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181.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S cell의 수립으로 특히 mouse를 중심으로 한 발생학, 유전학 연구의 획기적 발전과 형질변환 동물의 생산 및 동물 체내에서 유전자 기능의 탐구에 매우 큰 변혁을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ES cell과 embryoid body는 체외 분화능의 연구에 있어 새로운 cytokine의 발견 및 세포 수준에서의 유전자 기능 해석의 강력한 연구수단으로서 폭 넓게 이용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ES cell line이 지닌 두 가지 장
        4,000원
        184.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 척추동물상에 관한 문헌을 정리한 결과 제주도산 담수어류는 9목 12과 24종, 양서류는 2목 6과 9종, 파충류는 2아목 5과 10종, 조류는 18목 49과 4아과 236종, 포유류는 6목 9과 16종으로 총 35목 2아목 80과 4아과 295종이 분포,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제즈도의 특산 척추동물은 제주족제비(Mustela sibirica quelpartis), 제주등줄쥐(Apodemus agrarius chejuensis), 제주멧밭쥐(Micromys minutus hertigi) 및 제주땃쥐(Crocidura russula quelpartis)등 4종의 포유류가 있고, 조류는 제주오목눈이(Ageithalos caudatus trivirgatus), 제주동고비(Sitta europaea bedfordi), 제주밀화부리(Eophona personata personfumigatus), 제주박새(Parus major minor) 및 제주휘파람새(Cettia diphone antans) 등 7종이며, 양서류는 유미류의 제주도롱뇽(Hynobius leechii quelpartis) 1종 등, 총 12아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한편 본토에는 서식하지 않고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종은 비바리뱀(Sibynophis collaris)과 무태장어(Anguilla mauritiana)이다. 제주도는 신생대 3기말에서부터 4기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지질학적으로 빙하기가 시작되는 Donau 빙하기 이후부터 척추동물이 이주하여서식하기 시작하였고, 제주도가 형성된 후 척추동물이 생존하기에 적합ㅎ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중기 홍적세 이후 현세로부터 약 30만년전부터 빙하기와 간빙기의 반복과 더불어 본토집단과 지리적 격리가 거듭되면서 척추동물의 종분화가 진행되고 있다.
        4,900원
        189.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90.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first step of study on fabrication of ceramic powders from phytoliths in rice, especially in rice husks, pulverization method of rice husks and the properties of milled rice husks were investigated. Impact methods, such as ball milling, were not meaningful for pulverizing elastic and thin fabric structure of rice husks. The most effective one was cutting method. In the present work, a rotating knife cutting method was applied to pulverizing rice husks. A 40-mesh screen was inserted under the rotating knives. The most portion of the milled powder was found in -50/+100 mesh section. Morphology of the milled rice husks revealed that the husks larger than 70 mesh were flake-like shape, at -70/+100 mesh section relatively equi-axed shape, at -170/+325 mesh section rod-like shape, and below 325 mesh section dust-like shape. Tap density of raw rice husks was about 0.1 , while those of milled rice husks were over . This meant that, for a given volume of reactor, raw material charge can be increased more that 4 times when using milled rice husks than unmilled one. True densities of unmilled and milled rice husks were higher than , and increased with decreasing milled sizes.
        4,000원
        191.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쑥갓의 개화에 미치는 한계일장을 구명하고 차광처리, 관수량 및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쑥갓의 개화반응을 보고자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장을 12, 14 및 16시간으로 처리한 결과 일장이 증가할수록 초장은 증가하였으며, 개화시기는 빨라졌다. 또한 생육이 진전될수록 일장에 민감하게 감응하고, 화기 발육도 빨라졌으며, 특히 엽수가 8매 이상일 때 장일처리 효과가 뚜렷하였다. 쑥갓의 개화 유도에 필요한 장일처리 일수는 10일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광처리시 65% 차광구(40,0001ux)는 대조구보다 약 20일 늦게 개화하여 개화지연 효과가 나타났다. 관수량은 증가시킬수록 개화가 억제되었다.
        4,200원
        193.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관분화(器官分化)된 유채의 조직으로부터 재분화되는 식물체의 획득빈도를 높이고자 이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의 종자, 무균배양(無菌培養)된 자엽(子葉), 하배축(下胚軸) 및 엽절편(葉切片)배양에서 명상태에서 보다는 암상태에서 캘러스의 생장이 왕성하였고, 하배축(下胚軸)과 자엽조직(子葉組織)에서 형성된 캘러스에서 shoot 분화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자엽(子葉) 및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의 캘러스형성에는 2, 4-D 단용보다 2, 4-D와 kinetin 또는 BAP를 혼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자엽조직(子葉組織)의 경우는 2, 4-D(1.0 mg/)와 0.1mg/의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 형성된 캘러스를 0.1mg/의 NAA와 2.0 mg/의 kinetin이 첨가된 배치에 이식하였을 때 shoot 분화율이 1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에서는 1.0mg/의 2, 4-D와 0.5mg/의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0.1mg/의 NAA와 4.0mg/의 kinetin이 혼용된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shoot 분화율(分化率)이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엽(子葉) 및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의 캘러스 형성과 shoot분화능력의 유채 품종간(品種間) 차이는 매우 뚜렷하게 인정되었고, 자엽(子葉)보다는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에서 형성된 캘러스에서 shoot 분화능력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96.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약(葯) 배양(培養)에 있어서 이삭내(內), 이삭당(當) callus의 형성량(形成量)의 차이(差異)와 형성(形成)된 callus의 처리과정(處理過程)의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한 callus 형성량(形成量)의 증가(增加)와, 분화(分化)에서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의 행장(生長)에는 고체배지(固體培地)가 액체배지(液體培地)보다 양호(良好)하였고, 특히 N-6배지(培地)가 19.8배(陪)의 생장율(生長率)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분화(分化)에서도 역시 N-6배지(培地)가 뿌리에서 37.50%의 분화율(分化率)로 가장 높았으며, P. E 배지(培地)는 callus생장(生長)에는 M-S배지(培地)보다 불량(不良)하였으나 분화율(分化率)은 5% 높았다. 한 이삭내(內)에서는 극히 제한(制限)된 수(數)의 약(葯)에서만 callus가 형성(形成)되었으나 그 분포(分布)는 넓은 편이었다.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 형성량(形成量)이 증가(增加)하였고 특히 에 5일간(日開) 처리(處理)한것은 처리(處理)하지 않은것보다 38%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의 형성시기(形成時期)가 빨라지며 형성기간(形成期間)의 폭(幅)도 넓어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약(葯)에서 형성(形成)된 callus는 빨리 분화배지(分化培地)에 이식(移植)하는 것이 분화율(分化率)이 높으며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할수록 분화율(分化率)이 감소(減少)하였다. 고농도(高濃度)의 2, 4-D는 Callus의 생장과정(生長過程)에서 분화능력(分化能力)을 유지(維持)시켜 주는것으로 추정(推定)되며 분화중(分化中)의 callus는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뿌리에는 급격(急激)한 분화율(分化率)의 감소(減少)를 야기(惹起)시키나 줄기에는 에 5일간(日間) 처리(處理)한 것이 유효(有效)하였다.
        4,000원
        197.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 중산간 지역인 해발고도 약 700 m에 위치하고 있는 동수악 분화구에서 분출한 알칼리현무암 은 새롭게 발견된 스피넬 페리도타이트라는 맨틀암석을 포획하고 있다. 맨틀 내에서 평형 상태에 있었던 동 수악 스피넬 페리도타이트는 잔쇄반상조직을 보이며, 감람석, 사방휘석, 단사휘석, 스피넬로 구성되어 있다. 동 수악 스피넬 페리도타이트 구성광물의 주성분원소 및 미량원소 분석 결과는 동수악 스피넬 페리도타이트는 지하 약 66~88 km 깊이에서, 약 960℃~1068℃의 평형온도 하에 있었음을 지시해준다. 분별용융 모델로 계산된 동수악 스피넬 페리도타이트의 부분용융 정도는 약 1~3%이며, 새로운 광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LREE가 부화된 패턴을 보이는 동수악 스피넬 페리도타이트는 규산염 용융체에 의해 은폐교대작용을 받아 부화 되었다.
        198.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9년(2019년 1월 30일~12월 31일; USGS 자료) 48주 동안에 활동한 화산은 82개이다. 지구상에서 화산은 1년간 평균 80~90여 개가 활동하고 있다. 이들 중 91% 이상이 흔히 “불의 고리”(Ring of Fire)라고 부르는 환태평양화산대에 위치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활화산들의 80%가 판의 수렴경계부, 15%가 발산경 계부, 나머지 5%가 판 내부에 분포한다는 사실과 잘 부합된다. 조사 기간인 2019년 1월 30일부터 2019년 12월 31일에 이르는 48주 중 가장 빈번하게 활동한 화산들은 Dukono(인도네시아, 48회), Aira(일본, 47회), Ebeko( 러시아 46회), Merapi(인도네시아, 37회), Krakatau(인도네시아, 33회) 화산이다. 2018년과 비교할 때 분화한 화산수가 1개 감소하였으나 이는 2018년 화산활동은 50주, 2019년은 48주와 비교할 때 현격한 증감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지구상의 화산들의 활동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99.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리핀의 따알 화산(Taal Volcano) 분화는 2020년 1월 12일에 시작되었다.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 연구원(PHIVOLCS)은 “몇 시간에서 며칠 내에 위험한 폭발성 분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단계 (Alert Level) 4를 발령했다. 따알 화산섬의 주 분화구(Main Crater)에서 수증기 분화와 수증기마그마성 분화로 뿜어져 나온 화산재가 Calabarzon, Metro Manila, Central Luzon의 일부 및 Ilocos 지역의 Pangasinan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이로 인하여 학교 수업, 기업체 근무 및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었다. 분화 이후 PHIVOLCS 는 2020년 1월 26일 따알의 화산활동이 일관되진 않지만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여, 경보단계를 3으로 한 단계 낮추었다. 2월 14일에는 화산활동의 전반적인 감소 경향 때문에 경보단계가 2로 설정되었으나, 이것 은 분화의 위협이 사라졌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불안정이 상승하는 징후가 있을 경우 언제라도 경보단계가 3으로 상향될 수 있다.
        200.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Obesity is a type of metabolic diseases caused by unbalanced in take and consumption of calories. 3T3-L1 is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by various hormo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and accumulates intracellular lipi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hibit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precess for effective obesity inhibition. Aster yomena and Aster glehui are medicinal plant of Compositea family that grows widely in Korea. Aster genus plants have been used to treat snakebite wound or bruises in oriental. The aim of this study was comparison of inhibitory effect oxidation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with Arial parts of A. yomena (AY) and A. glehni (AG). Methods and Results : AY and AG were cultivated from Pyeongchang in Korea, 2018. AY and AG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E) and water (-W) at room temperature. AG-W has higher phenolic content (6.92 ± 0.23) and AG-E has higher flavonoid content (8.22 ± 0.19) than other extracts. AG-E has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DPPH and ABTS assay (IC50 value; 104.88 ± 10.50 and 30.06 ± 0.27). In cytotoxity assay, all extracts concentrations of lower 100 ㎍/㎖ were nontoxic to the cells and can be applied for the next assay.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extracts were determined in 3T3-L1 cell by Oli Red-O (ORO) staining. The lipid diplot stained with Oil red O was dissolved to determine by microplate-reader. AG-W significantly reduced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70.49%)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AG-E, AY-W and AY-E). Conclusion : Theses results reveal that the water extract of AG has utility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for preventing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