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는 사람들의 가치관 형성에 중요하기 때문에 사실에 기초해야 한다. 역사교과서 편찬은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토대 위에서 표준과정과 심의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 해야 한다. 그런데 일본은 대내외 정치적 문제 때문에 독도를 포함한 과거 역사를 사실과 다른 역사로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일본은 2014년 기존 교과서에서 독도가 부분적으로 기술된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교과서에 들어갈 내용을 해설서에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일본은 2015 년 독도와 관련하여 일본의 고유영토, 1905년 시마네현의 편입, 1954년 한국의 불법점거, 국제사법재판소의 평화적 해결 등의 내용을 일본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대폭적으로 강화 되었다. 일본은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검정을 통해서 내셔널리즘을 강조하는 독도 교육을 전면적으로 강조하였다. 이것은 일본이 독도를 영토문제로 제기하는 수준을 넘어, 역사문제로 전면적으로 확대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는 동북아의 평화적 미래보다는 아베정권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했다. 일본은 독도와 관련하여 초등학교에서 시각적인 측면, 중·고등학교에서 논리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일본은 주로 근현대사 위주의 독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은 과거 고등학교 지리와 공민 교과서에 독도를 영토문제로 제기하는 수준을 넘어서, 현재 역사 교과서에 내셔널리즘을 강조하는 독도 교육을 전면적으로 실시하였다. 한국은 독도와 관련하여 초·중·고등학교에서 역사적 사실을 강조하였다. 한국은 주로 전근대와 근대사 중심의 독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 사회과 교과서는 독도에 관한 국제법적 측면, 논리적인 측면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 향후 한국의 사회과 교과서는 근현대 일본이 동북아의 역사 갈등을 유도했다는 서술이 필요하다. 또한 한중일의 근현대 역사 교과서의 공통편찬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유럽과 달리 동북아의 역사 갈등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벼리】언어에서 의사소통은 가장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다. 한국어 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에는 자신의 한국어 능력에 비하여 말 하기와 같은 표현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발음 을 그 이유로 생각할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가 어휘와 표현을 다양하 게 알더라도 화자로서의 발음이 명확하지 않으면 청자가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자가 이해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의사소통이 이 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가진 말하기의 한계가 발음에 있음 에 착안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주로 범하는 오 류를 모형으로 설계하고 발음의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의 개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 로 한국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문화적으 로 적합한 교수법’의 세 가지 요소 혹은 준거에 해당하는 ‘학업적 성공’, ‘문화적 역량’, ‘비판적 의 식’ 개념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을 실천하고자 할 때 유의 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한국 다문화교육의 상황과 맥락에 맞게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을 적용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스크랜튼은 기숙제 학교인 이화 학당과 보구여관이라는 여성 전용 병원 그리고 공옥여학교를 비롯한 수많은 여자매일학교를 세우고 여성교회와 부인성경학교를 세워 여성을 교육하고 여성지도력을 개발했다. 이것은 여 성교육 활동이었을 뿐만 아니라 개화기의 한국 여성들에게 ‘여성의 공간’ 의 창출이었고, ‘여성 주의’ 의식의 개발이기도 했다. 특별히 그녀가 설립 한 이 나라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이었던 이화 학당은 스크랜튼이 뿌린 ‘여성주의’ 의식이 싹을 틔우고 태동하는 중요한 묘판이 되었다. 이화학당 이라는 기독교적 여성 고등 교육 시설 안에서 개화기 한국 여성들은 사물 을 규정하고 명명하며 자신과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여성주의 의식’에 각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자기의식을 현실화하여 당당한 사 회적 전문인으로서 혹은 민족 독립 운동가라는 정치적 주체로서 자립해 가 게 되었다. 이화라는 공간 안에서 여성들은 무지로부터 해방되었고 가정이 라는 공간에서 해방되었고, 아내, 딸, 어머니라는 전통적인 역할로부터 해 방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여성을 자신의 삶과 역사의 주체로 세우고 사회적 존재로 확장해 가는 의식해방을 이루었던 것이다. 개화기 이화학당에서 태동된 ‘여성주의’ 의식이 가부장제적 성적 위계질서를 완전히 청산하지 못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개화기의 ‘여성주 의’ 의식은 자유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이나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저변을 이룬 우리 나라 ‘초기 여성주의’로서의 의의가 크다. 그러한 의미에서 스크랜튼은 이 나라 여성 교육의 개척자임과 동시에 ‘여 성주의’ 의식의 개척자이자 여성 운동의 개척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the items related to rural education farm management.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operators of rural education farm from October 6th, 2014 to April 30th, 2015, and 14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 the first quadrant, the environment of the farms(safety of the education farms, accessibility to the farms) and the existing customer management(dealing actively with the customer complaints, consulting with schools regarding the hands-on education and the feedbacks) were included. In the second quadrant, fourteen items were included. To mention these items in detail, the environment of the farms(lounge area for the guiding teachers), customer management(diversification of the publicity for the education farms, efforts to secure loyal customers, efforts to create new customers), campaigns of publicity and contents of publicity management(diversification of the publicity channels for education farms, off-line contents management, on-line contents management), ensuring professionalism(workshee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eriodical supplemental education for operators), hands-on education programs(new program development, customized program development, distinguished program development), costs(efforts for cost reduction, fees for hands-on education) were included. In the third quadrant, the environment of the farms(size of the education farms), publicity activities and publicity contents management(enthusiastic publicity activities),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programs related to rural education farm management) and in the fourth quadrant, the environment of the farms(environmentally-friendly and aesthetic natural landscape,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powder rooms and washstands, parking lots) were included.
이 연구는 한나 아렌트의 주저, 『인간의 조건』을 중심으로, 아렌트 사상의 주요 논제를 통해 한 국 교육 전반에서 다문화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와 그 교육적 의의를 규명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다음의 세 측면에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간은 ‘다원성(plurality)’과 ‘탄생성(natality)’을 전제로, 누구나 타인의 현존을 전제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며, 인간 주체의 정체성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누구나 이 세계(지구)의 이주자라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근원적 차원에서 한국의 다문화교 육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둘째, 한국 다문화교육에서 인간 활동인 ‘행위(action)’ 개념에 내재된 ‘용서(power of forgiving)’를 교육원리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셋째, 아렌트의 ‘평범한 악(banal evil)’의 개념으로 한국 다문화사회의 편견과 차별문제를 조명할 수 있으며, 현재 한 국적 다문화교육의 장애가 무엇인지를 밝혀주는 중요한 개념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벼리】이 연구의 목적은 L1에서 L2로 가는 과정에 있는 중급과 고급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들과 더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은 그 형태와 기능이 다양한데 이것을 중급과 고급 학습자들에게 교육을 하게 되면 한국 인처럼 모국어 화자와 같은 화법을 구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부정의문문을 단순히 ‘질문’의 의미에서 더 나아가 간접 화행을 통해 ‘명령’, ‘요청’, ‘동의요구’, ‘추측’, ‘강조’로 다섯 가지로 나누었으며 이것을 한국어 중급과 고급의 학습자들에게 설문지로 이 다섯 가지 이해도를 조사해보았다. 숙달도별로 결과 가 달랐지만 공통적으로 ‘추측’의 이해도가 떨어졌다. 그리고 기존에 나와 있는 한국어교재를 통해 한국어 교재에서는 어떻게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을 다루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교재에서만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을 문법으로 교육하고 있었고 나머지 교재에서는 주로 예문에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이 쓰이고 있었다. 단순히 부정 의문문의 예만 제시할 것이 아니라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에 대한 의미를 나타내는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언어교육이론에 입각하여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교육 방안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벼리】텍스트를 읽고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단어와 단어의 의 미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문장 안에서 단어의 쓰임을 이해하고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읽기 능력이다. 이러한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준에 맞는 읽기 텍스트가 바탕이 되어 야 한다. 본고에서는 읽기 텍스트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인 ‘이독성’의 연구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독성이 연구된 계기를 바탕 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이독성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연 구 되어야할 이독성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세월호 사건과 같은 대형 재난사고로 인해 재난상황에서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관리할 재난분야 전문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는 현재 재난관련 분야별 기능적인 전문가는 많지만, 재난 상황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난관리 전문가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재난관리 전문가를 양성하는 고등교육기관의 역할과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관리 관련 교육이 개설된 전문대학, 일반대학, 대학원에서의 재난관리와 관련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 12월을 기준으로 소방, 안전, 방재, 재해·재난관리와 관련한 교육프로그램(학과, 학부)이 있는 36개교의 전문대학(38개 재난관련학과), 40개교의 일반대학(45개 재난관련학과), 38개교의 대학원(55개 재난관련 프로그램)의 총 138개의 재난관련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의 고등교육기관의 재난관련 교육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재난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교육과정, 이수과목 및 학점, 학과교수의 전공 및 연구 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국내의 재난관리 교육 및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분석은 방재 및 재난관리의 교육시스템의 구축 및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벼리】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한국어 반의어 교육방법을 모색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제 한국어 반의어 교육의 현황을 교수자, 학 습자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교수자와 외국인 학습자 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반의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벼리】본 고는 한국어의 음운규칙중 동음화 규칙에 대해 대응이론 을 이용하여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음운규칙 에 대한 효과적 교수법을 제안하기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오류 실험 및 분석을 시도하고 교수내용을 제안하여 그에 대한 효과를 검증을 하고자 한다.
【벼리】세계화·정보화로 인해 나날이 다양해지는 사회문화적 소통 환 경은, 우리에게 한국문화교육의 역할에 대한 재고와 함께 실천적인 교 육 방안 모색이라는 도전을 안겨 준다. 무엇보다 학습자들이 매일 마 주하는 실세계 맥락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원활한 문화 간 대화는 사 회문화적 차원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즉 다문화적 환경에서 더욱 강조되는 것이 ‘소통 능력’이라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의 무분별한 수용 혹은 배척이 아니라, 복잡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와 행동을 스스로 선택
벼리】본고는 한국어로 된 노래를 활용하여 ‘동아리 활동’ 중심의 한국어교육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국 노래와 관련된 최근의 선행연구들이 ‘노래를 이용한 학습자 수준별 문법 및 문화수업’임에 반해 본 연구는 교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과과정 중심의 교수·학습에서 벗어난 ‘학습자 중심의 자유로운 모둠학습’이다. 학습자들은 각자의 개인학습과 모둠학 습을 통해 한국인들이 즐겨 부른 노래를 중심으로 학습 대상곡목을 선정하고 수료식 발표를 위해 가사를 연습·활용하면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한국인들의 사고에 대한 간접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어린 아이들이 어휘와 문법적 지식을 완전히 갖추지 않고도 노래를 따라 부르는 것처럼 외국인 학습자도 각자의 수준에 맞추어서 한국 노래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학습자 수준을 나누지 않고 수업을 진행하였고 이것은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자극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제시된 수업모형은 한 번의 수업만으로는 검증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학습자 주도적인 동아리 활동’에 대한 구성주의적 수 업방법과 전략을 사례연구를 통해 제시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벼리】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학습자의 비음동화 발음 실태를 살 펴보고 오류 분석을 통한 비음동화 발음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 다. 비음동화 환경이 포함된 문장을 영어권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발 화를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녹음된 자료를 바탕으로 환경별 비음동화 발음 오류를 분석하였다.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형 한국어 비음동화 교육방안을 마련하였다.
벼리】시 텍스트가 여러 한국어 교재에서 일부 채택되어 학습 제재 로 이용되고 있지만, 시 텍스트를 교수·학습하는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 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시 텍스트가 가지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인 시적 표현은 일상적 담화에서도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 당연히 요구되는 중요한 학습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국어교육과는 다른 독 자성과 특성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이 필요 할 것임을 전제로 하여, 시적 표현의 학습을 토대로 한 시 텍스트에 대 한 학습으로 심화·확대하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수업모형은 시 텍스트를 학습자에게 바로 제시하여 거부감을 느끼게 하 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담화 텍스트를 먼저 제시함으로 학습자가 쉽게 시 텍스트에 접근하도록 구성하였다.
【벼리】한국어 구어는 문어와 다른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진다. 그 중 하나는 종결어미가 아닌 요소들에 의해 종결되는 문장이 많다는 것이 고, 그 중에서도 연결어미로 문장이 끝나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한 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하게 되면 이러한 부분에서 어 려움을 느낄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이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 고 있는지를 한국어 회화 교재를 통해 점검해볼 것이다. 그리고 한국 어 모어 화자와 한국인 학습자들의 실제 발화에서 연결어미에 의해 종 결되는 문장의 빈도와 양상을 살핀 후 비교하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해 교육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거의 하지 않았던, 한국어를 실제 학습하고 있는 전국차원의 다문화가족 4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제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족들의 기초 학습 변인, 다문화가족들이 느끼는 한국어교육에 있어 다문화교육의 성격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족들의 한국어 능력과 그 중요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변인들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실증적인 조사 분석 결과 좀 더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해서는 학습 수요자인 다문화가족들의 학력 등의 기초 학습배경과 다문화와 한국어 능력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인들에 따라 한국어 각 영역에서의 교재수준을 조절하여야 하며, 한국어의 다문화교육 차원의 인식과 한국어 학습영역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알맞은 한국어 강의 교재 선택, 수업시간 조정, 수강 반 편성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