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저항운동 강도별 스트레스를 지칭하는 호르몬의 분비 차이를 제시하는 것이며, 타 연구 논의의 차별화로 배제된 심리적 관련 변인을 기술하였다. 연구대상은 C 대학교 남자대학생 17명으로 최대하 및 최대운동 강도별로 각각 6주간의 저항운동 실시 후 네 시점별 성장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 및 코르티솔의 차이 결과, 남성호르몬을 제외한 성장 및 코르티솔 변화는 안정시에 비해 운동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6주 전후 변화는 코르티솔만이 네 시점별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분비 차이의 의미로, 성장호르몬 증가는 운동 강도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성호르몬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최대강도 운동의 경우 코르티솔은 6주 후 평소 안정 시에도 증가되어 있었다. 장기간 운동처치의 생리적인 결과 해석에 심리적 변화를 고려하여야 하며 부정적인 스트레스로 변환되지 않도록 심리적인 여러 변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겠다.
We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ioactive compounds in grape juice prepared from different grape varieties grown in Korea, such as Campbell Early, Steuben, and Muscat Bailey A (MBA), with respect to heating time (30, 45, or 60 min) and temperature (60 ℃, 70 ℃, 80 ℃, or 90 ℃). We found that long heating time and high temperature, especially treatment at for 60 min, significantly affec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active compound levels of grape juice. Among the grape juice varieties, Campbell Early juice had the highest level of bioactive compounds. Sensory evaluation scores showed that heating of musts at 80 ℃ for 30 min was associated with the most preferred sensory attributes for Campbell Early grape juice, whereas the most preferred juices from Steuben and MBA grapes were from musts heated at 70 ℃ for 60 min and at 70 ℃ for 30 min, respectively. The bioactive compounds of juice from the three grape varieties were optimal using the above-mentioned processing times and temperatures.
지표수 부족과 수질에 대한 불신 때문에 대체 수자원의 확보가 요구되고 있으며, 유력한 대안으로 강변여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 최초의 강변여과는 경남 창원에서 2001년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창원시 수돗물의 100%를 여기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강변여과 취수장 부근 지하수위를 설명하는 시계열 모형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연구 대상지역은 창원시 대산면 현장으로 11개 관측정으로부터의 5년간(2003년 1월2007년 12월) 지하수위 자료를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매체의 복합적 특징을 포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존 가상세계 모델에 시간축을 부여하여 확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시간축이 부여된 가상세계의 구현은 현재의 공간정보가 포함된 전 세계의 맵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가상세계 시뮬레이션에 시간축으로의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가능하다. 시간축을 적용한다는 것은 그 시대에 맞는 정치, 경제, 문화, 사회의 제도가 적용된다는 의미이며 이에 사용자들은 시대에 적합한 행동을 함으로 가상세계인으로서 생존할 수 있고, 또한 시대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간축이 부여된 가상세계는 사용자의 상호소통과 참여를 유도하여 계속적인 유지 확장이 가능하며, 이에 궁극적으로는 전세계 시공간적 콘텐츠 내에서의 사용자 스토리텔링을 지원하는 것을 지향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망에서 개별적으로 노후도가 심하여 개량이 필요한 구간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새로운 개별관로 정의 방법이 개발되었다. 적절한 관로 최소구성성분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관로 최소구성성분 길이에 대한 평균 누적파손횟수경사선의 분산값을 비교하여 가장 큰 분산값을 나타내는 관로 최소구성성분 길이인 4 m 를 연구대상 지역의 상수관망에 적용하였으며 관로 ID는 39개로 구분되어졌다. 관로의 경제적 최적교체 시기는 한계파손율과
본 논문에서는 상수관로의 파손자료를 이용하여 관로의 위험률을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례위험모형의 관로의 순차적 파손시간 예측정확도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로의 경제적 교체 시간구간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비례위험모형에 기초한 생존함수를 이용하여 연구대상 관로들의 순차적 파손시간을 예측하고 이들을 기록된 파손시간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비례위험모형의 파손시간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는 생존확률은 0.70인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 지역의 150 mm 주철 상수관로의 첫 번째 파손으로부터 일곱 번째 파손사건에 대한 비례 위험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의 구축과정에서 공변수의 위험률에 대한 비례위험 가정을 검사하여 이를 위배할 경우 시간종속형 공변수로 모형화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파손에 대해서는 관로의 제원 및 연결 방식과 급수인구가, 그리고 두 번째 파손 사건에 대해서는 급수인구의 영향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생존시간군의 기저위험률에 대한
To examine the trend on the flowering time in some weather flora including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Cosmos bipinnatus, and Robinia pseudo-acacia in Busan, the changes in time series and rate of flowering time of plant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ime series analysi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lowering time and the temperature, changing pattern of flowering time was very similar to the pattern of the temperature, and change rate was gradually risen up as time goes on. Especially, the change rate of flowering time in C. bipinnatus was 0.487 day/year an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flowering date in 2007, the difference was one day between measurement value and prediction value in C. bipinnatus and R. pseudo-acacia, whereas the difference was 8 days in P. mume showing grea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plants. Flowering time was highly related with temperature of February and March in the weather flora except for P. mume, R. pseudo-acacia and C. bipinnatus. In most plants, flowering time was highly related with a daily average temperature.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flowering time and a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P. persica, otherwise the correlaton between flowering time and a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the highest in Pyrus sp.
본 연구에서는 카오스 특성을 보이는 수문시계열에 대한 잡음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카오스 특성을 보이는 자료로 알려져 있는 Lorenz 시계열과 미국 Great Salt Lake의 용적 자료계열을 이용하였다. 잡음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한 방법으로 잡음의 비율을 증가시키면서 끌개, 상관차원, Close Returns Plot의 변화 특성을 살펴보면서 카오스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Close Returns Plot의 점들의 도수에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by harvesting parts and time in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total phenolic contents, flavonoid contents,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s was the highest in leaf [30.2~38.8 mg/g dry weight (DW)] and followed by root bark, stem bark, fruit, root except bark and stem except bark. Among harvesting time, total phenolic contents of leaf was the highest as 38.1~38.8 mg/g DW in May and June, and then decreased to October. Root bark harvested in April and May contained 26.6~27.8 mg/g DW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phenolic content fell to a very low values at 1.8 mg/g DW in February. Flavonoid contents was very high in leaf and root bark. Especially, root bark harvested in April had the highest of flavonoid contents as 23.2 mg/g DW. As a result of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s on flavonoid contents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p 〈 0.001) with 0.57~0.97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s RC50 value, that wa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absorbance, was 13.7~20.5 μg/mL in leaf s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very high. But SOD like activity of 1,000 μg extract/mL MeOH was a low value of 0.3~9.2% in all samples.
녹두는 생리적 특성과 재배지역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여러 번 수확해야한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6월에 파종하여 3~4 회 가량 수확하므로 녹두 재배면적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남부지역의 기상조건에 맞는 기계수확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부지역에서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기는 7월 20일 경 이었다. 7월 15일 경에 파종하였을 때는 2회 수확해야 하므로 기계수확이 불가능하였다. 7월 25일 이후 파종하였을 때는 기계수확이 가능하였으나 성숙기간이 길어지고 수량이 적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는 남부지역 7월 20일 기준으로 중부지역은 이전에 남부해안지역은 이후에 파종하면 녹두 기계수확이 가능할 것으로 보아진다. 한국에 가장 많이 보급된 금성녹두와 어울녹두 중에 어울녹두가 기계수확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었다. 즉 어울녹두는 금성녹두에 비해 경장이 길고 착협고가 높아 기계수확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수량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과 실시간 유출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개발한 분포형 강우 유출모형의 실제 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안동댐과 남강댐 유역에 대해 각각 우량계 관측자료와 레이더 관측 우량자료를 이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전의 호우사상에 대한 유역 매개변수 보정 실시 후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다른 호우사상에 대해 모형을 적용하였다. 안동댐 유역에 대해 흐름 군집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다방향 흐름
본 연구에서는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듬과 실시간 보정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의 적용과 분포형 모형 적용상의 약점인 계산시간 개선을 위해 비교적 간단한 수문과정 지배 방정식들을 이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작성하였다. DEM(Digital Elevation Model)를 이용하여 공간해상도 변화에 따른 지형정보와 흐름정보의 변동성을 파악하였다. 모의수행 전처리 과정으로 가용한 고해상도 DEM 자료를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단위도 이론인 Nash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먼저, Nash 순간단위도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을 그 정의에 따라 유도하고, 각각의 특성은 물론 둘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추가로,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의 경험공식들을 유도된 Nash 모형의 저류상수 및 집중시간 특성과 비교 검토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as
지구 온난화의 영향에 따른 기상 이변이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홍수예보 시스템과 수문자료를 저장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시스템에서 운영하고 있는 결측우량 보정방법을 알아보고 더 효과적인 보정방법을 찾아내어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강권역 194개 TM 우량관측소 10분 자료 이용하였다. 보정방법은 실시간 우량자료 보정시스템에서 사용이 용이한 산술 평균법, 역거리 가중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