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80

        1501.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주식 밥은 쌀, 찹쌀만으로 짓는 흰쌀밥, 기름찰밥이 대부분이었고, 그외의 밥의 주재료는 쌀이었고, 부재료는 잡곡, 두류, 야채, 산채, 견과류 등을 사용하였다.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찌는 법을 사용하였고, 조미료로는 흰쌀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종류의 밥에는 소금을 기본으로 이용하였다. 죽은 쌀을 주재료로 한 흰죽이 가장 많았고, 부재료는 유종실류, 한방재료류, 우유등을 이용하여 왼죽상태로 끓이는 것이 특이하였다. 국수는 건국수보다는 손국수의 형태가 많았고, 주재료는 밀가루가, 부재료는 콩가루, 메밀가루, 수수가루, 찹쌀가루등이 사용되었으며, 국수 마는 국물에는 표고버섯, 다시마 이외에 들깨, 참깨, 잣, 호도, 가죽나물 등이 이용되었다. 수제비는 밀가루를 주로 이용한 밀수제비가 대부분 이었고, 찹쌀 새알심 반죽에는 쪽을 넣어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국물맛은 다시마, 표고버섯외에 가죽나물을 사용하여 특이한 맛을 내었다. 2. 부식 찌게보다 국이 3배 정도 많이 이용되었고, 주재료로 국에는 엽경채류가, 찌게에는 열매채소가 주로 사용되었다. 국물맛은 간장과 된장이, 양념은 고추가루, 마늘, 파와 참기름이, 농후제로는 들깨가루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림의 주재료로는 근채류가 대부분이었고, 조리법은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간장, 설탕, 물엿으로 조리는 방법이었고, 찜은 각종채소와 산채류를 국물에 익혀 들깨가루, 찹쌀가루를 섞어 농후하게 하는 방법이었다. 생채, 나물, 볶음에는 엽경채류와 산채류가 주재료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삶거나 데쳐서 무치는 방법이 많았다. 볶음, 나물에는 간장, 소금을, 산채류에는 된장, 고추장을 기본 간으로 하고 있었다. 생채와 나물에는 참기름이, 볶음에는 들기름과 식용유가 주로 이용되었고, 양념에는 마늘, 파 이외에 인공조미료도 이용되고 있었다. 전(튀김)에는 엽경채류와 근채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버섯, 더덕, 도라지, 우엉, 마등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에 구이에 사용되었고, 사용되는 기름은 거의 모두 시판 식용유였다. 쌈의 재료는 상치가 가장 많았고, 방장은 된장, 고추장, 막장외에 멸치젓갈도 사용하였다. 회에는 생표고버섯이, 묵의 재료로는 도토리, 메밀, 녹두, 동부등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양념장을 뿌려서 먹는 법외에 묵볶음, 묵장아찌, 묵구이, 묵전등 매우 다양하였다.
        4,000원
        1502.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oo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food service operation in day-care centers. Subjects consisted of 55(experimental) and 25(control) foodservice employees and 33(experimental) and 20(control)dire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e majority of child care directors(55.0%(control), 46.9%(experimental)) received food sanitation education but 70% of control and 75.7% of experimental group did not conduct any practical sanitation training for employees. 2. The employee's food sanitary practices of control and experimenta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re-test level bu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at the post-test level. 3. The sanitary knowledge of food service employees between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re-test level, but a significant knowledge improvement was observed at the post-test level such as food poisoning concepts and sanitary equipment maintenance only in experimental group. 4. Dicrectors' sanitary practices affected the employees' sanitary practices but directors' food sanitary knowledge did not have much influence on the employees' knowledge.
        4,000원
        1503.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품가공공장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필요로 되는 여러 가지의 단위공정이 조합되어 가동되고 있다. 식품제조 공정중 분리, 분획 및 농축은 매우 중요한 처리로 이를 위해서 증류, 증발, 원심분리, 여과 등의 조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최종 제품이 액상일 경우 유통중 변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살균 공정을 반드시 거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품의 생산과정 중 사용되는 폐수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서 폐수정화시설이 필수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대부분의 조작과정 중에는 열처리가 반드시 수반됨에 다라 가공원료 중에 함유된 각종 영양 성분이 부분적으로 열에 의해 파괴되고 냄새나 색 등이 변함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열화됨은 물론, 에너지 비용, 관련시설의 설치에 소요되는 부지, 시설비 및 운영비 등이 많이 필요로 된다.
        5,500원
        1505.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506.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compares the texture describing terms used in East-Asian countries, China, Korea and Japan. The terms and definitions enlist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ensory Analysis-Vocabulary, ISO 5492(second edition 1992) were used as the reference. It includes hardness, fracturability, chewiness, gumminess, viscosity, springiness, adhesiveness, granularity, conformation, moisture and fatness. The Chinese scripts used for the description of each textural terms in these three countries were compared and their native expressions were collected. The food items representing typical textual characteristics in the East Asian countries were also listed.
        4,000원
        1507.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식사패턴 (1) 일상식 승가의 식사첫수는 일일삼식(一日三食)의 규칙적인 식사로 대용식은 거의 없었고, 소수의 사찰에서는 흰죽, 과일, 미싯가루, 조과, 찜, 우유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병인식으로 칠일약(七日藥)이 아닌 주로 흰죽 종류가 이용되었다. 사찰에 늘 상비하고 있는 양념류는 간장, 된장, 깨소금, 참기름, 식용유등을 필수로 하였고, 제피가루, 고추가루, 산초, 인공조미료 등을 일부 상비하고 있었다. (2) 접대식 스님과 일반손님의 접대식으로는 반상(飯床)차림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그외에 다과, 떡, 국수등으로 접대하였으며, 대소 행사시 내객을 위한 음식으로는 비빔밥, 찰밥, 오곡밥, 약밥, 떡국, 콩국수등 단체급식하기 쉬운 음식이었다. (3) 행사식 사찰의 대소 행사식은 육류사용이 제한되는 외에는 대체로 일반세시식과 같았으며, 일반세속과 다른 점은 산채비빔밥과 음료로서 송차가 준비되는 것이었다. 불전공양식(佛前供養食)은 대부분이 오공양(五供養)으로 하였으며 제사음식은 밥, 탕국, 나물, 전, 떡, 과일, 과자등 일반 세속의 제사음식과 같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2. 특별식 떡류는 찌는 떡, 치는 떡, 빚는 떡, 지지는 떡의 4종류중 사용빈도로서는 치는 떡이 가장 많았으며, 찌는 떡으로서는 팥시루떡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고물과 속으로 사용되는 부재료로서는 팥, 녹두, 콩이 많았으며, 쑥이 배합된 떡도 있었다. 조과류로서는 약과, 강정(산자), 다식, 정과, 양갱등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였다. 음청류로는 농후음료류, 엽차류, 냉음청류, 약이복식류와 유(乳) 및 유(乳)제품류로 분류하였고, 조과류와 함께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솔잎차와 같은 약한 알콜성음료도 이용되어 여름철에는 약수에 간장이나 죽염을 타서 사찰에 오신 손님을 접대하기도 하였다. 3. 저장식품 승가의 저장식품으로는 장아찌류에는 산채가, 김치류에는 엽경채류가, 말림류에는 산채류가, 부각류에는 산채와 해조류가 많이 사용되었고, 묵말림과 같은 특이한 저장식품이 많이 사용되었다.
        4,000원
        1508.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OMONG is the period of the primitive economy of collection in Japan. YAYOI and KOBUHG is the period of beginning of rice farming and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many culture from Korea that made influence to food culture in Japan. In the period of JOMONG, people ate foods that became sooty. In the period of YAYOI and KOBUNG there were methods of steaming, boiling, roasting, broiling. At that time Koreans introduced Japanese the brewing and Japanese developed it. In the period of JOMONG, people used the earthenware of Jugu style(originated from Japan) and in YAYOI and KOBUNG, they used TOSAGI & SEHAEGI. (infuluced by KAYA period in Korea)
        4,000원
        1514.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1518.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spitalized patient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hospital food and their importance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by 820(men 435, women 385) hospitalized patients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n rated the size of food portion as being smaller, compared with women. The mean rating for nutrition of food was 3.24, freshness 3.15, taste 2.88, temperature 2.82; Among the food characteristics, nutrition was considered important by largest percentage(75.5%) of respondents, the taste ranked second(74.4%), and freshness was 62.2%; Appetite, atmosphere of ward were positively correlated(p<0.001) with rating of the taste, nutrition, and freshness, but length of hospitaliz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p<0.001) with the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ppetite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made the second greatest contribution. The third was atmosphere of ward, and the forth mood condition.
        4,000원
        1519.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1030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 for the food habit and weight control. Actual weights were also measured, on the spo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73.15 cm, 63.83 kg for male, and 160.52 cm, 52.73 kg for females. The prevalence of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was 32.3, 61.7, 5.5%, respectively. 2. Food habit scores of obese females were lower than normal or underweight females. Male subjects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scores among three groups. 3. Female obese subjects have lower scores than the other groups on the balanced intake of five basic food groups and on the regular meal intakes. Male obese subjects have cholesterol-rich food and animal fat more frequently than normal and underweight males. Male underweight subjects have lower food habit scores on the balanced intake of five basic food groups. 4. Males want to gain weight slightly and females want to lose 4.65 kg weight. All females want to lose weights. Obese males and females want to lose 10 kg weights.
        4,000원
        1520.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네가지 종류의 곤충 중장에 있는 주요 해독효소인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의 활성을 그들의 먹이종류 및 섭식여부와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담배나방유충을 인공사료로 사육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중장의 cytochrome P-450 monooxygtenases(MFO)활성이 지방체의 경우보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고추열매나 인공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하였을 때보다 담배잎으로 사육하였을 때 담배나방유충의 중장 MFO는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흰불나방의 경우염주나무잎이 MFO활성을 가장 높게 유기했다. 담배나방, 파밤나방, 희불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의 유충들을 각각의 인공사료로 사육하였을 때 광식성이며 동시에 살충제저항성을 보유하고 있는 파밤나방의 MFO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