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2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44,443 도체로부터 얻은 도체특성(성별, 등지방두께 및 도체중), 사육환경(자돈의 성별 분리사육, 돈사의 온도관리 유무, 돈사의 형태, 환기방식, 급수원의 종류, 음수 개선시설의 유무, 돈사의 연간 소독횟수, 돈사의 바닥형태 및 평당 사육두수), 출하방법(선별출하, 출하일령, 등지방두께의 편차 및 도체중의 편차) 및 번식특성과 자돈관리(모돈의 산차, 이유일령, 정액의 분양처 및 자돈의 품종)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돼지의 도체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도체특성 변수에서 암퇘지 및 거세돈이 숫퇘지보다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며(p<0.05), 등지방두께 15-29mm 및 도체중 91-95kg가 높은 도체가격을 보였다(p<0.05). 도체가격에 대한 등지방 두께 및 도체중은 도체가격 형성에 각각 90.75%와 90.23%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사육환경, 출하방법, 번식관리는 각각의 방법별로 가격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도체가격형성에는 낮은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 여러 가지 변수 중 등지방 두께 및 도체중이 도체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4.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vement and accumulation of cadmium in male Sprague-Dawley rats, fed with brown rice from nearby Janghang smeltery area were investigated. The rat fed with five different cadmium level diets made with Cdpolluted during 12 weeks. The brown rice-polluted with 0.87 ppm Cd (PBR) was sampled from products in the Janghang smeltery area. Diets of brown rice group were brown rice (BR, 0.002 ppm Cd), each 50% of BR and PBR (BR+PBR 50%, 0.44 ppm Cd) and PBR (PBR 100%, 0.87 ppm Cd). To compare with BR+PBR 50%, the another group diet composed the feed (FE, 0.002 Cd ppm) and each 50% of FE and PBR (FE+PBR 50%, 0.44 ppm Cd). Accumulation of Cd, Zn and Cu in blood, liver and kidney rats was measured by GF-AAS. The weight gain in BR groups and FE groups were different 0.22-0.26 and 1.08-1.26 g/day, respectively. Daily intake cadmium was 10.77 and 22.36 μg/rat in BR+PBR 50% and PBR 100%, and 8.83 μg/rat in FE+PBR 50%. Cadmium contents in diets were higher, and total intake of the heavy metals was more increased on the whole. Weights of liver and kidney in FE+PBR 50% group was 2.64 and 2.27 folds higher than those in BR+PBR 50% group. Cadmium contents in blood were increased with intake of BR diet, but Zn and Cu were decreased with them. In the diet groups with the same Cd concentration, Cd content of FE+PBR 50% was higher 1.27 times than that of BR+PBR 50%. In the diet group of BR, BR+PBR 50%, and PBR 100%, the increase of C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increase of Cd content in the livers. In the same condition of Cd concentration, Cd contents were higher in the BR+PBR 50% group. In the diet groups of BR, BR+PBR 50%, and PBR 100%, the increase of Cd content in the kidneys led to the increase of Zn and Cu contents. In the same condition of Cd concentration, the diet group with the addition of BR was shown to be 3.11 times higher than with the addition of FE.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It was closely related with Cd, Zn, and Cu content.
        4,000원
        25.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상파 DMB방송 광고가 활성화되기 위한 가장 큰 선결 과제는 지상파 DMB 방 송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 잡기 위한 가치사슬상의 생태계가 제대로 작동하게 하 는 정책이 필요하다. 즉, ‘사업자의 경영 상황 개선 → 콘텐츠․네트워크에 대한 투 자 확대 → 이용자 인식 제고 → 사업자 수익 개선’의 선순환 고리가 이어질 수 있는 정책 방향이 필요하다. 이에 지상파 DMB 방송 서비스 도입 6년차를 맞이하 여 지상파 DMB방송과 광고 현황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침체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제도적, 정책적 방안이 무엇인 지를 찾아 지상파 DMB방송 광고 시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다매체 시대 지상파 DMB 방송이 새로운 방송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활성화 시키 는 데 있어 정책적 방안과 광고 운영전략 방안을 동시에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 기한다. 이를 위해 지상파 DMB 방송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광고 현황을 탐색한 후 지상파 DMB방송 광고의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가장 효과적인 지상파 DMB 방송 광고의 전략적 운영 안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인터뷰 조사 결과, 첫째, 지상파 DMB광고의 자체 편성을 높여야 하며, 이를 통해 중간광고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현실적인 지상파 DMB방 송의 중간광고 시행이 필요하다. 셋째, 지상파 DMB 광고의 주시청자의 미디어 이 용 행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DMB 2.0으로의 진 화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8,600원
        26.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표고 톱밥 지면재배 재배사내 온-습도의 변화가 표고균사생장과 버섯수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톱밥배지는 충북 증평군 증평읍 남차리에 위치한 한솔농장에서 2월18일부터 3월28일까지 약 30일간 발효시킨 참나무 톱밥을 이용, 함수율을 65%정도로 맞춘 후, 65℃에서 11시간 살균하였다. 접종원은 산조 701을 사용하였으며, 톱밥과 종균을 7:3으로 섞어서 폭 1.3m, 두께 15㎝로 3월 30일에 입상 하였다. 입상 재배사는 동서방향으로 폭 10m, 길이 85m, 면적 850m² 규모의 단동형이며, 온도, 습도,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광망, 단열재, 스프링쿨러 등을 설치한 3중 비닐하우스이다. 재배사내 온-습도의 변화는 재배사 내-외에 데이터 로거를 설치하여 측정하였고, 배지 내 온도와 수분변화는 온도센서와 수분센서를 부착하여 관측하였다. 그리고 균사 배양이 끝난 후에는 2주 간격으로 가로 7㎝, 세로 13㎝ 크기의 시료를 채취하여 함수율, pH, 에르고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였다. 표고톱밥지면재배사내 온-습도의 변화범위는 온도 7.1~29℃, 습도27.3~100%였고, 재배사외 온-습도의 변화범위는 온도 3.1~30.7℃, 습도 1.25~100%였다. 입상 직후부터 배지에 표고균사가 활착하여 배지를 뒤덮는 2주간 평균온도는 12.1℃, 온도범위는 -2.1~29.4℃, 상대습도 범위는 7.6~100%였다. 이 시기에 오염균인 Rhizopus sp.가 발생하였으나, 표고균사가 활착하면서 오염의 범위가 넓어지지는 않았다. 대조적으로 2009년 5월 15일부터 6월 10일까지 재배사 내 온-습도 변화는 평균온도 18.0℃, 온도변화는 8.4~29.0℃, 상대습도는 32.3~100%였는데 Tricoderma sp.는 배지 전체를 오염시켰다. 입상 2주 후 배지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8.06%이었고, 이 후 배지부터 6주차까지는 1.07%로 감소하였다. 6주차에는 배지 표면에 융기가 형성되었다. 7주차에는 배지표면의 갈변이 시작하였으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약 5.63%까지 증가하였다. 이후 11주차까지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6∼7%정도로 유지되었다. 재배 기간 중 함수율은 61%~72%, pH는 3.85∼4.56이였다. 표고 톱밥 지면재배 기간 중 배지 내 에르고스테롤 농도의 변화는 6월 16일배지의 비닐 제거 후 6월 25일 0.45㎍/g에서 7월 16일 0.57㎍/g으로 점진적으로 증가, 7월30일 0.33㎍/g로 낮아졌다. 이후 8월 27일까지 1.15㎍/g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9월 10일 0.52㎍/g로 급격히 낮아졌다. 9월 10일 이후 9월 24일은 0.38㎍/g, 10월 8일 0.47㎍/g, 10월 22일 0.39㎍/g, 11월 5일 0.59㎍/g이었다. 표고수확 기간 중 재배사내 일교차는 1주기 7.1℃, 2주기 8.5℃, 3주기 7.4℃, 4주기 7.0℃, 5주기 12.7℃, 6주기 16.8℃, 7주기 12.8℃이었다. 일일버섯수확량은 일교차가 10℃이하인 1~3주기에는 각 50㎏, 48㎏, 64㎏였고, 4주기에는 일교차가 7.0℃로 낮았지만 일 수확량은 133㎏이었으며, 일교차가 10℃이상인 5~7주기까지는 각 일 수확량이 216㎏, 309㎏, 246㎏으로 10℃이상의 큰 일교차는 표고수확량에서 크게 영향을 미쳤다.
        28.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Korean adults to investigate Makgeolli drinking behavior, preference, and perception about Makgeolli and health, as well as Makgeolli complaints and pric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formulated to obtain information on demographic variables, drinking habits, and perceptions about Makgeolli's function, price, and complaint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68 adults living in the capital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kgeolli (16.1%) was third preferred, following Soju (45.1%) and beer (30.7%),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y gender and income, but the preference for Makgeolli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p<0.001). According to the survey, the largest reason both genders drank Makgeolli was that it tastes good. Men preferred Makgeolli for its health effects and cheap price, while women preferred it for the atmosphere while drinking it. Also, older people and those with higher incomes preferred drinking Makgeolli for its health effect rather than its good taste (p<0.001 for eac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y gender for the question "Do you think that Makgeolli has a health-promoting effect?" Overall, 51% of the subjects gave positive answers and only 5.9% gave negative answers. Significantly, older people and those with a higher income had a higher rate of answering positively to this question. Belching (45.1%) and headache (29.9%) were the most common symptoms among the side effects of drinking Makgeoll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y gender or income, but older people had a higher rate of belching and fewer headaches than younger people (p<0.001). Wo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erceiving that Makgeolli was cheap than men. Age and income differences did not influence price perception. To the question "What is the ideal price for high quality Makgeolli", 32.1% answered that the present rate (1,000 won) was ideal, and 59.4% answered that a price between 1,000 and 2,000 won was ide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 preference for Makgeolli is due to its good taste and health effects. However, belching and headache caused by drinking Makgeolli were the most common complaints and, thus, must be solved. Some opinions indicated that Makgeolli must eliminate its low-quality image, but, according to this survey, most subjects answered that the ideal price of higher-quality Makgeolli should be increased slightly, which would cause price resistance.
        4,600원
        31.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kju lees hot water extracts on the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on rats (SHR). Twenty eight male SHR were grouped by their blood pressure and fed a control diet or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 (G1), 2% (G2), or 4% (G4) Takju lees extracts for 4 weeks. Foo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However,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s fed the Takju lees extract than the control group.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akju lees extract containing groups (especially in G4 group) than the control groups. In addition, mean blood pressure {(systolic+dyastolic)/2}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akju lees extract in the diet and feeding period. Takju lees extract decrease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kju lees extract exert an antihypertensive effect by decreasing ACE activity.
        4,000원
        3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붉은꽃인동덩굴의 적심높이(60, 120, 180 cm) 가 가지길이, 측지수 및 피복에 미치는 적심높이별 영 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인동덩굴의 줄기길 이는 고절위(180 cm) 적심이 저절위(60 cm) 적심보다 길 었고, 측지수는 저절위 적심이 고절위 적심보다 많았다. 그러나 분지수는 적심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퍼골라 벽면의 피복도는 저절위 적심이 85%, 중절위 적심이 74%, 고절위 적심이 62%를 보였다. 개화는 5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 계속되었고, 첫 개화는 60 cm 적심이 5월 중순으로 가장 빨랐다. 대체로 적심 높이가 낮고 적심시기가 빠를수록 개화가 빨랐고, 개화최성기는 8월 중순이었다. 붉은꽃인동덩굴을 이용한 퍼골라 벽면의 가로 3.0 m ×높이 2.2 m 녹화를 하기 위해서는 퍼골 라당 6주(1m당 2주)를 재식하고, 60 cm 벽면 높이에서 1회 적심하면 당년에 85%의 벽면스크린 및 녹화가 가 능하였다.
        4,000원
        35.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