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신학 전공 대학생들과 과학 교육 전공 대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우주와 생명의 기원에 관련된 관점과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며, 신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한 현대 과학의 이해와 관련된 과목을 한 학기 수강한 이후에 일어나는 관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신학 전공 대학생 26명과 과학교육 전공 대학생 19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경우, 수강 전 젊은 지구 창조론과 오랜 지구 창조론을 합하여 42%, 유신론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42%로 나타났으며 생물학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이에 반해,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들 대부분의 진화론을 지지하고 있었으며 극단적인 입장의 창조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창조론을 지지하는 대부분의 응답자는 과학이 창조주의 업적을 기술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고, 과학적 진화론을 지지하는 응답자는 과학이 자연 세계에 대한 논리적이고 기술적인 체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신학 전공 대학생들이 현대 과학에 대한 이해와 관련한 과목을 수강한 이후, 젊은 지구 창조론과 같은 극단적 관점을 지지하는 경우가 23%에서 4%로 감소하였으며, 유신론적 진화론의 관점은 다소 증가하였다. 이는 신학 전공 대학생들의 과학 관련 과목 수강이 신학 전공의 바탕에서 과학적 진화론을 이해하려는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HALS) and UV abosrber (UVA) and their respective photostabilizing effect on wood plastic composites (WPCs) a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accelerated weathering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and the microscopic morphology of a degraded layer on the cross section and the surface were studied. UV absorbers were more efficient at preventing composite lightening than was UV stabilizer. The amount of whitening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otostabilizers. With the addition of a UV absorber (Tinuvin360), the tensile modulus and strength of the composites increased slightly. However, the addition of a light stabilizer (Tinuvin770) and a UV absorber decreased the tensile modulus and strength of the composites. After 250 and 500 hr exposure, tensile modulus and strength of the un stabilized and stabilized composites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of UV absorber (Chimassorb81)-stabilized composite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and light stabilizer (Tinuvin770)- and UV absorber (Tinuvin360)-stabilized composites. UV absorber-stabilized samples showed less whitening and photodegradation than control and light stabilizer-stabilized samples.
목적: PRP(범안저레이저광응고술) 시행 전에 측정한 망막정맥충만시간의 절대치 뿐만 아니라, PRP 시행 전과 후에 그 변화량을 평가함으로써, 그 변화량과 신생혈관 진행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증식당뇨 망막병증으로 본원에서 PRP를 시행한 환자 중 PRP 전과 후에 형광안저촬영을 시행하였던 환자 32안을 주사형 레이저검안경을 이용한 형광안저촬영 시행 후 2주 내에 PRP를 시작하였고 PRP 시행 3~5개월 후에 다시 형광안저촬영을 시행하였다. 결과: 망막정맥충만 시간의 PRP 전 후의 변화는 안정화된 군에서는 -0.99±1.60초 감소하였고 불안정화된 군에서는 0.30±1.69초 증가하였으며 독립 T-검정상 망막정맥충만시간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국내에서는 해양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해양오염방지관리인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07년 1월 19일 해양환경관리법(법률 제8260호)이 제정되어 2008년 1월 20일부터 시행으로 됨으로써 1977년 제정되어 시행되어 오던 해양오염방지법이 폐지됨에 따라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 제도에도 변화가 생겼다. 주요 개정 내용은 교육훈련기관, 교육훈련과정, 교육훈련대상자, 해양오염방지관리인 업무내용 및 준수사항, 해앙시설의 범위, 교육과목 등이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성척추보조기 착용에 따른 균형의 변화를 알아보고 작업치료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6년 11월 20일 부터 2007년 2월 26일까지 김해시 I 대학교에서 실시하였으며 성인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도구는 균형능력을 측정하는 Tetrax Interactive Balance System 이며 연성척추보조기 중 요천추 코르셋을 사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Tetrax Interactive Balance System 을 충분히 습득한 세 명의 연구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산출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낙상지수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Fourier Harmony Index(KHI)) 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Weight Distribution Index(WDI) 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낙상지수 값의 변화는 유의하지 않았다(P<0.05).
결론 : 연성척추보조기 착용 유무에 따른 낙상지수 값의 변화는 P<0.05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성척추보조기의 착용 뮤우가 균형능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낙상과도 밀접한 관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균형과 연성척추보조기의 연관성에 관한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SnxSe100-X (15|X|30) alloys have been studied to explore their suitability as phase change materials for nonvolatile memory applications. The phase change characteristics of thin films prepared by a Radio Frequency (RF) magnetron co-sputtering system were analyzed by an X-ray diffractometer and 4-point probe measurement. A phase change static tester was also used to determine their crystallization under the pulsed laser irradiation. X-ray diffraction measurements show that the transition in sheet resistance is accompanied by crystallization. The amorphous state showed sheet resistances five orders of magnitude higher than that of the crystalline state in SnxSe100-X (x = 15, 20, 25, 30) films. In the optimum composition, the minimum time of SnxSe100-X alloys for crystallization was 160, 140, 150, and 30ns at 15mW, respectively.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the minimum time for crystallization of thin films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n,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activation energy for crystalliz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삼림파괴로 유발되는 몇 가지 기상학적 요소의 변화를 관측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서 기상관측 장치를 숲이 파괴된 곳과 숲이 보존되어 있는 곳에 설치하여 1년간(2006. 12.-2007. 12) 연속 관측하였다. 이 후로 숲이 파괴된 지점을 point 1 그리고 숲이 보존되어 있는 지점을 point 2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여름철에 강우가 있은 다음 날부터 1주일 동안 관측된 두 지역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관측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야간에는 두 지역의 온도분포가 비슷하였지만, 낮에는 지점 1에서 관측된 기온이 지점 2보다 약 1.5˚C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야간에는 두 지점간의 차이가 작았다. 상대습도도 숲의 보존지역(지점2)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그 차이는 한낮에 10%정도에 이르렀다. 지표와 지중 15cm 깊이의 온도도 두 지역 사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차는 낮에 크고 야간에는 작았는데, 대체로 지점 1에서의 값이 3-10˚C 더 높게 나타났다. 토양수분은 지점에서 7.1%, 지점 2에서 19.5%로 나타나서 지점 2에서의 토양 수분이 지점 1보다 훨씬 높았다. 두 지점에서 풍향은 주로 북서-북동풍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풍속은 지점 2(0.3m/s)에서 지점 1(0.5m/s)보다 작게 관측되었다. 이러한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두 지점 사이에 존재하는 열수지적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getable eating behaviors an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The subjects consisted of 191 fourth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Gyeonggi provinc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precontemplation (PC, 18.4%), preparation (P, 43.5%), and action/maintenance (A&M, 48.2%). The trend to eat a variety of foods was more distinctive as the students went from the PC to the A&M stage. The stage of change for vegetable intake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kimchi-eating pattern of the students. The A&M group ate more vegetables than the PC group because they liked vegetables and/or wanted to prevent disease. The PC group had a lower tendency to follow recommendations for vegetable eating than the P and A&M groups. The PC group also had an incorrect notion that low vegetable consumption over an extended time would not have a big impact on their health. The vegetables of high preference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otato, sweet potato, lettuce, radish, perilla leaf, cucumber, and cabbage. The vegetables of low preference were spinach, onion, balloon flower, and green pepper. The PC group had lower preferences for most vegetables than the P and A&M groups. Therefore, careful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especially for students in the PC group in order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s of vegetable intake and negative effects of an unbalanced diet. It is also necessary to survey students' tastes consistently and to develop recipes that encourage them to consume more vegetables agreeably.
The directions of the road are divided into two, the right-hand side and left-hand side of the road, by the convention and specific native method in the world.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drivers who are accustomed to drivin
A number of trend test methods, i.e., Military Handbook test and Laplace test etc., have been applied to investigate recurrent failures trend in repairable systems. Existing methods provide information about only existence of trend in the system. I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is to conduce the survey of three groups of college women living in different residential districts, Seoul, Gyeonggi-do and a district, each other,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wearing blue jeans, comparative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in each residential district of wearing blue jeans and cognition by change of crotch length and trend through comparison of cognition on dressed blue jeans with short crotch length. By which investigation, it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ir condition and propose of blue jeans as may offer fit with short crotch lengt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presented college women had hipbone blue jeans in order of 2~3 and more than 4 in all of residential districts, they purchased hipbone blue jeans with crotch length in order of for middle crotch(23 ㎝) and short crotch(21㎝) commonly in all of residential districts, and they care a lot for exposing back waist and hip of hipbone blue jeans without reference to residential district. They had a bad feeling for exposure, and as an alternative to deal with this, they answered mostly on ‘wearing hipbone underwear’ or ‘wearing long upper garmen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idential districts in silhouette and exterior fitness of crotch length among important factors when wearing hipbone blue jeans.
Purpose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intraocular pressureCIOP) and K-reading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 : This research was done on the cataract-operated 154 eyes, and measured both intraocular pressureOOP) and K -reading before and after surgery operation. Each of the patients was male 58(70eyes) and female73(84eye). Result : ln case of IOP in preoperative, the average value of IOP was 14.2171± 3.2264 mmHg. ln postoperative, the average value of IOP was 13.5855±3.0955 mmHg, which was lower than preoperative. And aJs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In case of K-reading in preoperative, the average vaJue of K-reading was 7.6422±0.2551 mm. In postoperative, the average value of IOP was 7.6567±0.2695 mm. It showed a little deerease and no statistical diffcrcncc was fotmd.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aocular pressure(IOP) decreased after cataract surgery(p < 0.05), but we judged that age and elisease like glaucoma of each subject can influence on increase and deerease of intraocular pressureOOP) by the error. ln addition, we judged the change of K-reading was caused by incision position of operatien and type of IOL etc.
청동기시대 주구묘는 주구라는 묘역시설로 매장주체부 주변을 구획하는 묘제로서 고고학적인 의미는 몇 가지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구묘의 최초 등장은 한반도 남부지역 전체에서 거의 동시기인 전기 후반이며, 변화 양상에는 지역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이전과는 달리 피장자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측면이 두드러지며, 특정지역에서 주거공간과 구분된 묘역을 형성하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발생 당시의 주구묘는 일본 야요이시대 방형주구묘와 같은 분구묘적인 개념을 가졌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철정리와 옥방8지구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매장시설을 설치하는 방식이 적용된다고 하여도 전반적으로 분구묘의 매장관념에 적합하지는 않다고 판단된다. 또한 일본 야요이시대 방형주구묘와의 직접적인 계보를 상정하기에는 시기나 매장방식, 구조적인 측면에서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음 단계의 묘제인 지석묘로의 대체는 자연스럽지 못한 면이 있다고 판단되지만 영남 남서부지역 주구묘는 형태적인 측면에서 원형과 방형계통이 공존하는 전통은 지석묘 단계에도 자연스럽게 계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주구묘의 발생에 관한 문제는 외적인 요인보다 현재로서는 전단계와 다른 매장관념에서 발생하였다는 점으로 내적인 요인에 의해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analyses the railroad trunk line constructed in the Korea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analysis consists of the following problematics. 1) The process of the decision of the railroad route 2) The relationship of the location of Eupchi and the stations By clarifying the abo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the morphology of the city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with Korea and Japan. The Empire of Japan has been reconnoitering the Korea since way before the formal contract for the railroad construction was signed. Therefore, the Empire of Japan had a very good understanding of the actual transportation system when it started the construction of the railroad. The railroad construction was used by the Empire of Japan to empower the control over the Korea. For this reason, the new railroad system was constructed as a different system from the former transportation system and the urban system was also affected. Also the relationship of the western powers and Japan around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defined the characteristic of the railway system as a pathway through the Korean peninsular to link Japan to the continent. Moreover, being apprehensive about the friction with the western, Japan located the railway stations to avoid the missionary land properties. This made it clear that the restraint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the western affected the urban special structure.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변화에 대한 연구를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천수만 부남호와 간월호에서 실시하였다. 기러기류는 주간에 주로 농경지에 분포하였으며, 해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격자별 최대개체수를 이용한 분포도에서, 농경지에서 관찰된 기러기류는 부남호와 간월호 지역 모두 면적이 넓은 지역에 대한 분포비율이 높았다. 특히, 잠자리지역인 저수지와 가까운 지역의 취식비율이 높았다. 기러기류의 주간 취식지는 부남호와 간월호 모두 초기 10월에는 잠자리 지역인 저수지 인근 농경지를 이용하였지만, 월동 중기 1월 이후에는 잠자리에서 먼 지역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월동말기인 3월에는 개체수 규모가 크게 줄어들고 잠자리에서 먼 지역의 농경지를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하였다. 저수지에서 가까운 1km 이내 지역의 평균 개체수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았다. 월동초기(10~11월)에는 저수지 인근지역이 취식지로 선호되었지만, 12~1월 그리고, 2~3월로 갈수록 평균 서식개체수의 차이가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km 이내의 격자지역은 초기에 매우 높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차차 감소하여 2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반면, 저수지로부터 2km 이상 떨어진 지역은 초기에 매우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점차 증가하여 1월말에 최대 이용률을 보이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1km 이상2km 미만에 해당하는 지역은 초기에 2km 이상지역보다 이용률이 높고, 1km 미만의 지역보다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11월까지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러기류의 취식지 선택이 잠자리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으며, 취식무리의 체류 시간에 따라서 먹이량이 감소하여 취식지 선택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