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3

        281.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정원활동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교 스트레스의 경우 정원활동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은 평균 79.6점에서 사후 평균 73.5점으로 6.1점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t=-3,516 p=0.007)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의 경우 실험군은 사전 평균 30.7점에서 사후 평균 32.9점으로 2.2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161, p=0.012)가 있었다. 또한 환경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 실험군은 사전 평균 63.6점에서 사후평균 69.1점으로 5.5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3.685, p=0.005)가 있었으며, 환경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 실험군은 사전 평균 18.7점에서 사후 평균 23.8점으로 5.1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4.915, p=0.001)를 보였다. 따라서 여중생의 정원활동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 감소, 자아존중감 향상과 환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을 증가시키는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임이 확인되었다.
        282.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conservation plan of specific plants by surveying and analyse the individuals and the environment of habitats on specific plants designated by Juwangsan national park office. The specific plants were 14 species including Berchemia berchemiaefolia, Hylotelephium ussuriense, Aristolochia manshuriensis, Lilium cernuum, Thalictrum coreanum, Exochorda serratifolia, Lilium distichum, Aristolochia contorta, Jeffersonia dubia, Eleutherococcus senticosus, Salix chaenomeloids, Eranthis stellata, Scopolia japonica, and Paeonia japonica. The habitats of specific plants were 40 sites including Berchemia berchemiaefolia of 11 sites, Hylotelephium ussuriense of 8 sites, Lilium cernuum and Thalictrum coreanum of each 3 sites, Exochorda serratifolia of 2 sites, and Lilium distichum, Aristolochia contorta, Jeffersonia dubia, Eleutherococcus senticosus, Salix chaenomeloids, Eranthis stellata, Scopolia japonica and Paeonia japonica of each 1 site. The altitude was the most in 300~400 m. In direction, NW was the most, and it showed SW in that order. The slope angle was the most in 0~10%, and the cliff showed in that order. In the results of species composition by stratum layer, Berchemia berchemiaefolia had the most, 15 species, in tree layer. In shrub and herb layer, this had the most as 20 species and 29 species, too. The species that occupied the largest size was Salix chaenomeloids in 2,500 ㎡, and Jeffersonia dubia showed 1,500 ㎡in that order. The conservation of specific plants is to accomplish the ex situ and in situ conservation at the same time.
        283.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작물에서 분자육종학의 기술은 1994년 미국 칼젠사 (Calgene)가 개발한 숙성과정 중 물러지지 않는 토마토, Flavr Savr라는 상품을 개발하여 일반인들에게도 많이 알려지며 관심을 갖는 분야가 되었다. 그 이후 미국 몬산토 (Monsanto)에서 개발한 Round up ready 라는 제초제저항성 콩을 상품으로 발표하면서 외래형질을 도입한 작물에 대한 위해성의 논란이 야기되어, 이를 잠재울 만한 기술 및 방법들이 연구되어 지고 있다. 형질전환 작물, 다시 말하여 유전자변형생물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의 위해성의 논란의 하나인 외래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의 유전자가 야생으로 이동하여 의도치 않은 유전자의 이동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제초제저항성을 보이는 잔디, JG21(Jeju Green 21)에 방사선 (감마선)을 처리하여 얻은 여러 형질 중 화분에 이상을 보이는 (웅성불임) 라인을 선발하여 JG21-MS (Male Sterility)라고 명명된 웅성불임 들잔디 화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외형적으로 Wild-type, JG21의 정상적인 둥근 공 모양의 형태를 보이는 것에 비해 JG21-MS의 화분은 찌그러진 형태가 관찰되었고, 화분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는 Alexander 염색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JG21-MS의 화분은 대부분 염색되지 않았다. 또한 실제적으로 JG21-MS의 화분이 발아하여 화분관 신장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화분관 발아배지를 이용하여 화분관을 유도하였으나 Wild-type, JG21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화분관이 신장된 것에 비해 JG21-MS는 0%의 화분관 신장를 보였다. JG21-MS의 화분은 Wild-type의 화분에 비해 양이 상당히 적고 모양 또한 찌그러진 형태로 유전자 이동의 가능성이 있는 화분관 신장을 보이지 않아 GM 작물의 안정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들잔디의 생육 환경에 따라 화분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한 해의 결과로 속단하기 이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세대 및 다양한 조건에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285.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러브정원’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심리 내적인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양육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14.9(t=8.04)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측정 결과 3.5(t=-8.04) 증가되었다. 스트레스 대처 검사에서 실험군의 경우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9.55(t=-6.478)로 증가되었으며, 사회적지지 검사에서도 실험군은 프로그램 실시 후 18.2(t=12.82) 증가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회기별 활동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능력 내에서 계획된 결과물에 대한 성공적인 성취감과 만족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원예활동에서의 식물을 다루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의 역동성과 그에 대한 책임감을 재인식하게 되어 새로운 요구에 대한 질 높은 양육을 위한 자신의 변화를 가져온데 대한 결과이고, 성공적인 결과물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향상은 물론 참여자들 간의 공통적인 문제에 대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 등은 양육스트레스의 감소를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28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amway embedded track is the concrete slab track in which rail is embedded for transit and walking over the pavement. The multi-directional continuous supported embedded track system by liquid polyurethane has high performance in reducing sound and vibration, the advantage of maintenance abroad. Domestic newly-developed embedded track was installed in Osong-test site after laboratory test and yard test. In this paper, newly –developed Polycork ERS rail fastening system was tested and the embedded track system was tested in the field
        28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ffshore plant structures must be secured of structural safety applying real-time monitoring technology because they are in a state of very poor ocean conditions. In this study, Fiber Bragg Grating (FBG),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scaled model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put in scaled model in the water tank, and then calculated strain after measuring scaled model's wavelength through optical spectrum analyzer
        289.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novative and environment-friendly tram vehicle and it’s trackway system are developed based on the government’s R&D funding.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test drive of developed vehicle, a tram trackway as test-bed, is being constructed in Osong, where is located inside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in Chungcheongbuk-Do. In this pap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rackway for wireless and low-floored tram vehicle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290.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 모델 개발 및 적용에 필요한 자료 확립 측면에서 문헌 중심으로 고찰한 내용으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의 정의를 ‘지적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직업훈련을 위하여 식물과 원예활동을 이용하는 과정’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중심의 원예치료에 있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을 위하여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과정중심의 인지적 도제학습 이론을 기존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교수-학습 방법으로 도입하였다. 원예치료가 수행되는 과정은 사정, 계획, 수행, 평가를 따르며, 회기별 원예활동 단계는 원예활동의 시작단계로 동기 유발 및 원예활동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도입단계(Introduction), 치료사가 시범을 보이는 시연단계(Modeling),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적 틀을 제시하는 치료적 개입 단계(Scaffolding), 대상자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의 중지 단계(Fading), 활동을 점검하고 마무리할 수 있는 정리단계(Arrangement)로 구성하였으며, 그 전략 및 개입방법은 시범, 코칭, 스캐폴딩과 도움종료, 명료화, 성찰, 탐구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헌 중심으로 고찰 한 위의 내용은 실제 적용을 통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 모델로 개발 될 것이다.
        293.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들이 가지는 비침투적 치유 요소 중 감각자극 요인에 대한 인간의 심리, 생리적 반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허브식물 Lavandula spp., Mentha spicata, Thymus praecox 3종의 시각, 후각, 촉각의 세가지 감각자극 요소에 대한 맥박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식물을 구별하지 않고 자극별로만 맥박수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후각과 촉각자극에서 맥박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극별로 살펴본 식물간의 맥박수는, 모니터에 사진으로 제공된 시각적 이미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후각과 촉각자극에서 Lavandula spp.의 경우가 다른 식물에 비해 맥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살펴본 자극간의 맥박수 차이는 Lavandula spp.와 Thymus praecox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Mentha spicata에서는 후각과 촉각자극 시에 시각자극보다 맥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9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향성 허브 식물 중 애플민트의 광도 수준에 따른 초장 및 잎의 생장, 향기성분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애플민트의 초장은 5,000Lux 처리의 경우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저광도이거나 10,000Lux 이상일수록 초장이 천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엽색도를 알아보기 위한 chlorophyll meter는 높은 광도 수준인 10,000Lux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잎의 두께에 있어서도 10,000Lux의 고광도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광도별 애플민트의 향기성분은 총 26종의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대부분의 방향성분은 광도가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299.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출 절화 국화의 전처리제 처리가 개화지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개화단계는 ‘백마’의 경우 GA4+7+BA 100mg/L 처리와 1-MCP 0.05g/㎥ 처리시, ‘백선’의 경우는 BA 25mg/L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개화가 지연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꽃크기는 ‘백마’와 ‘백선’ 모두 1-MCP 0.05g/㎥ 처리 시 꽃크기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화색변화는 ‘백마’의 경우 GA4+7+BA 100mg/L 처리와 1-MCP 0.05g/㎥ 처리 시, ‘백선’의 경우는 BA 25mg/L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꽃봉오리 화색변화가 지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