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천식환자 가정집 9곳에서 실내 공기를 포집하여 부유진균의 농도 및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천식환자 가정집의 평균 부유진균 농도는 거실 143 CFU/m³, 방 142 CFU/m³ 이었으며 외기보다 낮았다. 이는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기준법의 권고기준 기준치 500 CFU/m³를 초과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총 59균주를 분리하였으며 5속 33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병원균으로서 인체에 위해성을 가지고 있는 진균은 4속 12종이었다. 동정된 종 중 Cladosporium crousii, Penicillium maximae, Aspergillus protuberus는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 진균 종으로 확인하였다. 이 중 A. protuberus는 국외에서 인체에 질병을 유발시키는 균으로 알려진 진균이다. 이상의 결과는 천식환자 가정에서 진균의 관리는 정량적 수준에서뿐만 아니라 유해종을 파악하여 관리하는 정성적인 수준에서도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봄철 천식환자 가정집에 존재하는 실내 공기 중 부유진균의 농도 및 다양성에 대한 최초의 연구이다.
This study is a summary of the complex odor proficiency testing method using the air dilution sensory method conducted for the last 7 years. Results of the homogeneity and stability test were obtained from the measurement of the standard sample for identifying the range of measurable concentration so that the complex odor proficiency testing method was established through processing the manufactured standard sample and distribution method. Standard samples were prepared using a large Teflon bag after being homogeneously mixed inside a Teflon bag. Also, a distributing container was selected with a polyester aluminum bag in order to avoid samples of the best condition from being contaminated during transport as well as being exposed to invasive odor from a sampling bag.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mixture of toluene and m-Xylene was most appropriate for this proficiency testing method to the homogeneity and stability of the testing method. In addition, DMS and DMDS were the optimized samples at the outlet area. As a result, the standard method was established to address the analysis quality management to the mixed odor inspection agencies in Korea.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odor characteristics of single odor and collective odor facilities using the German olfactory odor method and carried out the odor frequency modeling. The influence of the odor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which is a single discharge facility, was strong in the eastern and northern parts of the plant and appeare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reas where the odor complaints were frequent. The German olfactory method reflects the odor complaints and odor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the receptors as compared with the domestic odor measurement method. The influence of the odor from the odor control area, which is a collecting and discharging facility, showed a tendency in which the sum of the odor occurrence frequency increased with the proximity of the odor discharge facility to the dense industrial complex. Furthermore, it was judged that it is not easy to extract the odor frequency results for individual facilities because the survey subject is the group discharge facility area.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introduce a method to manage odor in the future.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of odor frequency using the German olfactory odor method is partially applied to some odor sources. Appropriately, it is not applicable to various emission sources. However, the odor measurement method based on odor occurrence frequency and odor sensory can be used for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permits of odor discharge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al review.
본 연구에서는 현행 악취공정시험방법에 나타나있는 공기희석 관능법을 사용하여 물질농도와 희석배수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프로피온산, 뷰틸산, 발레르산, i-발레르산 및 i-뷰틸알코올에 대한 물질농도와 희석배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지정악취물질의 농도 규제치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1. 판정인에 의해 측정된 대상물질의 물질농도와 희석배수의 상관관계는 식 Log C = Af·Log D + 0.5에 의해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총 22종의 지정 악취물질별 상관관계식의 기울기 값의 범위는 0.9023~1.2012으로 이소발레르알데하이드가 가장 작고, 뷰틸알데하이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물질별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희석배수 15와 20에 해당되는 물질농도와 최소감지농도와의 비를 구한 결과, 각 물질의 농도비가 희석배수 15 및 20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 물질별 관계식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 물질별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희석배수 15와 20에 해당되는 물질농도와 현행 물질농도 기준치와 의 비교를 통하여 기준치의 적정 수준 여부를 검토 해본 결과, 프로피온산과 뷰틸산의 경우는 기준치가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며, 발레르산, 이소발레르산과 뷰틸알코올의 경우 물질농도 기준치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결과는 현행 악취방지법의 부지경계선에서 복합악취 농도 규제기준에 대한 개선방안 및 지정악취 물질들의 물질농도와 악취강도, 희석배수간의 상관관계 및 특성연구 등의 기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Environmental treatment residues become valuable waste byproducts like biomass when an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recycling is effectively developed. In this study,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ewage sludge sorbent was developed in a sewage treatment plant by carefully processing the sewage sludge generated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In order to increase the adsorption efficiency, coffee ground waste was added to the adsorbent as an additive and the adsorbate used in the adsorption experiments was acetaldehyde as organic waste. It could be found from the experiment that the adsorbent of the sewage sludge was adsorbed more easily at the carbonization temperature of 600℃. In addition, adsorption experiments showed that the breakthrough time reached to 85, 110, and 130 minutes at 3:1, 2:2, and 1:3,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content ratio of the sewage sludge and coffee waste. Therefore, the amount of acetaldehyde adsorp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offee grounds in the mixture. It could be also be found that the addition of the coffee grounds as an additive to increase the adsorption capacity of the sewage sludge adsorbent is advantageous for adsorption.
The annoyance potential for odor sources can be evaluated by separation distances.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 standard pig farm and a residential area was investigated by the AERMOD model. The studied area comprised four sites in Korea. The study sites were Paju, Yangpyeong, Suwon, and Icheon, respectively. The separation distances criteria of the three reference Odor Impact Criteria (OIC) were used to evaluate the separation distance. Results show that separation distances for the four sites were calculated 20 m from the fence in the existing pig farm criteria case [exceedance probability P (%) = 2.0% and concentration = 6 OU] in Ireland. In the case of the new pig farm criteria [(exceedance probability P (%) = 2.0% and concentration = 3 OU) of Ireland, results show that the separation distances of the four locations were between 120 m and 145 m from the fence. These values were about 3.0~4.5 times larger than those of the existing pig farm criteria case. In the case of a concentration of 1 OU and the exceedance probability P (%) of a 2.0% criteria, the separation distances of the four sites ranged from 250 m to 290 m.
In this study, the odor generated in a livestock farm with 500 heads of finisher breed in 661 m² was monitored during 6 months using a gas sensor,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base server. Odor unit,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were monitored using the gas sensor. To show the tendency of odorous substances generation, the odor concentration was shown in the graph on a monthly and daily basis. Among the analysis items, the maximum generation of odor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hydrogen sulfide. Through observing the daily and monthly trends of odor substances, it was found that each substance was a useful indicator for monitoring odor, because ammonia, hydrogen sulfide, odor and TVOC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in a similar pattern. The odors were highest in the hours of the early morning (00:00-05:00), the evening (18:00-23:00), and the morning (06:00-11:00) in a day. After the use of the microbial agent was discontinued in autumn (October), anaerobic digestion of the manure in a pit proceeded and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increased. Therefore, despite a slight decrease in ammonia production, the odor unit level did not decrease after October but rather was somewhat increased. In the future, the use of the odor monitoring system is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dor sources management.
피해자나 목격자 증언을 바탕으로 작성한 몽타주가 범인 검거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까? 몽타주가 사건 해결의 중요한 단서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몽타주는 수많은 그림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선택을 통해 최대한 유사한 얼굴을 표현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완성한 후에도 목격자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와 다른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얼굴 부위를 하나하나 인식하지 않고 전체적인 이미지로 인식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에 얼굴 인식 수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본 후, 수사에 필요한 몽타주 작성 과정에 관하여 살펴 본다. 특히 소프트웨어로 작업한 몽타주와 초상화에 의한 몽타주를 구분 하는 한편, 여전히 초상화에 의한 전통적인 몽타주 작성을 견지하고 있는 일본의 수사 방식을 검토함으로써 국내의 몽타주 수사에 필요한 요인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Cement production processes release various odor elements including acetaldehyde, hydrogen sulfide, formaldehyde and toluene etc.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using a commercial code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was used to estimate the concentration profiles and dispersion distance around the local residential area. The calcination furnace, one of the main emission sources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discharged the odorous gases of H₂S, HCHO, CH₃CHO and C6H5CH₃at levels of up to 3.15 ppb, 5.1 ppm, 6.65 ppm and 0.74 ppm of H₂S, HCHO, CH₃CHO and C6H5CH₃respectively. This study found that as for the emission concentration of 1ppm for H₂S and CH₃CHO, the landing distance of the threshold value for each gas was extended in summer seasons at a low velocity. Low temperature of the flue gas at a high velocity also led to long dispersio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rmal performance using the ASTR method. Its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easured U-Values of 49A type and 59A type walls were almost the same as the theoretically calculated values. 2) One notable phenomenon for both walls was that the interior surface temperatures of the channels attached to corners were up to 10.4% lower than that of the cross of the wall, even though they consisted of the same materials. This is due to the surface temperature drop caused by the thermal bridge. 3) The surface temperatures of the thermal bridge were converted into U-Values. The U-Value of the top left corner on the 59A type house was 1.044W/m²K, and of the bottom right corner on the 49A type house was 0.959W/m²K. Therefor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thermal bridge area was decreased after construction. 4)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comparing heat transfer analysis simulation data and measured data. A maximum difference of 12.4% occurred in the top left corner on 59A type, and of 7.6% occurred in the bottom right corner on 49A type. 5) The results of a heat transfer analysis simulation showed that the temperature of both 49A type and 59A type top right corner were the lowest, but in-situ measurement results were the lowest in the bottom right corner on 49A type and in the top left corner on 59A type.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occurrence of thermal bridges and a deterioration in the construction quality.
A lab-scale biofilter with fungal growth has been studied to investigate the removal of gas-phase hydrogen sulfide. The biofilter inoculated initially with the aerobic activated sludge was operated for 100 days under acidic condition, and 0.36 L/d of the buffered nutrient with 0.05 g/L Chloramphenicol and Gentamicin was injected into the biofilter. The critical removal capacity of hydrogen sulfide was up to 22 g/m³/h. The pH of the effluent liquid was stable at pH 1.5-2, corresponding to the volatile suspended solids of 20-50 mg/L. In microbial analysis through the plate count method, it was found that fungi were dominant over bacteria. The fungi isolated from biomass in the bilfilter were identified as Acidomyces acidophilus and Aspergillus fumigatus. Sulfate and thiosulfate were also detected in liquid samples, as a result of the biological sulfur oxidation in the biofilter bed. For the analysis of sulfur mass balance, the accumulated mass of sulfate and thiosulfate reached up to 67.5% of inlet sulfur. Sulfur was also detected on the biomass collected from the biofilter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이 연구는 빈곤국가의 테러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상대적 박탈이론에 근거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이 연구는 테 러의 발생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빈곤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으며, 관련 선행연구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빈곤이 과연 테러의 원인인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빈곤은 주로 GDP 변수를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상대적 박탈 이론의 이론적 논거에 부합하지 않은 방법이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빈곤인구 비율을 주요한 변수로 사용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테러조직 또는 테러국가의 주요 목적 중 하나인 경제적 이득에 실제로 테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종속변수로 국가별 GDP를 사용해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빈곤국가의 경우 자살테러와 테러발생의 빈도가 다른국가에 비해 높은 비율을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최종 분석결과, 빈곤지수를 통해 확인된 빈곤국가는 자살테러 실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자살테러는 GDP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빈곤을 통해 발생되는 자살테러가 GDP의 증 가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살 테러를 위해 많은 경제적 비용이 필요하다는 비교적 최근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었다. 즉 경제여건의 호전은 이 다시 테러시도를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테러국가의 국민들이 자신의 의지 없이 테러에 가담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것을 시사해주었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함께 국제사회에서 다루어야 할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10), Formaldehyde (HCHO), and Total Bacteria Count (TBC) at three facilities: elderly care centers, day care centers, and postnatal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ies of Seoul, Sejong, Daegu and Ulsan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5. PM10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day care centers and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postnatal care centers.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day care centers. Comparing the different cities, PM10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jong,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oul, and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Daegu.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preventing damage to health from the contaminated indoor air at sensitive facilit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door air quality conditions of the total of 52 buses depend on seasons, time and others. We evaluated the CO₂and PM10, the controlled parameters in express bus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VOCs and HCHO, the non-controlled parameters. The CO₂concentration during peak commute times was 38.5% in summer and 15.4% in autumn, which are higher than the normal. But, PM10 concentration was influenced by the outside air not number of passengers. The concentration of VOCs were not related with other parameters such as number of passengers, seasons, and driving time. And then, the formaldehyde concentration was not related with seasons as it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summer and autumn.
법학적성시험은 법학전문대학원 입학 시 학부성적, 외국어능력, 심층면접 등과 함께 중요한 입학 전형자료 중 하나로 평가된다. 법학적성시험은「법 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제23조 및 제24조에 의해 시행되고 있으며, 2018년 현재까지 총 11회에 걸쳐 시행되었다. 법학전문대학원 입학 전형에서 적격자 선발 기능을 제고하고, 국제화 다원화 시대에 맞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법조 인력을 양성하여 법률 서비스의 질의 향상이라는 법학전문대학원제도의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법학적성시험의 정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것이다. 법학적성시험은 2008년 첫 시험 이후, 2009년 약간의 변화를 거쳐 시행되어 왔다. 다만 법학적성시험에서 법학 기초지식을 측정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법학적성시험이 법학 수학 능력과의 연관성을 갖는데 한계가 있었고, 법학적성시험이 실제 학생들의 법학수학능력과 큰 연관성이 없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제기와 관련하여 2019년 시험은 다소 큰 변화를 겪게 되었다. 본 논문은 ‘법학전문대학원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학적성시험에 대하여 고찰하고, 한국의 제도와 유사하게 운영되고 있는 미국 및 일본의 법 학적성시험제도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향후 법학적성시험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자상거래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거래에 있어서 주된 거래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소비자계약에서도 동일하다. 그러나 소비자가 국제전자 소비자계약을 통해 재화를 구매하는 것을 주저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법적 보호를 충분히 받을 수 있는가의 문제이며, 준거법의 문제 역시 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섭외사건에 있어서 준거법 결정에 관한 대표적인 국제협약인 로마I규칙에서는 소비자계약에 관한 특칙을 신설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우리를 비롯하여 유럽연합의 제국 가, 일본, 중국 등에서도 국제사법에 소비자계약에 관한 특칙을 신설하였다. 이러한 국제사법상 소비자계약에 대한 특칙은 국제전자소비자계약에 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해외사업자가 국내소비자를 상대로 광고 등을 통해 거래권유를 하고, 이에 따라 소비자가 주문을 하였다고 한다면 그 준거법에 대한 합의와 상관없이 소비자국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강행규정이 적용된다. 문제는 사업자의 구매권유없이 소비자가 사업자의 사이버몰을 검색하여 계약을 체결하였을 때에도 앞의 경우와 같이 국제 사법상 소비자계약에 대한 특칙을 적용받을 수 있는가이며, 이에 학설은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전자소비자계약은 가상공간에서 체결되고, 현실공간과 다른 특징이 있다고 하더라도 능동적 소비자계약과 수동적 소비자계약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따라서 후자의 계약이 소비자계약에 해 당하더라도 국제사법 제27조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상거래는 국경이라는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과 전자상거래의 발전을 위해 소비자보호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소비자계약에 국제사법 제27조가 적용되지 않음은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계약에 대해서도 국제사법 제27조가 적용될 수 있도록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다만, 전자상거래라고 하여 무조건적인 소비자보호는 사업자에 대한 불합리한 불이익부과에 해당하기 때문에 소비자국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사업자의 예측가능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업자가 약관을 이용하여 소비자 보호의 수준을 낮출 수 있다는 점 역시 국제전자소비자계약에서 준거법 결정에 있어서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제사법 제8조 제2항을 국제소비자계약에 적용하지 않는 규정을 신설하여 합의라는 이름으로 소비자 보호를 약화시키는 사업자의 행위를 제어하여야 할 것이다.
환자가 입원 중에 의사의 의료상 과오(예컨대 수술상의 과오)로 사망 한 경우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법적 처리는 상당히 다르며 이에 따라 그 결과도 다르다. 이는 의사의 환자에 대한 의료행위에 대한 양 국의 해석상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와 현재의 운용 상황 등을 살펴보면 향후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의료과 오소송 제도의 운용에 있어서 참고로 삼아야 할 부분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우선 해석론 차원에서 양국의 의료과오 소송 제도에 대한 접근방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봄으로써 미국의 의료과오소송의 일반적 해석론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미국의 의료과오소송 제도의 현재 상황과 이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시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향후에 우리나라의 의료 과오소송 제도의 해석론 전개에 있어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소개함과 아울러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제도의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에서 의료과오소송은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의료에 대한 접근 ․ 의료의 질 ․ 의료비용 중 어느 관점에서 보더라도 미국의 의료를 쇠퇴시키는 악역이 된다고 강하게 비판받아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의료과오소송은 오히려 의료에 대한 접근 ․ 의료의 질 ․ 의료비용 등의 관점에서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내용의 Barry R. Furrow로 대표되는 반대 시각도 유력하게 존재한다. 둘째, 미국에서는 의료과오의 현재 상황을 밝히는 데에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 나아가 그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의료과오를 감소시키는 데에 이바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거기에서는 의료과오 소송에도 역시 사회적인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수단이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었다. 셋째, 미국의 의료과오소송에 대한 논의 상황은 우리나라의 의료과오 소송에 대한 논의의 방향성 내지 범위 확정에 있어서 참고할 만하다. 즉 오늘날 의료과오소송이 의료의 안전 확보나 그 개선에 이바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미국에서는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가까운 장래에 초고령사회를 맞이하게 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법정책과 결부 되어 의료과오소송에 대한 논의를 진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논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넷째, 미국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에 비해서 의료과오소송의 건수가 많고 이에 따라 법정책 마련을 위한 통계적 분석도 정밀하고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의료과오소송의 현황을 파악함에 있어서도 법정책 마련을 위한 통계적 분석이 향후에 보다 치밀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생각한다.
Background: Progressive muscle weakness is aggravated not only in the skeletal muscles but also in the respiratory muscles in many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eases (NMD).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MT) has been reported as therapy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to improve respiratory strength, endurance,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and to reduce dyspnea.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ying harmonica for 5 months on pulmonary function by assessing the force vital capacity (FVC), peak cough flow (PCF),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IP), maximal expiratory pressure (MEP),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in patients with NMD.
Methods: Six subjects with NM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played harmonica once a week for 2 hours at a harmonica academy and twice a week for 1 hour at home. Thus, training was performed thrice a week for 23 weeks. The examiner assessed pulmonary function by measuring FVC in the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and PCF, MIP, MEP, and MVV in the sitting position at the beginning of training and once a month for 5 months.
Results: Both sitting and supine FVC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laying harmonica (p=.042), as did MIP (p=.043) and MEP (p=.042). Conclusion: Playing harmonica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NMD.
Earthworms have been employ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as anticonvulsants, analgesics, and sedatives. In fact, earthworms are currently used as a medicinal agent in China, South Korea, Japan, Taiwan and North Korea. However, both the species and the genus of the earthworms registered in the pharmacopoeia of each country are different. Neural injury i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apoptosis. The role of various synthetic chemicals of earthworms 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ents have been studied and earthworm extract and its components have been shown to protect nerve cells and restore nerve function in various preclinical neuronal damage models. We employed earthworm extracts to provide preven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many neurodegenerative disorder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cerebral infarction, and peripheral nerve dam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arthworm extracts and its components to explore their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effects in various neuropathic models. We used earthworm resources to provide preven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many neurodegenerative disorder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cerebral infarction, and peripheral nerve damage. We summarized the protective effects of both earthworms and their extracts on neuropathies.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some earthworm components to be used in treat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for nerve disorders and could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ies for intractable diseases.
Background: Despite muscle latency times and patterns were used as broad examination tools to diagnose disease and recovery, previous studies have not compared the dominant arm to the non-dominant arm in muscle latency time and muscle recruitment patterns during reaching and reach-to-grasp movements.
Object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differences in muscle latency time and recruitment pattern during reaching and reach-to-grasp movements. In addition, by manipulating the speed of movement, we examined the effect of movement speed on neuromuscular control of both right and left hands.
Methods: A total of 28 right-handed (measured by Edinburgh Handedness Inventory)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We recorded surface electromyography muscle latency time and muscle recruitment patterns of four upper extremity muscles (i.e., anterior deltoid, triceps brachii,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and extensor digitorum) from each left and right arm. Mixed-effect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detect differences between hands, reaching and reach-to-grasp, and the fast and preferred speed condition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latency time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s or reaching and reach-to-grasp tasks (p>.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ly longer muscle latency time in the preferred speed condition than the fast speed condition on both reaching and reach-to-grasp tasks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similar muscle latency time and muscle activation patterns with respect to movement speeds and tasks. Our findings hope to provide normative muscle physiology data for both right and left hands, thus ai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abnormal movements from patients and to develop appropriate rehabilitation strategies specific to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