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67

        32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wborn piglets are routinely subjected to several treatments shortly after birth, one of which is tail-docking. Tail-docking, which is carried out without an anesthetic when the piglet is 3 to 4 days old, is intended to prevent the severe injuries that can occur when pigs bite each other’s tails. The study was performed in slaughterhouses to determine how much tail-docking prevented tail-biting and how much it caused clinical problems such as amputation neuroma. One thousand pigtails were collected from 3 slaughterhouses in different provinces and tail length and tail-biting injuries were examined. Among them, 659 tail tissues were examined for clinical problems like amputation neuroma. The collected tai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tail, which was defined as long (n=136, 75% of the tail remained compared to the referred intact tail length of 30.6±0.6 cm of crossbred Landrace×Yorkshire dam×Duroc sire; LYD), medium (n=694, 50% of the tail remained), and short (n=170, 25% of the tail remained). The results showed that 4.3% of 1000 tails had biting injuries and 58.7% of 659 tails had amputation neuroma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tail-biting injury and tail lengths (p=0.953). However, the tail-biting injuries differed significantly by the province (p<0.001), and the frequency of amputation neuromas also appeared more frequently in longer tail lengths (p<0.001). The results indicated that tail-biting behavior was not influenced by tail-docking but might be influenced by the housing system and/or management practices.
        4,000원
        322.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optimize the fermentation condition of black bean using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AB fermented and heat-treated black bean. Two LAB strains were selected by analysis of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identified as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CH9 and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SU18 by 16S rRNA sequencing. Both strains showed similar or higher acid resistance, bile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Lacticaseibacillus rhamnosus GG, a commercial probiotic strain. The heat-killed cells of CH9 and SU18 strains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live cells. Fermentation of black bean (30%) treated with Alcalase using the two selected strains was found to be optimal condition, increasing viable cell count of LAB up to 10.8 Log CFU/g. During the fermentation, the titratable acidity of Alcalase-treated black bean was notably increased with concomitant decrease in the pH. LAB fermentati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s well as total phenol content. In addition,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significantly (p<0.05) enhanced by heat processing (121C, 15 min) of the fermented product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LAB-fermented foods containing heat-killed probiotics.
        4,000원
        32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양한 결실기로 육성한 산초나무 5개의 신품종(한초 915호, 한초 930호, 한초 10호, 한초 1020호, 한초 1030호)에 대해 잎과 가시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조사는 질적 특성과 양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양적 특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의 다중검증(Scheffe's multiple range test)으로 품종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한 특성의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잎 길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으나, 정소엽의 거치 수, 소엽의 수, 가시의 크기에서 품종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요인분석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 하였다. 또한 비가중평균결합(Unweighted pair-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averages) 군집분석을 수지도(dendrogram)로 확인한 결과, 한초 1020호와 1030호가 근접하고, 한초 915호와 930호가 근접하였으나 개화기와 결실기에서 뚜렷한 차이로 품종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24.
        202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의사 보조원은 동물병원에서 동물에 대한 처치, 접수, 보호자 안내, 수납 업무 등을 통해 수의사를 지원하고 보조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극적 경청과 원활 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조사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로 인 식의 함양이 필요하지만 현재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동물 병원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전라북도 반려인의 이용 만족도 현황과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수의사 보조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 미치는 영향의 유무를 규명하고 자 한다. 또한, 전반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인식하는 데 목적을 둔다. 2022년 4월 30일부터 2022년 5월 2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 의 데이터는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기준으로 분석 하였다. 첫째, 수의사 보조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을 정리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alpha 계수는 모두 0.8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검증되 었다. 둘째, 수의사 보조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 동물병원 이용자의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의 여부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하여, 본 연구는 수의사 보조원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 소통 능력의 영향력 인식을 통해 중요성 함양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4,200원
        325.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 척도)에서 잠재적 위험군으로 분류된 중학생을 대상으로 Jo(2019)가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을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방법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8명으로 8주간 매주 1회 60분으로 8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마트폰 중독 수준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활동 참여 종류 및 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집단 내 치료 전후의 유의 성을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 치료 프로그램을 적 용 후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감소하였고, 자기통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활동에 대 한 흥미와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의 참여 상황에서 혼자 하는 활동은 감소하고, 친구 및 가족 과 하는 활동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에서의 활동도 증가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자기통제력, 활동에 대한 흥미, 만족도 및 활동의 참여 상황 모두 프로그램 전과 후 유의미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결론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치료 프로그램은 학교 및 지역사회의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들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 중재치료에 대한 근거기반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326.
        202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21년 전남, 전북을 대상으로 23개소에서 어류 4종(향어, 비단잉어, 참붕어, 금붕어) 총 1,115마리에 대하여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법정전염병 3종(SVC, Spring viraemia of carp, EUS, Epizootic ulcerative syndrome, and KHVD, Koi herpesvirus disease)을 분 석한 결과, 조사한 모든 시료에서 법정전염병이 검출되지 않아 전라권에서 조사한 잉어과어 류는 청정국 또는 청정지역 선언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4,000원
        33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gression models for surface distress (SD), rut depth (RD), and international roughness index (IRI) of Jeju Island local roa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avement performanc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METHODS :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pavements in inland Korea and Jeju Island in terms of performance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Influencing factors were assigned to pavement sections on Jeju Island using the inverse distance weighting metho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avement performance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analyzed. As a result, maximum temperature, heat wave days, annual temperature range, precipitation days, precipitation intensity, ESAL, etc. were determ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pavement performance prediction mode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pavement performance models using the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The RD, maximum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ys were determined to be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SD predictive model. The SD, maximum temperature, annual temperature range, heat wave days, and precipitation days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RD prediction model. In addition, the RD, annual temperature range, heat wave days, precipitation days, and ESAL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IRI prediction model.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e study, an actual forecast model for SD, RD, and IRI was developed. Based on this model,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missing performance data in the studied interval. If th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are managed in terms of maintenance beyond a certain level, it can help those responsible for road maintenance to rationally select the maintenance method and timing.
        4,500원
        337.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OVID-19 vaccina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and explore its importance. Methods: A descriptive qualitative study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14 nursing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rejection of COVID-19 vaccin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November 24, 2021, to January 30, 2022. Results: The COVID-19 vaccina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included four themes: “nostalgia for everyday life before COVID-19”, “hesitancy to get vaccinated against COVID-19”, “different thoughts about COVID-19 vaccin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COVID-19 vaccination”. Conclusion: The COVID-19 vaccination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may be due to a lack of trust in COVID-19 vaccination. Theref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COVID-19 vaccination should be provided to lower the vaccination hesitancy of nursing students.
        4,600원
        338.
        2022.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뮤지컬 전공생의 효과적인 음악교육에 필요한 필수 교과목 연구를 통해 전문 뮤지컬 배우를 양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음악교육 커리큘럼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이에 뮤지컬 전공생의 양성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음악, 연기, 무용 중, 음악 관련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 뮤지컬 전공학과 전체를 조사하였고, 이 중 에서 뮤지컬 음악교육을 위한 최소한의 교과과정인 4가지 필수음악교과(음악이론, 보컬, 레퍼토 리 분석, 오디션)를 포함하고 있는 국내 6개 대학을 선정하여 학과별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하였 다. 더욱 바람직한 국내 뮤지컬 전공 음악 커리큘럼의 발전 방향을 찾아보기 위해 미국의 AMDA 공연예술대학 뮤지컬 전공 커리큘럼을 조사하여 현재 한국 대학의 교과목들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앞으로 개선되어야 하는 교과목들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내 대학의 뮤지컬 전공학과 커리큘럼과는 다른 5가지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뮤지컬 전 공생을 위한 15개의 음악 커리큘럼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토대로 각 대학의 뮤지컬 전공학과 음악 커리큘럼이 체계적이면서도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구성된다면, 대학의 전공 교육으 로 전문 뮤지컬 배우를 양성할 수 있는 소기의 교육 목적을 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