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ous method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clogging of the drain hole of the concrete dam and recover it. The effects of drainage holes were investigated through re-drilling at the two locations.
In this paper, the recovery stress of Fe based Shape Memory Alloy(Fe-SMA) was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of the Fe-SMA was heated to 160℃ and then cooled to evaluate the recovery stress. Pre-strain 2% and 4% was considered as experimental variables. The recovery stress of pre-strain 2% and 4% are 358MPa and 397MPa, respectively.
The organic farming was begun with principles and values like environmental friendliness, symbiosis, and cooperation and circulation. And there has cut keen market competition, as sales and market siz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much larger. Thus producers and consumers have kept up with the market trend making light of the philosophy and principle of organic agriculture. So cases of fraud or false certification have been increased since 2010. Accordingly, not a few consumers have distrusted of the safety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status of organic agriculture has shown downward trend and market size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reduced since 2012. Thus the income of organic agricultural farmers hasn't been increased. It is thought that present organic agriculture fell into the crisis. Now, organic agricultural farmers should practice farming methods based upon the philosophy and principle of organic agriculture in order to overcome its crisis.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SSNHL) is an emergent disease in otologic field. Audiometric follow-up in patients with ISSNHL is important to assess the benefit of treatment and guide initiation of salvage treatment.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 to guide the timing of follow-u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overy duration of patients who diagnosed as ISSNHL in each age group. A total of 150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reviewed the medical and audiological records. According to ag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0-19, 20-39, 40-59 years old and more than 60 years old. The period of time to final hearing levels was compared based on Siegel’s criteria. The period of time to final hearing leve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tients with complete recovery based on Siegel’s criteria. 20-39 group (10.3 days) showed faster recovery than 0-19 (18 days), 40-59 (15 days) and ≥60 groups (23.4 days). The period of time to final hearing leve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tients with partial and slight recovery. Young adults with ISSNHL appear to recover faster than other age groups with ISSNHL. The result suggests that children and the elderly with ISSNHL need longer follow-up for hearing and young adults with refractory ISSNHL need earlier initiation of salvage treatment.
Various method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clogging of the drain hole of the concrete dam and recover it. The effects of drainage holes were investigated through re-drilling at the two location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since it helps in finding out garden restoration mechanisms and factors that can be applied to garden components or design directivity that a user requires. However, PRS shows sub-factors, which differ from domestic studies, or has a problem with reliabili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studies on new factors considering individual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designed a PRS to be used in garden environments by newly applying Hartig et al.’s PRS (26 components) and RPRS (Revised PRS with 16 components, which is mainly used in Korea and pleasantness that is predicted, based on perceived restorativeness of garden. The study finding displayed that the traditional PRS (26 components) could explain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better and when pleasantness was additionally applied, the explanatory power of restoration-related variables was extremely high.
This study examined how ‘forest name’ and ‘information on forest healing effectiveness’ influence users’ perceived restorativeness (PR). The study area was ‘Forest Healing Road’ in Mudeungsan National Park. Data were collected from 359 Gwang-ju citizens selected by convenient and snowball sampling procedures using some simulated photographs and questionnaire during May-June, 2015. The placebo treatment group generally showed more positive ratings on PR than control groups. While the groups exposed to good environmental conditions didn’t show any differences on PR between placebo and control groups, the groups exposed to medium or bad environmental conditions showed differences on PR. Placebo effects on PR were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e.g., gender, age, education level), knowledge about healing forest,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healing forest. Some research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Purpose: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retic upper extremity post stroke continues to be one the greatest challenges faced by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lthough many tasks require the coordinated participation of both hands, rehabilitation strategies for the most part have focused on the paretic limb.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upled bilateral coordinated movements and repetitive high frequency TMS enhanced upper limb corticomotor excitability and motor function poststroke. Methods: For this study, we compared the neurophysi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associated with two such rehabilitation protocols: coupled bilateral training and coupled unilateral training. Twenty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training group over 8-week period. For this experiment, transcranial magnetic stumulation, EMG, Ag/AgCI suface electrode,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 jebsen-talyer hand function kit, box & block, and pinch & power grip test kit were used. Results: First, in the box & block and JTT task, coupled bimanual group showed a reduction in movement time in comparision to receiving coupled unilateral group. Second, in the cortical excitability within affected hemisphere, using TMS, an increased in map volume, and map number following coupled bilateral group. Overall, these finding suggest that a coupled bilateral movement and high frequency repetitive TMS protocol effective in recovering upper limb motor function and cortical excit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도 ‘건강’의 개념은 새롭게 변화하고 있어서 신체, 정신,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의 개인적 건강 요구와 지역사회의 치유적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폐경의 평균 연령은 변하지 않았지만 여성들의 수명과 폐경 후의 생존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여성들의 갱년기와 노년기의 건강한 삶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예비연구를 통하여 산림치유 활동이 갱년기 증상 완화와 정신건강 회복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연구를 통해 갱년기증상의 정도에 따라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적용이 갱년기 증상 완화와 정신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10주간의 산림치유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갱년기 증상과 정신건강 상태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림치유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의 갱년기증상과 정신건강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갱년기 증상이 완화되면 정신건강도 호전됨을 알 수 있었다.
2)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10주간의 ‘몸살林 마음살林 치유프로그램’적용은 갱년기증상 경중 정도가 다른 두 집단 모두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낮아짐에 따라 갱년기 증상의 정도와 무관하게 갱년기 증상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경증과 중정도 증상 집단 간 비교에서는 경증집단에 비해 중정도 증상 집단이 더 큰 폭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3) 정신건강 점수는 10주간의‘몸살林 마음살林 치유프로그램’적용 후에 증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경중 정도와 무관하게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갱년기 여성의 정신건강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4) 갱년기증상 경중에 따른 두 집단의 멜라토닌의 농도 변화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계절이 겨울에 가까워짐에도 불구하고 두 집단 모두에서 멜라토닌 농도의 수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갱년기 증상 완화 및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10주간의‘몸살林 마음살林’자기돌봄 프로그램은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 완화와 정신건강 회복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의 심신 건강을 위하여 숲을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들이 보다 많이 확산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 연구는 지역의 산림자원과 계절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연구임으로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의 산림자원과 계절의 특성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전후 초기 일본의 홋카이도(北海道)에서 이루어진 소련점령지 반환을 위한 대중들의 초기 운동에 대하여 주안점을 둔 것이다. 운동의 기원, 그 뒤에 숨은 배경, 그리고 일본 전체 국민들의 광범위한 동조를 얻는데 실패한 이유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초기 대중들의 요구는 지방의 경제적인 욕구에 의해서 형성되었고, 또한 공범위한 국내적, 국제적인 정치적 발전이 반영되었다. 이런 운동에 참여하고 있던 여러 조직단체들은 그들의 요구가 직접적으로 구성원들의 물질적 이익을 반영한다고 믿고 단결하였다. 이 운동을 이끈 이념은 1960년대 말 중앙정부가 주도한 이후 영토회복주의자들을 이끌게 된 비물질적인 민족주의와는 분명히 거리가 멀었다. 또한 광범위한 대중을 동원하는 운동으로 나아가지 못했고 당시 일본에서 주도된 주권 정체성과 공명을 이루지 못하고 구조화에 실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추적하였다.
산림치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숲이 인간의 건강, 정서와 마음 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런 효과는 개 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개인적 특성인 자연연관성, 부정적 감정 그리고 각성 상태가 스트레스 회 복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 여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을 반영하는 심박변이도와 이 변수 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50대 여성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 며 숲길을 걸었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연연관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감정 이 낮을수록, 그리고 각성 수준이 낮을수록 자율신경계의 안정을 나타내는 부교감신경이 보다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 활 동을 할 때, 긍정적 감정으로 자연과 적극적으로 교감한다면 산림 치유 효과가 보다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현대의사람들이 실내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실 내공간의 물리적인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오피스에 서 장시간 근무하는 업무자들은 그들의 직무와 업무환경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인 안정감을 주는 기능을 할 수 있는 식물의 도입은 이미 많은 연구 를 통하여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식물의 심리적 회복 효과와 관련하여 업무자가 선호하는 실내조경 공간을 도출하고 업무자의 심리적 회 복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조경모델을 도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출된 모델을 실제 업무공간에 적용하여 적용된 실내조경모델이 업무자 의 심리적 회복에 기여하는 것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4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예비 업무자 그룹인 S여대 3,4학년 124명과 실제 개방형 업무공간에서 일하는 40명의 업무자들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회복환경과 주의회복 척도를 가지고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업무자의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문헌조사, 현장조사 및 설문결과를 종합하여 실제 업무공간에 도출된 실내조경 모델을 적용함으로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업무공간에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 를 주는 디자인화 된 실내조경은 식물이 있으나 디자인화 되지 않 은 공간이나 식물이 없는 공간보다 1.5배에서 2배에 달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제시는 업무공간 내 실내조경 모델을 선정 하는데 있어 기존의 다양한 실내조경 디자인의 접근방법과는 차별 화 된 ‘선호’와 ‘회복환경 척도’와 ‘주의회복 척도’를 사용하여 보 다 심리적인 접근 측면에서 유용하였고, 단면적인 결과 도출이 아 닌 종합적인 제시를 통하여 디자인 선정이 의미가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요소의 다양성과 많은 변수를 감안하여 볼 때 본 문에서 제시된 디자인 요소와 적용 공간은 극히 제한적이다. 이는 디자인 요소를 정량화 시키는 과정에서 일관성 있는 기준 제시로 통계적 오류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선택했기 때문인데 앞으 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업무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활용될 수 있는 많은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changes in mechanical performance of steel beams are necessarily occurred by mechanical property degradation under fire exposure condi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idual stress, deflection and mechanical performance of H-section steel beams after exposure to fire were analyzed using ABAQUS.
기존 게임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게임의 수용, 사용자 만족, 지속사용 의도, 구전 의도와 같 은 연구는 수없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서비스 회복의 개념을 게임 연구에 적용시킨 사례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플랫폼인 카카오톡 게임을 중심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특성이 서비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공정성 이론과 혁신 확산 이론을 바탕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특성 요인을 분석 하고 해당 요인들과 서비스 회복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적합성을 제외한 모든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 특성이 서비스 회복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 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게임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위험 요소를 줄여 주며 게임 관련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최근 자연재해에 따른 도시내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 등에 대응하는 회복탄력성 있는 마을(resilient commun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개념과 기존의 마을만들기와 관련된 이론과 실질적 노력을 관련문헌과 마을만들기 사례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회복탄력성 있는 마을 만들기 위해 회복탄력성 있는 커뮤니티 계획개념(Resilient Community Planning Framework 또는 RCPF)을 제안하였다. RCPF는 복잡성과 다양성 그리고 미래의 불확실성을 마을만들기계획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물리적 요소 그리고 계획과정에서의 다양한 주체의 참여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있는 마을만들기를 위해서는 RCPF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더불어 이러한 요소들이 상호연결되어 있음을 인지하고 마을만들기를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AD의 주요 증상인 가려움으로 인한 피부상태 변화에 대한 국내자생허브로부터 추출한 ART오일의 회복효과를 확인하 고, AD 환자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서 활용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 하여 시도되었다. ART오일이 AD 피부상태 변화로 증가된 피부두 께, 비만세포 및 탈과립된 비만세포를 감소시킴으로서 ART오일 이 AD 환자 치료방법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동물실험 단계 에서의 나타난 효과를 치료적 측면에서 사람에게 적용하기 위해서 는 기초연구단계에서 보다 다각적인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아로마 오일을 이용한 AD 치료효과를 보고 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각각의 오일에 대한 반복적 연 구의 시도 및 선행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낸 아로마 오일간 의 비교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