생들에게 사이버 공간에 대한 생활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셋째, 구조영역에서 심리적 안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학생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친구들과 교류하면서 학교생활이나 성숙과정에 심리적으로 크게 도움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기능영역에서 전문계 고등학생들은 모든 영역에서 평균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일부가 아닌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배경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다섯째, 기능영역에서는 대학생들이 정보적/평가적 영역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사이버 사회관계망의 범주가 크고 적은 것 중 개인에게 어떤 게 더 중요한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사회관계망이 커지게 됨에 따라 더 많은 시간과 경제적 손실에 따른 반대급부로서 심리적 안정이나 빠른 정보습득과 같이 사이버 공간에서 무엇인가 획득하고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단지 이러한 사이버 사회관계망의 확대가 교육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인가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온도에 따른 고체의 용해도 측정 실험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생들이 재현성 있는 실험 결과와 정상적인 용해도 곡선을 얻을 수 있는 개선 실험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화학Ⅱ 교과서의 고체의 용해도 측정 실험을 분석하고, 화학교사를 대상으로 고체의 용해도 측정 실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온도에 따른 고체의 용해도 측정 실험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실험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고체의 용해도 측정 실험의 실험 방법은 서로 달랐으며, 화학교사들은 실험 결과에서 오차가 많이 나고 실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서 고체의 용해도 측정 실험을 실험 수업으로 실시하기 어려워하였다. 온도에 따른 고체의 용해도 측정 실험에서 용질과 용매의 질량 측정 방법, 용질이 모두 녹는 온도 측정 방법, 결정 석출 온도 측정 방법 등을 개선한 개선 실험으로 재현성이 있는 실험 결과와 정상적인 용해도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변인, 학생변인, 학교부적응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변인이 학교 부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변인에서는 학생의 심리적 특성보다는 교우관계나 사교성이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교우관계에서의 부적응도 교사변인의 간접적인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학교 부적응은 수업, 학교질서, 교사관계, 교우관계로 구분하였는데, 역시 교사 관계에서의 부적응 요인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수업, 교우, 학교질서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적합도는 이 49.525(p=.144), TLI .928, RMSEA .072, CFI .948, RMR .056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심리적 특성, 가정, 학교, 교우, 교사관계를 요인으로 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들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concentration of fiber particles in 30 public facilities and 245 schools by PCM (phase contrast microscopy). Also SEM/EDX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energy dispersive using X-ray analysis) was used to obtain physicochemical information of asbestos fiber and to classify asbestos and non-asbestos of fiber particles.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fiber particles were 0.0009±0.0009 counts/mL in public facilities and 0.0012±0.0006 counts/mL in schools by PCM. All the samples were satisfied with the IAQ (indoor air quality) level of 0.01counts/mL. In classification of 4 type shapes, over 80% of the fiber particles were identified as single fiber type. And this study analysed airborne fiber particles in 4 sites for identifying asbestos of by SEM/EDX. The asbestos fibers in most samples could not be found.
본 연구는 학업 부적응 등을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교밖 공간에서 학교 및 기타 학습공간으로의 복귀를 돕도록 기획된 단기 학습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하여 참여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 지에 관해 심층면담을 통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대안교육센터에서 지원하고 지역네트워크학교들이 실시했던 ‘징검다리 학습과정’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자료는 주제분석 및 계속비교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교사들은 프로그램의 성과를 아이들의 변화와 성장, 그리고 기관간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인지하고 있었으며, 아이들과의 관계, 프로그램 운영의 애로, 교사로서의 발전의 어려움 등을 어려움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학교밖 청소년을 위한 학습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가지는 지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통신문을 활용한 양성평등교육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부모의 양성평등적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실험군은 P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생 50명과 그 부모들, 대조군은 같은 학교 5학년생 48명과 그 부모들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학생들에게는 연구자가 구성한 5차시의 교육을 실시하였고 실험군의 부모에게만 총 5회의 가정통신문이 제공되었다. 연구결과 가정통신문을 활용한 양성평등교육은 학생을 대상으로 양성평등교육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학생의 양성평등의식 및 어머니의 양성평등적 자녀양육태도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실시하여 구안된 프로그램이 이들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구안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그리고 NLP 전략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프로그램 제시전략과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을 고루 다루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W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박진아(2001)가 개발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자의 연구형태 중 문제해결형, 모델제시형, 아이디어산출형의 연구과정을 적용하여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을 아직 진로가 확정적이지 않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30명에게 적용하였다. 사전사후에 진로지향을 조사하였고, 프로그램이 진로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게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고, 진로지향의 변화에 따른 분석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진로를 더 확고하게 하는 등 이미 과학진로지향인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 중 일부는 프로그램의 적용 후에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었고, 일부는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등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도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내재적 동기, 동일시 조절, 외적조절, 무동기 4개 요인의 자기결정성 동기로 이루어진 상황적 동기척도를 초등학교 체육수업 상황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신뢰성과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세 곳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7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4요인 16문항의 구조적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내재적 동기와 동일시 조절은 기본적 심리욕구와 유의한 정적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외적조절과 무동기는 유의한 부적관계를 나타내어 준거관련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의 결과 내재적 동기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외적조절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결과 6학년은 4학년과 5학년 보다 내재적 동기와 동일시 조절이 낮았으며 외적조절과 무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Today’s fundamental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fulfill people’s desire of living in a pleasant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promoting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e environmentally friendly behavior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it is very important that each person hold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ind that constantly tries to preserve and protect the environment which should be acquired through experiencing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s the sense of attachment of peopl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carry out education on environment related knowledge and the condition of environment damage side by side.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cultivating student’s awareness for active participation on matters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to change their behaviors towards the environment. This study has tested the effect of reflective writing activities about the environment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willingness to act of 5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For the sole purpose of this study, 70 students out of 141 5th graders of M Primary School were divid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71 students were divided as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activities in where they were asked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writing regarding 10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ing near the M Primary School.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10 environmental education lectures focusing on the lecturer.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reflective writing activities about the environment were effective i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reflective writing activities about the environment can affect the environmental willingness to act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willingness to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using experi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acilities and attitude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in parents who have elementary students in Seattle, 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presented that elementary parents have a great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Parents have a strong agreement with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hildhood. This research also found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and facilitie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xpected effect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desirable fiel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creased according to frequency in using environmental educa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e more the experiences of using various environmental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museum of natural history, science museum, arboretum, and aquarium expanded, the more educational effects positively increased over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원어민 영어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교사로서의 삶을 질적연구를 통해 드러내는 데 있다. 과거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원어민 교사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그들과 관련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연구들 대부분은 원어민 교사에 대한 한국인 교사나 학생들의 인식조사, 혹은 원어민 교사 활용의 효과, 문제점 등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가르침과 교사로서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없이, 그들과 관련한 교육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은 현상의 표면만을 읽을 뿐이다. 이에 연구자는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원어민 교사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들과 관련한 교육정책 혹은 다른 교육 주체들과의 관계 개선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본 학교교육에 있어서 국제이해교육이 처음으로 거론된 것은 1998년 개정 학습지도 요령 중의「종합적 학습시간」에서였다. 물론 국제사회에 대해서는「사회과」등을 통해 학습이 다루어져 왔으나, 이는 외국의 지리 사회 등을 이해하는 데 그쳤었다. 1986년 임시교육심의회의 제 2차 답신이 계기가 되어 국제 이해교육을 실시하였다. 답신의 내용은 학교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실현을 요청하는 것이었다.
① 폭넓은 시야에서 일본 사회 문화의 특성을 주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이문화의 뛰어난 특성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② 일본인으로서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짐과 동시에, 자국에 대한 이해만으로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국제적, 지구적, 인류적 시야 속에서 인격의 형성을 지향한다.
③ 다양한 이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충분히 의사소통이 가능한 국제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육성을 도모한다.
위 답신의 발표 배경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일본 학교교육의 역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회 변화에 호응하며 다음의 두 가지 사고가 경합하면서 일본의 학교교육이 이루어져 왔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① 일본 사회 문화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② 미래 사회를 짊어질 아이들에게 어떠한 능력이 필요한가. 또한 그를 어떻게 획득시킬 것인가.
일본사회가 다양화 국제화 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국제이해능력 육성은 차세대를 짊어질 아이들에게 있어 필수 불가결하다. 그러나 현 국제이해교육은 영어 능력 육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아 본래의 목적이 달성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금후 위의 답신을 실현하는 교육실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국제적 시야를 지닌 교원 양성이 필요하다. 그 하나의 시도로서 나가사키대학과 한양대학교가 실시하고 있는 교육실습을 포함한 단기유학제도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20세기로 대변되는 근대가 이성, 합리성이 지배하였다면 21세기로 대변되는 탈근대는 감성, 심미성이 한층 존중될 것이다. 21세기 사회는 이질성과 차이를 인정하면서 정의가 실천되는 사회를 지향할 것이며, 동시에 감성적 가치라 할 수 있는 행복, 영성, 상호인정, 타자성 등이 중요시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감성사회의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과 담론을 제기한다. 먼저, 현장차원에서 나타나는 사회과교육의 실태와 한계상황을 거시적 및 미시적 차원으로 검토한다. 이런 사회과교육을 둘러싼 현장여건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과교육을 둘러싼 반성의 계기를 열고자 한다. 다음으로, 최근 새롭게 전개되는 탈근대성을 감성사회의 측면에서 다루어봄으로써 사회과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삼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감성사회의 도래에 즈음하여 사회과교육이 지향해야 할 21세기 형 사회과교육의 구체적 방향(교육목표, 교육과정, 교육방법)을 현장입장에서 몇 가지로 타진한다. 사회과교육에 감성적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현장 사회과교육이 좀더 풍요로워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