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국내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도시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 ‘I Seoul You’라는 도시 브랜드를 개발하였다. 이 브랜드는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아 보기 힘든 방법으로 브랜드를 개발하였다. 그것은 바로 시민 주도형 브랜드 개발이다. 이는 오픈 소스 비즈니스 전략을 활용한 것으로 관 주도의 일방적 활용이 아닌 시민 자발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도시 브랜드를 활성화하여 관광객을 유치하는 나라의 경우, 세계를 상대로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는 도시 브랜드가 지닌 힘이다. 서울시도 새롭게 도약하려면 도시 브랜드를 창출 할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이를 통해 시민 대표와 위원회 위원 간 의견 공유의 기회를 마련하는 취지에 대해서는 동의하나 시민회의에서 위원들의 역할을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민주도형 브랜드 개발의 활용사례와 그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고 서울시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시민 참여형 엠비언트 광고를 10가지 제안한다. 시민들의 반응도를 조사해 보았으며 설문조사의 79%이상이 앰비언트광고가 기존 광고보다 긍정적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앰비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민참여형 광고를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We analyzed the recent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PM) including PM10 (PM with diameter of less than 10μm) and PM2.5 (PM with diameter of less than 2.5μm) observed in Busan metropolitan area,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measur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analysis includes the monthly,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emissions and chemical compositions observed in both Busan and Seoul areas. Synoptic meteorologic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t the time when high PM concentrations occurred in each of the two areas. The results showed clearly decreasing trends of annual mean concentrations with strong seasonal variations: lower in summer and higher in winter in both areas. In comparison with Seoul, the seasonal variation in Busan demonstrated relatively lower, but showed greater summer fluctuations than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is implying the importance of secondary generation of PM in summer via active photochemical reaction in Busan area. In high concentration days, Busan’s chemical composition of sulfate was higher than that of nitrate in summer, whereas nitrate was higher than sulfate in Seoul. The ratios of NO3 - to SO4 2-(N/S ratio) showed lower in Busan approximately by a factor of 1/2(half of N/S ratio) in Busan compared with that in Seoul. Others such as synoptic characteristics and emission differences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논쟁학습 실천 지향성에 따른 논쟁학습 실천 장애 인식이 어떠한지를 탐구하여 논쟁학습 중심 민주시민교육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보이텔스 바흐 합의’의 내용이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와 정합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 구정보원과 서울교육정책연구소(2017)에서 위탁받아 시행된 「보이텔스바흐 합의 정신에 기반한 학교 시민교육 현장 적용 방안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하였다.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핵심 내용에 대한 지지 정도에 기반한 논쟁학습 실천 지향성을 분류하여, 조사 대상자는 ‘적극적/보통/소극적’ 논쟁학습 실천 지향성 집단으로 범주화되었다. 일원분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극적 실천 지향성 집단일수록 논쟁학습 내용이 교육과정과 교재 내용과의 부합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논쟁학습의 실천을 교사의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배 가능성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실천 지향성 집단일수록 논쟁학습 실행에 대한 제도적 제한뿐만 아니라 교사 신변의 불안정성을 뚜렷하게 인식하고 있는데, 이는 외적 장애에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극적 실천 지향성 집단이 논쟁학습에 대하여 부분적인 교수효 능감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이 서울시 중등 교사에 한정되어 있으나 논쟁학습의 실행 지향성 수준에 따른 논쟁학습 장애에 대한 교사의 인식 양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므로 향후 민주 시민교육 실천 확대를 위한 방안도 이에 따라 서로 차별화될 필요가 있다.
The long-term variability of summer heavy rainfal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period of 1970-2018.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phase from 1970 to 1994 and the second phase was 1995 to 2018. Long-term variability of summer heavy rainfall was examined using the change-point analysis method. Annual mean heavy rainfall amounts showed increasing trends in Seoul and Incheon during summer monsoon season (June to August). Results revealed that the changes in frequency and amount of heavy rainfall were observed larger in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as compare to June during the second phase. The upper-level trough was prominently developed at the wes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core region of the upper-level jet was shifted to the east of the area during second phase. The western North Pacific subtropical high was expanded westward and moisture flux flowed along the southwesterly wind, resultant increasing moisture supp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ended to increase recently at the lower and mid-levels.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8조 제정에 따라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특별관리대상시설이 제3종시설물로 편입되어 관리대상 건축물이 급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제3종시설물 중 건축물 지정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변수별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서울시가 제3종시설물 중 건축물의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시 책마련의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K패션으로 명칭되며 글로벌화를 시도하고 있는 국내 패션 브랜드가 늘어나는 추세다. 국내 브랜드의 해외 진출을 더욱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하여 해외 소비자들의 실질적 수요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파리의 로컬 패션인 스트리트 패션을 비교하고 두 도시의 패션 스타일을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 이 결과와 트렌드 예측 정보와의 간극을 살펴봄으로써 트렌드 예측 정보가 스트리트 패션에 수용되는 국·내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스트리트 패션과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의 관점에서 연구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둘째, 2019년 S/S 패션 트렌드 관점에서 서울과 파리의 스트리트 패션을 파악하였다. 셋째,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 수용의 관점에서 서울과 파리 스트리트 패션의 수용 정도 및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과 파리, 두 도시에서 일반적인 스트리트 스타일이 2019 S/S 트렌드로 예측된 스타일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도시 별 스타일 선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서울과 파리 두 도시에서 공통적으로는 클래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캐주얼과 페미닌, 키치 순으로 뒤를 이었다. 패션 트렌드 예측 정보에 대한 소비자 수용 현황을 볼 때, 두 도시의 소비자들은 패션 정보 업체가 예측한 트렌드 테마 중 한정된 몇가지 테마에 집중하는 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breeding seasons in 2017 to identify nesting habits and breeding biology of barn swallows in Daejang-dong village, Bucheon city, suburban Seoul. Among the 77 barn swallow nests studied, there were 34 breeding nests -27 in the first and 12 in the second. The reuse rate of old nests was 51.6%. In addition to tile-roofed houses (20.6%), breeding nests were most common in brick houses (38.2%) and in slate-roofed houses (26.5%). Most breeding nests were in eaves (58.8%) and front doors (32.3%). The average clutch size was 4.8±0.9 in the first and 4.3±0.5 in the second. The breeding success rate was 75.0% in the first and 58.1% in the second, considering the hatching rate and the fledgling rate. It was found that the rainy season was affected by a lack of food. At least 27 pairs of nestling barn swallows and 127 young barn swallows successfully fledged were estimated to be 181. These results show that Daejang-dong village is an important suburban habita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at it can be used to verify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of rice fields of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ough the importance of spect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owels in the hVd syllable has been recognized in the literature, it has never been studied whether static spectral measurements at a (steady-state) central section are enough to characterize Korean vowels in spontaneous speech, or dynamic spectral measurements across the temporal dimension can better characterize vowels. Despite ample reported evidence of the perceptual influence of non-spectral cues on spectral properties of vowels in the literature, no reports have yet been rele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perceptual influence of non-spectral cues (e.g., place and manner of the preceding or following phones, F0, speaking rate, prosody, and gender) on spectral properties of vowels. Through Neural Network pattern recognition modeling in a supervised mode, it was found that dynamic spectral models with non-spectral cues better explain vowel perception than static spectral models and furthermore, flanking phone identities, and manner and place of flanking phones are perceptually the most influential while duration, F0 and speaking rate are perceptually far less contributive than argued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an effective maintenance and management strategies were discussed to secure a structural safety of small-scaled timeworn buildings in Seoul. The structural vulnerable characteristics should be analyzed to fix the order of priority 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lots of buildings.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a policy establishment of Seoul.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공간 활용을 분석하여 지역교회가 사회와 무엇을 공유하고 영향을 끼쳤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정동제일 교회를 택하여 해방 후 교회 공간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신문, 보고서, 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공간은 단지 물리적인 공간만이 아닌 인간의 활동과 공간적인 실천이 결합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것을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으로 부른다.
해방공간에서 다양한 단체와 기관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위하여 공간이 필요했다. YMCA나 학교강당, 천도교 강당 등은 실내공간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특히 교회건물은 예배공간만이 아닌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사람들에게 제공되었다. 서울에 위치한 정동제일교회는 수도권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 공간이었다.
김인영 목사가 재직하던 시기를 전후로 공간 활용도가 더욱 높았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신흥우와 함께 YMCA와 적극신앙단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기독교연합회에서 활동했다. 기독교 정신 위에 대외적으로 활동했던 그의 행동은 정동제일교회 공간에서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비록 친일행적을 계기로 이전처럼 정치 일선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그는 시대적인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국가를 기대하며 시민사회에 공간을 제공하였다.
더 나아가 여러 시민단체들은 세계정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석학이나 종교지도자들을 초청하여 시민들의 의식을 함양시켰다. 교회는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들 즉 문화적인 것, 경제적인 것, 결혼식과 장례식 등의 일상적인 것들을 위하여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것은 교회가 시민들의 생각과 욕구를 공유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승만과 관련된 단체들에게 결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 그의 정치활동을 지원하였다. 반탁과 관련된 집회와 강좌는 서울지역의 우파를 결집시켰고, 전국대회를 성공적으 로 개최한 독촉국민회는 1948년 제헌국회에서 다수당이 되어 정국을 주도 하였다.
정리하면 정동제일교회 공간은 사회적 관심을 공유하는 것을 넘어서 새로운 국가 건설을 세우는데 그 힘을 결집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local meteorology caused by tidal changes in the West Sea on ozone distrib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ere analyzed using a meteorological model (WRF) and an air quality (CMAQ)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the day (1200–1800 LST) between August 3 and 9, 2016. The total area of tidal flats along with the tidal changes was calculated to be approximately 912 km2, based on data provided by the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EGIS)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Modeling was carried out based on three experiments, and the land cover of the tidal flats for each experiment was designed using the coastal wetlands, water bodies (i.e., high tide), and the barren or sparsely vegetated areas (i.e., low tide). The land cover parameters of the coastal wetlands used in this study were improved in the herbaceous wetland of the WRF using updated albedo, roughness length, and soil heat capac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d cover variation during high tide caused a decrease in temperature (maximum 4.5℃) and planetary boundary layer (PBL) height (maximum 1200 m), and an increase in humidity (maximum 25%) and wind speed (maximum 1.5 ms-1). These meteorological changes increased the ozone concentration (about 5.0 ppb) in the coastal areas including the tidal flats. The increase in the ozone concentration during high tide may be caused by a weak diffusion to the upper layer due to a decrease in the PBL height. The changes in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and ozone concentration during low tide were lesser than those occurring during high tid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eorological variations caused by tidal change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SMA.
서비스 산업이 중심을 이루던 도시 산업 전반이 서비스 포화로 인한 저성장 시대로 진입하면서 도심을 중심으로 소규모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도시형 소공인 제조 산업이 도시 산업 재생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은 물론 빠른 속도로 산업 전반의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중국 역시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제조업과 AI,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기반의 지능정보기술의 결합을 시도하며 이를 핵심으로 하는 도시제조업 중심의 제조업 재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기류와는 달리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도시제조업은 자금, 공간, 인프라, 인력, 기술 및 지식 고도화 부족 등으로 인해 4차 산업 혁명 대응 역량이 낮아 도시 산업 재흥의 성장 동력이 되기에는 총체적인 난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 및 지방정부, 유관 공공기관들의 서울시 도시제조업 지원 정책사례와 해외 사례 연구의 프로토콜 분석 및 고찰을 통해 기존 정책의 문제점과 원인을 살펴보고, 제조와 유통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 구축 및 이를 위한 도시형 소공인 협동조합 구성 등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도시제조업 지원정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교원직무연수에서 반성적 사고는 근전이와 원전이 사이를 매개하는지와 매개할 경우 그 영향력의 수준은 어떠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의 개념과 변수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설문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먼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시교육청 소속 교사 5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유효설문지는 401부였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는 반성적 사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는 원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반성적 사고도 원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런 결과는 교사의 교원직무연수에서 근전이와 원전이 사이에 반성적 사고는 부분 매개함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는 자신이 참여한 직무연수 내용을 학습하여도 원전이를 바로 수행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원전이 보다 근전이를 먼저 수행함으로써 적용의 가능성, 경험, 노하우를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수월하게 원전이 수행을 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반성적 사고를 통하여 학습전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원리 또는 개념으로 발전시킨 후 다양한 상황에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원전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ocioeconomic effect of eco-friendly free school food supply system by Seoul, which has been consistently extended since 2011. To do so, effect of eco-friendly free school food supply system on the beneficiaries, Seoul citizens, was analyzed by using ‘labor & income panel’, while that on rural society was analyzed by using the surveys on th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supply performance by th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Retail Center’ as well as for students, school parents, nutrition teachers and nutritionist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eco-friendly school food supply system contributes to income redistribution among the Seoul citizens to a certain extent, provides th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producers in the rural society with the stable market, and positively influences them to secure stable incomes. In addition, eco-friendly free school food reduce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through the us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resulting in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economic benefits. Considering such effects, free school food supply using th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needs to be consistently maintained in the future without politic change by political ideology and to be extended to middle school level in medium and short-term.
The study revolved around the forests of Yangjae Citizen’s Forest, a park where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was applied. The survey methods for analysis are as follows. From August to October, a total of eight surveys were conducted and 147 of the 300 samples collected were utiliz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43.5% of participants were males and 56.5% were females. The highest number of participants visited the forest at midday and aged twenties visited most among all age groups. The participants visited the forest mostly with family and the main purpose of visit was for walking exercise including strolling. In case of criminal experience two sexual harassment (6.0%), and a fraud crime (3.0%) were tallied. Insecurity analysis resulted that “other users’ drinking” and “few Closed-Circuit Televisions (CCTVs)” were found to increase visitor’s insecurity.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ecurity analysis, participants reported they felt safer in open space than the enclosed areas. They also responded that dense wooded areas along the trails would increase the level of insecurity, while open space and resting areas were effectively relieve unsafe feelings. CCTVs and lighting fixtures facilities in the study area play an important role to effectively manage the park to prevent crime.
현 사회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네트워크 기술로 인하여 지역 간, 나라 간의 경계가 모호해져 가고 있다. 글로벌 사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정체성 확립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또한 서울 방문 외국 관광 객이 2,000만 명 시대를 대비하여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민들의 자긍심 고취와 타 도시 대비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딩 과정의 공감과 확산에 도움이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TCCS분석인 Trend, City, Competitor, Stakehoder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브랜드 정체성을 제 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키워드는 ‘공존하는’, ‘열정적인’, ‘트랜디한’, ‘배려있는’, ‘여유있는’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로 인해 서울시는 서로 다른 요소들이 공존하며, 열정적인 시민과 트랜디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배려와 여유가 있는 도시, 공존 의 철학으로 열정적이면서도 여유와 배려가 있는 트랜디한 도시, 열정적이며 트랜디한 문화를 이끌어가면서도 공존의 정심 으로 배려와 여유를 놓지 않는 어울림의 도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는 나타난 서울시의 정체성은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컨셉을 도출하거나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개최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ted plants and immigration plants by monitoring the wildflower garden constructed at Seoul Samgaksa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nts planted in the garden 32 taxa, except for weakened only 1 taxa (Clematis patens), the remaining plants maintained or increased their populations. Among maintained Plants, that did not volume growth were 6 taxa and volume growth on the spot were 5 taxa. 15 taxa were spread around the planting area and 5 taxa spread sporadically to unpredictable areas other than the planting area. Although most of the planted plants show good growth, no special management is required, but Lonicera japonica needs the density management that cuts off the stem in the early spring and 5 sporadically spreading taxa, the planting intent of garden is attenuated, so remove the root when new leaves come out in spring.
Second, the total number of plants transferred after 2 years of wildflower garden constructed were 83 taxa total, which is 2.6 times that of planted plants. The seed disseminule form was analyzed as 52% barochory, 27% anemochory&hydrochory, 16% autochory and 5% zoochory. Also about 43% of the transferred plants were estimated to been imported from soil seed bank.
Third, we classified immigration plants into largely native 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The native plants were transferred to more than naturalized plants: 65 native plants, 1 cultivated plants and 17 (22%) naturalized plants.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of the rooftop garden ‘Choroktteul’ in Seoul City Hall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and number of the immigration plants depending on the distance and quality of the surrounding greenery.
Fourth, the management method of immigration plants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limination, transplantation, and utilization. The 39 taxa were selected for the elimination: Invasive alien plants among naturalized plants, fast spreading plants, plants that expand sideways with rhizomes, and plants that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planted plants: grow to over 1 meter in height and climbing plant. The elimination period should be dry, clear, windy day, remove the root without any residue. The transplanted plants are 18 taxa, tree, plants not suitable for habitat, an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t is a group of 26 taxa which are used in the garden: for landscape that plants have ornamental values (flowers, leaves, and autumn colors etc.) but do not attenuate the intent of the garden, and for groundcover that plants have low plant height and fast sprea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immigration plants when you are mulching or planting plants densely populated areas when making a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