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치료의 성적이 좋지 않 을 뿐 아니라 항암요법과 병행 하였을 경우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방사선 치료를 병행함에 도 불구하고 정상세포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 여 감마선을 TNF-α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세포 죽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 인하였다. HL-60 세포는 APL 세포주로서 사용하였고 DMSO를 처리하여 분화시킨 HL-60 세포는 정상과립 구의 성질을 나타내어 정상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TNF-α와 함께 감마선을 처리한 HL-60 세포에 서만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세포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TNF-α 는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저농도 감마선 치료 시 함께 사용하여 암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켜 암 의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효물질로 사료된다.
컴퓨터 게임에서 대부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이다. 사운 드 형태 명령어의 전체 처리 시간은 크게 명령어 입력 시간과 인식 시간으로 구성된다. 본 논 문은 명령어 신호 전체를 입력받지 않고 일부 앞부분 신호만을 받음으로써, 입력 시간을 줄여 전체 처리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방법에서는 HMM(Hidden Markov Process)를 이용해 명령어 신호를 인식하는데, 전체 신호 및 부분 신호들에 대해 별도의 HMM 을 구성한다. 플랫홈 게임의 대표 명령어들을 음성과 손바닥 소리로 표현해, 본 논문의 방법을 실험했다. 실험 결과, 인식률의 큰 저하 없이 명령어 처리 시간을 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 구는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다양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study, Cavities in Specimens were find using GPR equipment. Results of exploration deadline for plain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asphalt, gravel, depending on the type, asphalt pavement was most clearly exploration. Developed GPRiPP can represent a good cavitation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with the background removal.
Conventional strain gauge can measure about 15~20% elongation. However, when the steel are ruptured, the strain at the necking region can be much higher than the measurement capacity of the conventional strain gauge. To measure the maximum strain at the necking region a new measurement technique should be developed.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image processing method for measuring 2-D strain distribution of tensile specimen of steel is propos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based measurement method of structure dynamic characteristics to assess the damage of structure in a more cost-effective way than traditional structure health monitoring system.
Rice flour is used in many food products. However, dough made from rice lacks extensibility and elasticity, whereas that of wheat is suitable for many food products including breads. We have produced marker-free transgenic rice plants containing a wheat TaGlu-Ax1 gene encoding the HMG-GS from the Korean wheat cultivar ‘Jokyeong’ using the Agrobacteriummediated co-transformation method. The TaGlu-Bx7-own promoter was inserted into a binary vector for seed-specific expression of the TaGlu-Ax1 gene. Two expression cassettes comprised of separate DNA fragments containing only TaGlu-Ax1 and hygromycin phosphotransferase II (HPTII) resistance genes were introduced separately to the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5 strain for co-infection. Each EHA105 strain harboring TaGlu-Ax1 or HPTII was infected to rice calli at a 3:1 ratio of TaGlu-Ax1 and HPTII, respectively. Then, among 210 hygromycin-resistant T0 plants, we obtained 20 transgenic lines with both TaGlu-Ax1 and HPTII genes inserted into the rice genome. We reconfirmed integration of the TaGlu-Ax1 gene into the rice genome by Southern blot analysis. Transcripts and proteins of the wheat TaGlu-Ax1 were stably expressed in the rice T1 seeds. Finally, the marker-free plants harboring only the TaGlu-Ax1 gene were successfully screened at the T1 generation.
경남 남해군에 자생하는 고유품종으로 품종보호 등록된 섬애약쑥의 채취시기와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5, 6, 7월에 동일한 재배지에서 수확한 후 각각을 12일 동안 음건(SD) 및 60℃에서 7일간 숙성한 다음 90℃에서 220분간 저장하여(AD) 건조하였다. 전처리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섬애약쑥의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0.42±0.02~0.43±0.01 g/100 g과 0.41±0.02~0.47±0.04 g/100 g이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AD(1.29±0.08~2.90±0.08 g/100 g)와 비교하여 SD(1.85±0.09~3.45±0.14 g/100 g)에서 더 높았다. 물 추출물을 31.5, 62.5, 125, 250, 500 μg/mL의 농도로 제조하여 항산화활성을 평가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SD 5월 시료와 AD 7월 섬애약쑥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FRAP도 이들 시료에서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β-Carotene에 대한 탈색 저해활성도 SD의 5월과 AD의 7월 시료에서 각각 25.53±2.85~81.43±2.56%, 35.98±2.22~79.00±1.42%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섬애약쑥은 5월 채취하여 음건하였을 때와 7월에 채취하여 숙성 가공하였을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L2 learners employ similar processing strategies as native speakers when disambiguating attachment of a relative clause (RC)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SL). Different processing strategies were tested with temporarily ambiguous sentences containing RCs when the head NP is a complex NP (NP1 of NP2), in which either NP1 (low attachment, LA) or NP2 (high attachment, HA) can be an antecedent. The RCs were controlled for length (short vs. long) and position-sentence initial (scrambled word order) vs. sentence medial (canonical word order). Native speakers consistently showed a clear HA preference regardless of the length or the position of the RCs, whereas KSL learners showed a clear LA preference. The attachment differences between L1 and L2 are discussed in terms of transfer and prosodic sensitivity.
본 연구는 귀뚜라미 소재를 식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가공방법에 따른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과 조회분 함량은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분함량과 조지방은 튀김건조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섬유는 각각의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열풍건조 처리구의 키틴함량은 약 12%로 튀김건조 처리구의 6%의 약 2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귀뚜라미 시료의 지방 100 g 중에서 불포화지방산이 63.55 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포화지방산은 튀김건조 처리구가 지방 100 g 중에서 31.88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동결건조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풍건조, 볶음건조 및 튀김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건조조건에 따른 귀뚜라미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금속과 미생물 분석을 한 결과, 카드뮴과 수은이 검출되었으나 이는 각각 중금속의 식약처 고시 기준인 0.2 ppm, 0.5 ppm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납과 비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도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In this study, longitudinal strain distribution of spliced rebar in the 1-directional tension test are evaluated with an image processing method (IPM). From these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the coupler can decrease the elongation at the ultimate load, therefore, the spliced rebar with coupler should be evaluated to be used in the RC structure with LSD.
In this study, the crack detecting system with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based on the mathematical morphology method was developed to detect cracks in concrete structures. In the developed system, the image combining technique of reconstructing multiple images as an entire single image considering efficient management of analysis results was applied as an additional module.
이 연구는 남명의 신명사도에 나타난 인간 마음의 특징과 그 작용에 대한 관점을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 관점에서 학습심리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신명사도의 의미와 인간정보처리론과 정보처리모형을 살펴본 다음, 신명사도의 학습심리적 요소와 정보처리모형을 상호 비교해 볼 것이다. 그럼으로써 신명사도가 지니는 학습심리적 함의를 인간정보처리 론에 기초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신명사도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마음의 작용을 통해서 실천적으로 나타나 는 행동을 표현하는 그림이다. 구조적으로는 원곽, 원곽내, 그리고 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신체적으로 눈·귀·입, 두뇌 및 마음, 몸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능적으로는 정보수집, 인지과정, 몸의 행동으로 작용한다. 또한 신명사도는 인간정보처리론적 학습심리의 관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 점을 밝혀냄으로써 본 연구는 서구의 학습심리 이론보다도 무려 400여년이 나 앞서 교육에 활용되었다는 점을 구명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 아볼 수 있다.
신명사도를 인간정보처리론적 관점에서 고찰해 볼 때, 드러낼 수 있는 학 습심리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내적 인지과정을 이해할 수 있 는 학습심리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 둘째 인간의 학습과정에 있어서 효과 적인 학습방략을 제시해 주었다는 점, 그리고 셋째 학습자를 능동적인 정보 처리자로 간주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중모1017’은 중부지역 적응 고품질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2년 하계에 중생이고 내도열병 및 흰잎마름병 저항성인 수원462호와 쌀의 외관 품위가 좋고 도정특성이 좋은 영덕34호를 교배하여 SR27934-GH1-29-1계통을 선발하고, 수원529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009~2011년 3개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1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중모1017’로 선정되었다. ‘중모1017’은 중부평야지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6일로 ‘화성’보다 6일 늦은 중만생종이다. 간장은 65 cm로 ‘화성’의 83 cm보다 18 cm작은 단간 내도복성이고, 이삭길이, 주당 이삭수 그리고 이삭당 입수는 20 cm, 14개 그리고 93개로 ‘화성’과 같았다. 등숙비율은 81.0%로 ‘화성’보다 약간 낮고, 현미 천립중이 22.0 g으로 ‘화성’과 비슷한 중립종이다.‘중모1017’의 도열병저항성은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및 내구저항성 검정 결과 ‘화성’보다 강한 저항성을 보였지만,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 및 멸구류에 대한 저항성이 없었다. ‘중모1017’은 도복과 수발아에 강한 반응을 보였지만 내랭성은 ‘화성’보다 약한 반응을 보였다, 입형은 현미 장폭비가 1.71로 단원립이고, 백미외관은 심복백이 거의 없어 맑고 투명하였다. 단백질함량은 6.4%, 아밀로스함량은 18.0%로 ‘화성’의 7.1% 및 20.8%보다 낮아 식미관능검정 결과 0.53으로 ‘화성’보다 밥맛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또한 밥알의 경도가 부드럽고 치반점도와 균형도가 낮고 식은밥과 무균포장밥의 식미가 우수하여 무균포장밥 또는 가공밥용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현율과 도정률은 ‘화성’보다 약간 낮고 현백률은 비슷하였지만 도정된 쌀의 완전미율이98.8%로 화성(94.7%)보다 높아 완전미 도정수율은 75%로 ‘화성’보다 우수하였다. ‘중모1017’의 쌀수량은 ‘09∼’11년 3개년 간 7개소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5.01 MT/ha로 대비품종 ‘화성’과 비슷한 수량성을 보였다. ‘중모1017’의 재배적지는 중부 평야지 이다.
폐자원인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환경친화형 유기농 액비의 개발을 위하여 유용미생물(EM)을 이용한 우렁쉥이 껍질의 최적 발효조건과 액비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EM발효 우렁쉥이 껍질 액비 제조 시 당밀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아지며, EC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당밀이 10%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EM발효 우렁쉥이 액비의 총 질소 함량은 발효가 경과할수록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약 220%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인의 함량은 발효 21일차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칼륨의 함량은 발효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의 함량 역시 발효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고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증가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칼슘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성분(As, Cd, Cu, Cr, Hg, Ni, pb 및 Zn)의 함량은 시험구 모두에서 비료공정규격 기준치에 적합하였다. 우렁쉥이 껍질 액비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29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7,080.94 mg/L를 나타내었고 알라닌이 656.32 mg/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액비화에는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조건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라지는 세계적으로 1속1종만 알려져 있는 식물로 관상용으로 도 가치가 있는 대표적인 약용 및 식용식물이다. 경상남도에서 제 정된 토종농산물 보존·육성에 관한 조례에 도라지가 포함되는 등 국내에 자생하는 토종 도라지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여기 에 최근 국내 도라지 최대 수출국이던 중국의 자국 내 도라지 수요 증가로 수출물량의 감소로 인해 국내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증가 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춰 장백도라지의 대량 증식을 위한 조직배양 및 순화 조건, 도라지 재배로 인한 토양의 화 학적 특성변화, 뿌리 썩음 방제, 수확 후 저장 및 가공과정에 관한 연 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국내산 토종도라지는 지표물질로 알려진 platycodin D 가 중국산에 비해 현저히 적다는 것이 다수의 연구결과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발표된 연구결과를 종합 해 볼 때 도라지의 다양한 약리작용을 platycodin D 가 대표하 지는 않는다는 점이 뒷받침 되므로 국내산 도라지의 고유성분에 대 한 연구와 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재배방법 및 가공방법에 대한 체 계적인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 에서는 도라지의 기 원, 재배, 가공, 효능에 대해 분야별로 최근 보고된 연구결과를 종합 하여 다음과 같이 국내도라지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 다. 첫째, 외래종에 비해 토종 도라지는 사포닌이 platycodin D에 편중되지 않고 재배기간이 길어질수록, 측근이 발달할수록 극성이 큰 사포닌 생성이 되므로 이러한 사포닌에 대한 생체이용률을 높이 기 위해서는 발효 또는 가열처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platycodin D가 항암연구에 집중되어 있다면 platycodin D 이외 의 국내산 도라지에 함유된 다양한 사포닌으로 콜레스테롤 감소효 과, 면역조절작용 및 기억력개선작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 째, 도라지의 뿌리 이외에 지상부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 화작용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probes whether relative frequency is a potential factor which can determine Korean L2 speakers' access to morphologically complex words and whether their processing pattern varies according to affix type and participants' L2 proficiency. A processing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by Korean L2 speakers rated English affixed words as more complex and measured their percentages and reaction time. Our results exhibited that subjects judged as more complex the forms where the whole derived words were less frequent than their embedded base forms and that the words which were more frequent than their base forms were judged as less complex in a robust manner like L1 speakers. Further, such a trend did not vary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and affix type. These findings provide supportive evidence that relative frequency facilitates L2 speakers' processing of morphologically complex words. Additionally, they imply that they access L2 derived words through decomposition to constituents such as base forms, supporting dual-route model. Finally, the relative frequency might emerge from an earlier stage of L2 development, coupled with the possibility that affixed words are represented along with frequency of the whole words and their constitu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sequential hydrolysis conditions by comparing with reducing sugar yield ofsequential hydrolysis of Laminaria japonica processing residue. After acid-catalyzed hydrothermal hydrolysis, sequentialenzymatic hydrolysis was performed with single enzymes such as Celluclast® 1.5L, Saczyme, and Alginate Lyase, andtheir mixture. As a result, the yield of reducing sugar by sequential hydrolysis with the mixed enzymes was the highest,but there would be an economical problem with excessive enzyme loading. Therefore, considering the reducing sugaryield and economics, it is thought that hydrolysis by the mixed enzymes has no advantage, thus, using the Celluclast®1.5L in the sequential hydrolysis was practically more appropriate. The optimal sequential hydrolysis conditions ofLaminaria japonica processing residue were determined to be 8% v/w of enzyme injection, 42.6oC of reaction temperature,pH 4.1, and 26 hours of reaction time after acid-catalyzed hydrothermal hydrolysis (0.108 N-HCl, 144oC of reactiontemperature, and 22 minute of reaction time).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ximize extract yields of functional components in Angelica gigas Nakai by extrusion process. In addition, the optimizing condition of the extrusion process was established to increase the extraction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in A. gigas. The total polyphenol was increased by 40% compared to a control. And the optimizing condition was that the screw speed was 62.76 rpm, the amount of A. gigas powder was 34.79 kg/h, and the amount of water was 4.44 kg/h. The resul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A. gigas extrusion, the inhibition of oxidization had the effect of 10.29 ~ 14.59% compared to a control. The content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which were index components, was 6.37%; it was increased by 16.64% compared to a control (5.31%) and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p < 0.05). And the optimizing condition was the screw speed 93.71 rpm, the amount of A. gigas powder was 28.67 kg/h, and the amount of water was 9.9 kg/h.
Compton suppression 장치는 Compton 산란 반응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의 Compton continuum 부분을 억제함으로써 Compton continuum 영역 내에서의 감마선 피크들의 분석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표층토양 시료에서 검출된 인공 방사능인 137Cs과 자연 방사능인 40K핵종의 방사능 농도 값들에 대한 방사능 계수치가 백그라운드를 상회하는 측정값이 발생되거나, 불필요한 방해피크나 비해석 대상 피크에 대하여 검출된 표준선원의 방사능 농도 값들의 실측치에 대한 background를 비억제 스펙트럼(Compton Unsuppression)과 억제 스펙트럼(Compton suppression)을 적용시켜 측정 에너지에 대한 교정을 알고자 점선원인 137Cs을 거리별에 따라 측정하여, 몬테칼로 시뮬레이션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효율적인 검출 능력을 얻고자 함이며, Compton 억제 인자를 보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CSF 값이 클수록 더 많은 Compton suppression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137Cs을 이용한 컴프턴 비억제 모드와 억제모드로 측정된 스펙트럼에서 컴프턴 연속에 의한 백그라운드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