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남한 및 백두산일대 분비나무림의 군집구조를 확인하여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해발 1,000m 이상의 분비나무림 우점지역을 대상으로 총 470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는 2019년 7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군집은 크게 4개의 군집으로 신갈나무-사스래나무 군집, 분비나무 순군집, 주목 군집 그리고 신갈나무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분비나무 개체군의 흉고직경급은 역 J자형의 임분구조로 분석되었다. 국내 및 백두산 일대까지의 분비나무림의 하층식생은 임분이 안정화됨에 따라 낮은 종다양성지수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분비나무림의 쇠퇴지역과 유지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보전과 이용적 측면을 고려한 산림경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사과 재배에 가장 널리 이용되는 수형은 세장방추형으로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관 내부의 광환경이 불량해진다. 전정을 통한 부분적인 수관 변경은 이러한 문제점 개선의 효율적인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나무 중간의 수관 변경에 따른 수관 내 광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과실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절한 측지 관리 방법을 모색하고자 4.0 × 1.5m로 재식된 ‘감홍’/M.9을 대상으로 2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처리 1은 측지를 짧게 단축하여 수관 폭을 좁게 만드는 것이었고, 처리 2는 측지를 유인하는 것이었으며, 처리 3은 대조구로 기존 세장방 추형의 수관을 유지했다. 1. 처리 1은 수관 하부로의 광투과율이 가장 높았고 기존 세장방추형에 비해 과중과 착색도가 높은 과실의 생산이 가능 했으며 높은 꽃눈 분화를 나타냈다. 2. 처리 2는 유인에 따라 가지의 중첩에 의한 음영 발생 증 가로 광투과율이 오히려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과실 착색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3. 따라서 광환경 개선과 하부의 과실 품질 향상을 위한 가 장 효율적인 측지 관리 방법은 중간에 위치한 측지를 길이 50 cm 내로 단축 전정하여 수관 폭을 좁게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공 및 지리 공간 기술은 연구자 및 농업관련 실무자들이 더욱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은 농업과 임업에 있어 현재 병해충 관리의 변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위성, 유무인항공기, 스펙트럼 센서들, 정보 시스템 및 자동화 현장 장비들의 기술들은 병해충을 감지하고, 특정 지점에 대한 병해충을 방제하는데 사용되어져 왔다. 빅 데이터 기반한 인공 지능과 함께 항공 및 지리 정보 기술의 가용 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술을 사과 IPM에 적용하는 것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사과연구소에서 수행한 사례 연구를 통해 사과 IPM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항공 및 지리 정보기술의 발전과 한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1950년대에 종합적 유해생물관리(IPM)의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는 경제학적 개념이 해충방제에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종합방제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우리나라 병해충 종합방제에 관한 연구는 1970년대 감귤해충에 대한 종합방제연구와 통일계 품종의 보급에 따른 수도해충종합방제연구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사과 병해충종합관리 연구는 1980년대 화학 농약을 이용한 방제 및 약제 저항성 연구, 해충 및 천적생태에 대한 연구, 성페로몬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대부터는 농가보급을 위한 IPM 연구사업과 현장실증사업이 병행되었다. 2000년대에는 교미교란제를 중심으로 한 해충예찰과 발생모형 개발, 해충에 대한 DB 프로그램 및 정보공유를 위한 네트워크가 구축되었다. 2010년대는 무인예찰 및 자동화기술 개발을 통해 IPM 기술이 확장되고 있다.
아고산(sub-alpine)지역의 환경은 척박하고 서식처가 좁지만, 지구환경변화로 인한 북방계 식물의 피난처(refugia)로써 중요한 생태학적 가치를 가지는 지역이다. 한편 황병산(1,407m)은 백두대간보호구역으로 지역적·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이다. 현재 황병산 일대의 목장 및 관광객 유입으로 인하여 산지의 일부가 교란 되고 있어 보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황병산 일대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는데 있다. 황병산 일대 해발 1,000m 이상의 지역을 대상으로 총 24개소의 원형방형구를 설치하여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군집의 유형은 신갈나무-분비나무(군집 1), 신갈나무(군집 2), 분비나무(군집 3)로 분류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군집 1은 신갈나무(21.4), 분비나무(19.1), 당단풍나 무(8.2), 피나무(6.0)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군집 2 신갈나무(34.9), 분비나무(17.7), 피나무(10.2), 사스래나무(7.2) 등 그리고 군집 3은 분비나무 (40.0), 신갈나무(11.9), 당단풍나무(6.4), 피나무(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황병산 분비나무림은 각 임상에 따른 모자이크형 패치형태의 군집구조로 나타나 향후 혼효임분의 동태를 파악하고, 각 우점 군집의 보전을 위하여 버퍼구역을 통한 보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최근 기후변화와 더불어 사과원 병해충 방제 횟수, 주변 식생 등의 변화로 인해 노린재류의 발생 밀도가 증가하고 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사과원 노린재류의 방제는 주로 살충제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들의 강한 이동성과 농약 잔류, 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충 방제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과원의 주요 노린재 중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알을 이용하여 사과원 주변의 알 기생봉을 탐색하고 이들에 대한 야외 기생률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저온 저장된 두 종의 알을 사과원에 배치하고 이후 수거하여 알에서 채집된 기생봉을 동정한 결과 썩덩큰검정알벌(Trissolcus japonicus Ashmead)로 확인되었다. 야외 기생률은 썩덩나무노린재의 경우 약 27%, 갈색날개노린재는 21%로 나타났다. 추후 이 기생봉에 대한 생태 특성, 인공 사육, 야외 방사 기술 등의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2010년대 이후로 사과원내 신초와 어린 과실에서 총채벌레류의 발생과 피해가 확인되었다. 사과원내 총채벌레류에 는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 콩어리총채벌레(Mycterothrips glycines Okamato) 등이 확인되었고, 그 중 대만총채벌레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사과원에 우점하는 대만총채벌레를 예찰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끈끈이트랩의 색상을 선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3개 지역(군위, 안동, 영주)에 위치한 10개의 사과원에 청색, 백색, 황색의 끈끈이트랩을 한 과원당 3반복으로 설치하였 다. 총채벌레류가 주로 발생하여 사과의 어린 과실과 신초를 가해하는 5월부터 6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채벌레류 유살수를 조사하였다. 총채벌레류의 발생량이 적은 5월에는 색상별 유인효과가 크게 차이나지 않았지만, 총채벌레류의 발생량이 많은 6월에는 청색 끈끈이트랩이 효과적으로 사과원 총채벌레류를 유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과원 내 총채벌레류를 예찰하고 방제하는데 청색 끈끈이트랩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농업인구의 고령화 및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농업 생산 부분은 기계화 및 자동화를 비롯한 다양한 기술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국내 과수 재배 작물 중 하나인 사과는 연간 10회 이상의 병해충 방제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살포 작업의 노력과 방제 비용, 작업자의 약제 노출 등을 줄이고 병해충 방제 효율을 높이는 방제 작업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과원 미세 분무 약제 살포 자동화 설비 구축을 위해 사과 과수원 내 미세 분무 살포 시스템을 설치하고 국·내외 산 노즐별 사과 잎의 농약 부착 정도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노즐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내외 산 노즐별 사과 잎의 농약 부착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잎의 앞면 보다 뒷면의 농약 부착 정도가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속하는 나무좀은 일찍부터 산림의 주요 해충으로 다루어져 왔다. 최근 사과원에서 M.9 대목을 이용한 사과 밀식재배가 확산되고,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기상으로 사과나무 동해에 의한 2차 나무좀 피해가 늘어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과원에 발생하는 나무좀류의 발생 양상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약제 선발을 통해 효율적인 방제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사과원에 발생하는 나무좀은 암브로시아나무좀, 오리나무좀, 붉은목나무좀, 사과둥근나무좀 등 4종으로 암브로시아나무좀이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암브로시아나무좀의 발생은 4월부터 시작하여 연 2회 발생하였다. 주간부에서 나무좀의 피해는 대부분 21~100cm 높이에서 발생하였으며, 야외 방제 시험에서 Phentoate EC, Chlorpyrifos WP, Thiacloprid SC 등이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The apple leafminer moth, Phyllonorycter ringoniella Matsumura is known an important insect pest of appl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992 to 2017 in the major apple producing districts in Gyeongbuk area including 4~6 cities (18~30 orchards), and examined the occurrence and damaged leaf (%) of leafminer at monthly interval in “Fuji” apple orchards. The damaged leaf was the highest in 1992 (5%), the gradually decreased until 2004, After damage rate was again increased until 2008, after which it decreased. Leaf damag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rootstocks including seedling rootstock, M.9, and M.26.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vascular plants of Mueuido in Incheon from April to October, 2011.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mountains (Mt. Horyonggok and Mt. Guksa), coastal areas and annexed islands (Silmido and Somueuido). Vascular plants were found to have 338 taxa, including 90 families, 235 genera, 297 species, 5 subspecies, 32 varieties and 4 form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had 5 taxa including Utricularia bifida, U. vulgaris var. japonica, U. racemosa, Ottelia alismoides, and Arisaema heterophyllum.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had 3 taxa of grade V and 5 taxa of grade II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20 taxa that made up 8.3%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Since 2000, the damages of hemipteran pests have severely increas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proper monitoring methods and investigate seasonal occurrences of the two apple-infesting stink bug species by the year and to evaluate the orchard rate of infestation and rate of damaged apple. Also the preferences of stink bugs to the crabapple cultivars were investigated in orchards. Compared data obtained from monitoring methods using visible counts,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r mercury light traps, the occurrence density of apple-infesting stink bugs (Plautia stali and Halyomorpha halys) could be monitored more effectively in aggregation pheromone trap than visible count or mercury light trap. The occurrence densities of two species during growing season were low in 2013, but increased in 2014. From the investigations at 25 orchards of eight districts was the infestation rate was at 16.7% in 2013 and 62.1% in 2014 . The occurrence density of stink bugs in crabapples was highest in ‘Purple lemoine’ followed by ‘Professor sprenger’ ‘M. baccata’, ‘Robinson crab’, ‘Sandong pingguo’, damaged fruit rate. The number of damaged holes was high in order as ‘Hopa-A’, ‘Sandong pingguo’, ‘Adam’s crab’, ‘Professor sprenger’, ‘Purple lemoine’.
이 연구는 사과원에서 20년동안 두 종 응애의 밀도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과나무를 가해하는 두 종의 응애 해충, 점박이응애 (Tetranychus urticae)와 사과응애(Panonychus ulmi)의 발생을 1992년부터 2011년까지 8개 도시 포함, 한국의 남부지역에 위치한 사과주산지역에 서 조사하였다. 20년간의 추세는 많은 과원이 1992년부터 1999년까지는 점박이응애가 주로 가해를 하였지만 2000년도부터는 사과응애가 우점하 기 시작했다. 사과응애의 평균관찰밀도는 일정했고 점박이응애의 밀도는 이 기간동안 일정하지 않았다. 5년주기별 발생추세 분석은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2002년 이후에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4월부터 9월까지 월별피해과원율과 두종 응애의 평균발생밀도는 사과응애의 밀도가 4월에 높지 만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5월부터 9월까지 높았다. 이런 변화는 살충제 살포횟수, 초경재배관리, 질소비료 사용의 감소와 전체적인 과원관리의 변화 등으로 기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보다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비료살표와 같은 재배법과 살충제 살포횟 수와 종합적해충관리 등의 환경적 변화가 사과원에서 두종 응애의 우점종과 발생밀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ambrosia beetles have become very important pest of 2~5 year old apple trees with M9 dwarf rootstocks in South Korea. The beetles have killed the branches and stems of the young trees, especially, frozen damage trees in winter or drought stressed tree in spring. By the increase in planting area and weaken property in winter of M9 dwarf rootstock, ambrosia beetles are becoming a key pest in Korean apple orchards using M9 rootstock. According to the survey of damaged apple trees by ambrosia beetles, 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Xyleborus apicalis Blandford and Xyleborinus saxeseni (Ratzeburg).
These insects are hosts of the ambrosia fungi. ITS region of rDNA has shown to be a useful source for phylogenetic studies and identifying speices in previous published articles. We analyzed the nucleotide sequences of ITS1, 5.8S and ITS2 region of ambrosia fungi isolated from three ambrosia beetles, in order to observe molecular variation among the fungi strains and to reveal phylogenetic relationships.
Major fruit moths in commercial apple orchards are known as Carposina sasakii and Grapholita molesta. In addition, recently G. molesta is dominant species compared with C. sasakii in apple orcahrds.
In case of Japan, the fruit damage occurred a lot unexpectedly in apple orchards of the northern Nagano during the harvesting season in 2004. As the result of identifying after emerging the larvae collected from the damaged fruit, Grapholita dimorpha was found out. The morphology of Grapholita dimorpha are almost similar to that of Grapholita molesta, and the shape of the damaged fruits was too similar to distinguish them.
We installed sex pheromone traps of Grapholita dimorpha in apple orchards to check if there were Grapholita dimorpha in Korean apple orchards and to survey seasonal occurrence.
As a result of survey by installing sex pheromone traps of G. dimorpha at one apple orchard in Uiseong-Gun and Gunwi-Gun area respectively, we could find high population density of G. dimorpha in sex pheromone traps. The peak of the first generation of G. dimorpha was dated in early May. The first generation occurrence of G. molesta in sex pheromone traps was lower than that of Grapholita molesta. However, it had higher occurrence of sex pheromone traps than G. molesta since it increased after mid and late July.
Also, as a result of identifying in G. molesta traps, there were 673 G. molesta and 8 G. dimorpha. As a result of survey of 1,102 G. dimorpha in its sex pheromone traps, there were 1,099 G. dimorphaand 3 G. molesta.
The study investigated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and damage to 16-30 representative apple orchards in major apple production area of 4-8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 Provinces and Jeonbuk province for 17 years from 1992 to 2008. In addition, it examined the hatching time of the overwintered eggs of European red mite (Panonychus ulmi) and apple leaf-curling aphid (Myzus malisuctus) at the Apple Research Station in Gunwi-gun, the Gyeongbuk Province from 1993 to 2009,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occurrence rate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peach fruit moth by means of sex pheromone traps at 2-5 day intervals to look into the changes in the occurrence.
As the result of survey on the insect pests of representative apple orchards, the population density of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was higher then that of Panonychus ulmi from 1992 to 1999 while it became lower than Panonychus ulmi from 2000. Although there was difference in spiraea aphid (Aphis citricola) by year, but the occurrence density tended to decline from 1992.
Lyonetia prunifoliella had not become a problem in apple orchards before the 1990’s, but it started occurring in 1993-1994 and increased rapidly in the late 1990’s. Later, it has consistently increased as leafminer with Phyllonorycter ringoniella in apple orchards. Tortricid insect pests increased the most highly in the late 1990’s, but it has not been a problem after 2000 and the occurrence and damage by Grapholita molesta was higher than that of Carposina sasakii in apple orchards after 1997. Besides, the damage by stink bugs as well as ambrosia beetles has increased after 2000.
In the 2000’s, the initial hatching date of overwintered eggs of Panonychus ulmi and Myzus malisuctus ulmi was 18 and 14 days earlier, the 50% hatching date was 7 and 6 days earlier, and the final hatching date was 1 and three days earlier respectively than that of the 1990’s. In the 2000’s, the first occurrence of Grapholita molesta and Carposina sasakii was earlier by 5 days compared to the 1900’s, and the first occurrence of apple insect pests tended to become earlier compared to the 1990’s.
The study was investigated in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uja koraiensis habitats where provided for ecological evidence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udy plots were located at altitudes of 1,000∼1,588 m with inclinations of 10∼30°. A total of 150 taxa was identified 22 quadrates in 6 study sites. The highest basal area was analyzed in Mt. Gariwangsan 49.98 ㎡/㏊ with the lowest Mt. Hwaaksan 3.46 ㎡/㏊. Thuja koraiensis forest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Abeis nephrolepis-Taxus cuspidata community, Betula ermanii-Thuja koraiensis community. As a result of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te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mmunities.
In the midst of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or a nuclear radiation exposure area, there are huge risks to send human crews. Many robotic researchers have studied to send UGVs in order to replace human crews at dangerous environments. So far, two-dimensional camera inform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teleoperation of UGVs. Recently,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based teleoperations are attempted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of camera information based teleoperation. In this paper, the 3D map information of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reconstructed in real-time is utilized in the UGV teleoperation. Further, we apply the LTE communication technology to endure the stability of the teleoperation even under the deteriorate environment. The proposed teleoperation system is performed at explosive disposal missions and their feasibilities could be verified through completion of that missions using the UGV with the Explosive Ordnance Disposal (EOD) team of Busan Port Security Corporation.
Polyploidy is occurred by the process of endomitosis or cell fusion and usually represent terminally differentiated stage. Their effects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were mainly investigated in the amphibian and fishes, and only observed in some rodents as mammalian model. Recently, we have established tetraploid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deriv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SCNT-hESCs) and examined whether it could be available as a research model for the polyploidy cells existed in the human tissues. Two tetraploid hESC lines were artificially acquired by reintroduction of remained 1st polar body during the establishment of SCNT-hESC using MII oocytes obtained from female donors and dermal fibroblasts (DFB) from a 35-year-old adult male. These tetraploid SCNT-hESC lines (CHA-NT1 and CHA-NT3) were identified by the cytogenetic genotyping (91, XXXY,-6, t[2:6] / 92,XXXY,-12,+20) and have shown of indefinite proliferation, but slow speed when compared to euploid SCNT-hESCs. Using the eight Short Tendem Repeat (STR) markers, it was confirmed that both CHA-NT1 and CHA-NT3 lines contain both nuclear and oocyte donor genotypes. These hESCs expressed pluripotency markers and their embryoid bodies (EB) also expressed markers of the three embryonic germ layers and formed teratoma after transplantation into immune deficient mice. This study showed that tetraploidy does not affect the activities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SCNT-hESC. Therefore, tetraploid hESC lines established after SCNT procedure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various types of cells and could be an useful model for the study of the polyploidy cells in the tissues.
To identif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Anmyeon Isl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June, 2015 to August, 2016. Based on the collected specimens, the vascular plants of the Anmyeon Island were summarized as 717 taxa: 119 families, 400 genera, 632 species, 5 subspecies, 73 varieties and 7 formas. Among the 717 identified taxa, 17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n Forest Service according to the IUCN valuation species were described: 3 taxa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1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6 taxa of least concerned species (LC), 7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99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specially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also were identified. In addition, 6 Korean endemic species such as Forsythia koreana Nakai and Hemerocallis taeanensis S.S.Kang & M.G.Chung, and 91 naturalized plants such as Rumex acetocella L., Amaranthus lividus L. and Diodia teres Walter etc. were descri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