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3

        301.
        2012.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원예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적장애 학생5명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을 평가하였다. 원예치료는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다양한 원예활동을 통하여 본인의 생각과 느낀 점들을 잘 표현하게 하고 어려운 작업들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쉽게 포기하지 않고 다시 시도하여 더 큰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식물에게 자신의 감정이입을 하여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하며 스스로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원예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03.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한방처방제 휘발성 향기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질환 치료 한방화장품 기능성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보에서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궁, 당귀, 박하 및 애엽을 비롯하여 5가지 생약(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및 감초)으로 구성된 4가지 한방처방제(HH-1: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HH-2: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감초, HH-3: 천궁, 당귀, 박하, 애엽, HH-4: 천궁, 당귀, 박하, 애엽, 황금, 인삼, 감초)를 선정한 후 연속수증기증류법(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을 이용하여 추출한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및 soybean lipoxygenase (SLO)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결과, HH-2가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뿐 아니라 SLO 저해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항염증 활성이 강한 HH-2의 항염증 효능을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 유발한 RAW 264.7세포를 이용하여 염증 유발매개인자인 nitric oxide (NO)와 prostaglandin E2 (PGE2) 및 interleukin-6 (IL-6)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HH-2가 강한 NO 생성 억제 효과뿐 아니라 PGE2 및 IL-6를 강하게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증 활성이 높은 HH-2의 휘발성향기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eugenol, paeonol, butyl phthalide,β-eudesmol 및 butylidene dihydrophthalide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항산화뿐만 아니라 항염증활성이 높은 HH-2를 피부노화 및 염증질환 치료용 한방화장품의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304.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ntration of the heavy metals(Cd, Hg, iAs) of urine(n=576) from May, 2007 to Oct 2007. The subject was residents in G, Y, H industrial area, Jeollanam-do, in which exposure due to the adjacency of the industrial complex. As to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urine of the residents in the whole exposed region and the comparing region, the content of cadmium, mercury, and inorganic arsenic in the exposed region group were 1.23, 1.85, and 8.80 μg/g_ct respectively, and those of the comparing region group were 1.87, 2.00, and 8.93 μg/g_ct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ar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posed group.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for each age group increased in proportion to age except those under 10 for some substances(p<0.01). As to geometric mean concentration cadmium and inorganic arsenic in urine according to the smoking history of the subject, the concentration of the smoking group and the non-smoking group were 1.65 μg/g_ct and 9.13 μg/g_ct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he non-smoking group were 1.47 μg/g_ct and 8.91 μg/g_ct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As to the inorganic arsenic concentration in urine according to the food preference, in order of vegetable, fish, and meat showed high concentration (p<0.01). To cla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urine among the subjec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as to cadmium content in urine, gender, age, drinking, and smoking have influence on the subjects, with explanatory adequacy of 37.5 %.
        306.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held to identify the germination feature of Papaver radicatum var. pseudoradicatum which has high economical value. Seeds were collected in the Mt. Changbai in China. To eliminate dormancy of the seeds, chilling treatment were carried out in the 5 ℃ refrigerator. 30 days, 60 days, 90 days,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s were taken. After being Treated, seeds were under 15, 20, 25 ℃ of temperature and light, dark conditions respectively to see the differences in germination. Within many features, germination ratio of seeds and germination period were investigated. Also, features related to early growth were checked through the closer look into acrospire, growth of cotyledon of young plant. Over 30 days of chilling treatment was all effective. Especially,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 was most effective. The seeds germinated well in the light conditions. 120 days of chilling treatment, 15 ℃, light conditions were found to be most effective conditions as 54.5% of the seeds germinated. The germination period was 4.29 days. 30 days after germinating, length of the aerial part had been 1.90 cm. But after 45 days, the length grew rapidly to 4.58 cm. Fresh weight of scales plant was also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45 days. Therefore, transporting the plant 45 days after seeding judged to be good.
        307.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마늘 잎 에탄올추출물을 Steptococcus thermophilus 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항산화활성 및 세포독성을 검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전에는 2.63 mg/g, 발효 후에는 1.65 mg/g이었으며 발효 후 함량이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전에는 57.77 mg/g, 발효 후에는 62.27 mg/g으로 발효 후에 증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발효 전에는 82.29%, 발효 후에는 81.40%로 vitamin C (97.71%) 보다 낮았으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아질산염소거능은 발효전 후 추출물 모두 pH 2.5에서는 BHT 보다는 낮지만 활성이 우수하였고, pH 4.2에서는 발효하지 않았을 때 BHT보다 더 좋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15% 정도로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NO 생성능은 발효 전에 오히려 더 많은 NO를 생성하였고 발효 후에는 생성이 억제되었다. 산마늘 추출물이 LP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H2O2 처리군에 비하여 발효 여부와 관련 없이 산마늘 추출물처리에 따라 농도가 증가할수록 MDA 함량이 감소하여 LP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산마늘 추출물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
        308.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능성 세포를 포함하는 골막은 골모세포와 연골세포로 분화될 수 있다. 그리고 배양된 골막유래세포는 골형성 능 력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골막유래 세포들과 골이식재 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것이다. Sprague-Dawley 랫드의 두개골 골막에서 세포를 분리한 다음, 배양된 골막유래세포를 beta-tricalcium phosphate (β-TCP)와 함께 임계결손부 크기의 두개결손부에 이식하였다. 모든 랫드는 골이식 수술 후 8주째에 희생되었으며, 골이식부의 골형성 능력은 일반방사선, micro CT 및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β-TCP와 함께 이식된 골막유래세 포는 골결손부에서 더욱 증가된 석회화작용을 나타내었으며, 골결손부 안쪽 및 가장자리에 골밀도 증가와 신생골이 형 성되었다. 특히 골막유래세포는 β-TCP만 단독으로 이식하였을때보다 함께 이식 시 효과적으로 신생골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된 골막유래세포가 골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310.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뇌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흑삼추출물을 첨가한 배추김치를 제조한 후 에 30일간 저장하면서 경시적으로 김치의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관능적 품질을 측정하였다. 0.5~5% 흑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보다 L 값은 감소하고 a 값과 b 값은 증가하여 김치의 색은 암갈색~흑색을 나타내었다. 1~5%의 흑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는 대조구보다 pH 감소 및 산도 증가가 늦게 나
        311.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미의 이용도를 높이고 항산화능이 있는 새로운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흑미색소추출액에 절임배추를 침지하여 흑미색소가 배추에 흡수되도록 한 후 흑미풀을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흑미색소추출액의 항산화능은 양성대조구인 -tocopherol (0.1%)의 를 나타내었다. 흑미를 처리한 배추김치를 저온에 저장하면서 김치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흑미 처리에 의해 김치의 가식기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즉, 흑미처리구
        312.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립선별기에서 미숙립 선별능력을 높임으로써 도정효율 증진과 완전미율 향상을 꾀하고자 품종특성을 고려한 립선별기 선별체 최적 조건 구명 시험이 수행되었고,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1. 립선별기의 선별능력은 현미립 두께에 절대적으로 의존되었는데, 조사된 시험재료의 현미 평균 두께는 1.79(농안)-2.16 mm(대립벼1호)의 분포를 보였다. 2. 품종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현미의 평균 립두께가 2.08 mm이상일 경우 1.9 mm 선별체, 2.00-2.08 mm 범위일 경우 1.8 mm 선별체, 1.90-2.00 mm 범위일 경우 1.7mm 선별체, 그 이하일 경우 1.7 mm 이하의 선별체가 정립 손실을 최소화하면서(0.1%이내) 완전미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 백미 품위에 미치는 선별체 분리효과는 미숙립 비율이 높은 품종일수록 크게 발휘되었다. 4. 현미선별 체 눈 크기를 0.1 mm씩 증가시킬 경우 품종별로 현미선벌체 통과물중에 정상립이 포함되어 발생되는 정상립 손실율이 0.5% 수준까지는 현미선별체 눈금크기 증가에 따라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이 눈금 수준이상에서는 선별체 눈금 0.1 mm 증가에 따라 정상립의 손실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립 손실율 0.5% 수준의 눈금이나 그 보다 0.05~0.10 mm 아래 눈금의 선별체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313.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본 연구에서는 완두유래의 세포질성 PsAPX1 유전자를 대상으로 산화스트레스 유도성 프로모터를 연결하여 엽록체에 targeting 되는 과발현 운반체를 제작하고 벼에 도입한 결과 형질전환체에서 도입유전자 수가 1~3 copy인 것으로 나타나, 적은 수의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 염, 오존, 자외선, 한발과 같은 다양한 환경스트레스 조건에서 내성이 증진된 우수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작성된 형질전환 벼 계통들을 대상으로 생물
        314.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실천학습을 적용한 교육대학원 ‘정보사회 교수법’ 수업의 운영 및 결과에 대한 사례를 통해 실천학습을 도입한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성찰적 실천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지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수업 중 ‘정보사회 교수법’ 강좌가 지닌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사에게 요구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검토하였으며, 실천학습의 개념 및 구성요소, 진행과정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실천학습이 ‘교수법’ 수업의 교사 역량 개발에 적합한 방법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실천학습을 도입한 ‘정보사회 교수법’ 강좌의 한 학기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교육활동에 적용했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실천학습의 교육대학원 수업에의 도입 가능성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결과적으로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천력을 확보한 다양한 교수법의 이해,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신장, 교사 실천학습 모임의 필요성 인식, 질문과 성찰 능력 함양 등에 있어 실천학습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후 교육대학원의 타 교과목, 현직 연수과정, 예비교사교육, 교사학습모임 등에서 실천학습 도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316.
        200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가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우울증의 감소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성립되었지만, 산재 이후 장애 발생으로 인한 심한 우울증이 단시일 내에 소거되는 것이 아니므로 프로그램 이후에 감소된 우울증 역시 그 정도가 중하기 때문에 우울증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심리치료 및 재활 치료는 물론 관리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산재장애인의 특성에 맞도록 원예치료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대체 의학으로 더욱 발전하여, 생명의 존귀함을 자각하고 새로운 삶의 의욕과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직업재활까지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