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8

        322.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ew perilla variety Daesildeulkkae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1999 through the crossing between recommended varieties of Daeyeupdlkkae and Yeupsildlkkae in 1991. "Daesildeulkkae" is characterized as a thinner seedcoa
        323.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yangimdeulkkae"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0 through the crossing between lodging tolerant Andongdeulkkae and the hybrid line of high oil contented Keumreungdeulkkae and Jechundeulkkae in 1991. Seedcoat color of Hya
        324.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esintangkong" is a new large-seeded and early maturing peanut variety that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in Suwon and released in 2000. Daesintangkong originated from the cross between "48-1" and "Daekwangtangkong". Cross
        325.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kwangtangkong" (Arachis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in Suwon durig the period from 1989 to 1999 through the cross between a disease resistance line SP8655 (Chungwon3/Wasedairyu) and an early and high yieldi
        328.
        200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years, the demand of activated carbon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Among them waste and water treatment and removal of poisonous gas were involved. Therefore, in this study, activated carbon was made from the waste chinese cabbage and measured the iodine adsorption ability, carbonization yield, and activation yield of the produced activated carb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arbonization yield was decreased when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and that the optimal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600℃.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aOH for removing ash in the raw sample was 1∼2N. The range of iodine adsorption number of activated carbon using chinese cabbage at 600℃ carbonization was 610.82㎎/g to 1019.58㎎/g. The activation result of carbonization sample showed that the optimal activation condition was the carbonization at 400℃ and the activation at 700℃. So the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using chinese cabbage was possible in the aspect of reuse of resource and de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ompared to the commercial activated carbon.
        335.
        200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폭으로 평균된 2차원 동수역학 수치모형을 수입하였다. 수심방향으로 좌표변환하여 자유수면과 하상의 불규칙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지배방정식의 이송항은 풍상차분기법을 이용하여 유속과 염분의 이송현상이 잘 표현되도록 하였다. 또한 흐름방향으로는 양해법을, 수심방향으로는 음해법을 사용하여 수심방향 격자증분이 매우 작기 때문에 야기되는 시간증분의 제약에서 벗어나도록 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유수면변위, 속도 및 염도분포에 관한 계산결과
        337.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나무의 부위별 물추출물이 LPS (lipopolysaccharide) 및 Con A (concanavalin A)에 의한 마우스의 비장세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 부위별 면역 활성중 과실에서 의 No mil 처리구에서는 0.1mg/ml~0.5mg/ml 농도에서, LPS 처리구에서는 0.01mg/ml~0.1mg/ml의 농도에서 B-cell (체액성 면역)의 분열증식을 촉진시켰다. 잎과 뿌리는 LPS 처리구에서 0.1mg/ml 까지 비장세포의 분열증식을 촉진시켰으며 Con A 처리구에서는 T-cell (세포성 면역)의 증식효과가 없었다.
        339.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내추대성 참당귀 노지육묘 이식재배시 묘두직경에 따른 생육 및 추대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현율은 묘두직경이 클수록 높고 적올수록 낮았으며, 지상부 및 뿌리생육은 묘두직경이 클수록 양호하고 묘두직경이 적을수록 부진하였다. 추대시기는 묘두직경이 굵을수록 빨라지고 적을수록 늦어졌으며, 0.11~0.3, 0.31~0.5, 0.51~0.7, 0.71~0.9, 0.91~1.1cm로 묘두직경이 굵어짐에 따라 각각 0.2%, 1.6%, 3.3%, 11.8%, 46.6%로 증가되었다. 10a당 수량은 0.51~0.7cm에서 319kg 으로 가장 높았으며, 0.51~0.7cm보다 묘두직경이 작을수록 수량이 낮아지고 0.91cm 이상 묘에서는 추대율이 높아 수량이 낮았다. 추대율은 초장과 정(正)의 상관을 보였으며, 건근수량은 추대율과 부(負)의 상관을 보였다. 추대율이 비교적 낮고 수량이 가장 많은 묘두직경은 0.51~0.7cm였으며, 당귀재배시 적정 묘두직경의 범위는 0.31~0.7cm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