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2

        181.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주간 생장한 닭의장풀을 Hoagland용액에서 3주 동안 수경배양하면서, 100μM Cd2+과 100μM salicylic acid(SA)를 처리한 후 성장, 엽록소 함유량, 수분퍼텐셜, 엽록소 형광, 광합성능 및 기공전도도를 조사하였다. Hoagland용액에 Cd2+ 처리시 3주 동안 2.1cm생장했으나, 대조구는 7.2cm생장했다. 반면에 Cd2+ + SA 처리구는 1주 동안 0.7cm자랐으며, 2주 후에는
        4,000원
        182.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에서 Hemiptarsenus zilahisebessi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밀도억제 효과를 실내와 온실에서 확인하였다. 토마토에서 외부기생봉류에 의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기생율은 26~45%이었으며 이 중 H. zilahisebessi의 비율은 47~75%이었다 암컷 성충의 기주체액섭취율이 기주 1령유충과 3령유충에서 각각 40.4%와 37.9%이었으나 1령과 3령유충을 동시에 접종할 때 1령보다는 3령유충을 주로 체액섭취하였다 사육실에서 H. zilahisebessi 암컷과 기주 3령유충을 1 : 10, 1 : 20, 1 : 30으로 접종시 기주 시망율은 각각 93.1%, 92.1%, 89.8% 이었다. 토마토 포장에서 주당 암컷 3마리, 5마리를 접종한 결과 접종 4주째에 80%정도의 기생율을 나타냈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유충밀도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피해엽률 또한 접종 4주후부터 무접종구에 비하여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접종밀도에 따른 기생을, 기주 유충 생충율 및 피해엽률의 차이는 없었다.
        4,000원
        18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보존제 성분 중 Benzalkonium Chloride<BAC) 가 L929세포 주에 세포독성과 세포 자연사룰 유도하는지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생쥐 섬유모세포 인 L929 cell line을 배양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0.01% H20~, 음성 대조군으로 Media 를 처리하였으며 세포독성은 BAC룰 배양세포에 시간별 (24, 때hr) , 농도별(0.0001 , 0.001, 0.005, 0.01, 0.05, 0.1%) 로 처리하여 대조군과 처리꾼올 비교하여 세포독성 농 도를 산출하였다. Hematoxylin-Eosin Staining후 광학현미 경으로 형태적 변화를 관 찰하고, MTT Assay와 LDH Activity 로 검정하였으며, MTT 정량과 LDH(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로 세포독성 농도룹 산출하였다. MTT 정량결과, 세포 독성이 0.0001% 에서는 8%, 0.005% 에서는 30%, 0.001%에서논 65%5'_ 농도 의존적으로 독성 이 나따났으며, 0.001% 에서 LDH 유출정도가 대조꾼과 비교하여 차이를 나타내지 않 았으나, 0.01% 의 농도에서 2.9 배, 0.1%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3.35배정도 높은 LDH 의 유출율을 보였다. 세포자연사 (Apoptosis) 륜 관찰하기 위 해 Hoechst33342와 DNA Laddering과 Flow cytometry를 실시한 결과, 0.1%에서쓴 세포괴사 (necrosis) 에 의해, 0.001%-0.01%에서는 세포자연사(apoptosis) 에 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189.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idacloprid에 저항성을 보이는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해 몇가지 저항성 기작을 조사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약제를 처리한 후의 체벽잔류량은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되었으나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 간에 체벽침투력의 유의성은 없었다. 체내잔류량은 양 계통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으며 감수성에서 많았다. 배설량은 저항성계통이 감수성계통보다 많아 약제 대시가 빠르게 나타났다. Imidacloprid 저항성계통의 acetylcholine-sterase (AChE) 활성은 감수성계통 보다 약 1.4배 높았으며, imidacloprid는 AChE를 저해하지 않았다. 저항성계통에 대해 산화효소 저해제인 PBO(piperonyl butoxide)와 esterase 저해제인 IBP (iprobenfos)를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Imidacloprid : PBO의 비율은 1 : 1과 1 : 5에서 각각 69.4, 250배의 독성을 보였으며, IBP와 혼합사용(1 : 1과 1 : 5)에서는 각각 227, 80.6배의 독성을 보였다. 감수성계통에 PBO와 IBP를 imidacloprid와 같은 비율로 혼합처리 하였을 경우 단독처리와 독성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naphtyl butyrate와 -naphtyl acetate 기질을 사용하여 비특이적 ester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항성계통의 감수성 계통보다 esteraseghkf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imidacloprid 저항성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기작에는 산화효소와 esterase가 관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90.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TA ester bonds in TG molecules were not attacked by pancreatic lipase and lipases produced by microbes such as Candida cylindracea, Chromobacterium viscosum, Geotricum candidium, Pseudomonas fluorescens, Rhizophus delemar, R. arrhizus and Mucor miehei. An aliquot of total TG of all the seed oils and each TG fraction of the oils collected from HPLC runs were deuterated prior to partial hydrolysis with Grignard reagent, because CTA molecule was destroyed with treatment of Grignard reagent. Deuterated TG (dTG) was hydrolyzed partially to a mixture of deuterated diacylglycerols (dDG), which were subsequently reacted with (S)-(+)-1-(1-naphthyl)ethyl isocyanate to derivatize into dDG-NEUs. Purified dDG-NEUs were resolved into 1, 3-, 1, 2- and 2, 3-dDG-NEU on silica columns in tandem of HPLC using a solvent of 0.4% propan-1-o1 (containing 2% water)-hexane. An aliquot of each dDG-NEU fraction was hydrolyzed and (fatty acid-PFB ester). These derivatives showed a diagnostic carboxylate ion, (M-1)-, as parent peak and a minor peak at m/z 196 (PFB-CH3)- on NICI mass spectra. In the mass spectra of the fatty acid-PFB esters of dTGs derived from the seed oils of T. kilirowii and M. charantia, peaks at m/z 285, 287, 289 and 317 were observed, which corresponded to (M-1)- of deuterized oleic acid (d2-C18:0), linoleic acid (d4-C18:0), punicic acid (d6-C18:0) and eicosamonoenoic acid (d2-C20:0), respectively. Fatty acid compositions of deuterized total TG of each oil measured by relative intensities of (M-1)- ion peaks were similar with those of intact TG of the oils by GLC.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PFB esters of total dTG derived from the seed oils of T. kilirowii are as follows; C16:0, 4.6 mole % (4.8 mole %, intact TG by GLC), C18:0, 3.0 mole % (3.1 mole %), d2C18:0, 11.9 mole % (12.5 mole %, sum of C18:1Ω9 and C18:1Ω7), d4-C18:0, 39.3 mole % (38.9 mole %, sum of C18:2Ω6 and its isomer), d6-C18:0, 41.1 mole % (40.5 mole %, sum of C18:3 9c,11t,13c, C18:3 9c,11t,13r and C18:3 9t,11t,13c), d2-C20:0, 0.1 mole % (0.2 mole % of C20:1Ω9). In total dTG derived from the seed oils of M. charantia, the fatty acid components are C16:0, 1.5 mole % (1.8 mole %, intact TG by GLC), C18:0, 12.0 mole % (12.3 mole %), d2-C18:0, 16.9 mole % (17.4 mole %, sum of C18:1Ω9), d4-C18:0, 11.0 mole % (10.6 mole %, sum of C18:2Ω6), d6-C18:0, 58.6 mole % (57.5 mole %, sum of C18:3 9c,11t,13t and C18:3 9c,11t,13c). In the case of Aleurites fordii, C16:0; 2.2 mole % (2.4 mole %, intact TG by GLC), C18:0; 1.7 mole % (1.7 mole %), d2-C18:0; 5.5 mole % (5.4 mole %, sum of C18:1Ω9), d4-C18:0 ; 8.3 mole % (8.5 mole %, sum of C18:2Ω6), d6-C18:0; 82.0 mole % (81.2 mole %, sum of C18:3 9c,11t,13t and C18:3 9c,11t,13c). In the stereospecific analysis of fatty acid distribution in the TG species of the seed oils of T. kilirowii, C18:3 9c,11t,13r and C18:2Ω6 were mainly located at sn-2 and sn-3 position, while saturated acids were usually present at sn-1 position. And the major molecular species of (C18:2Ω6)(C18:3 9c,11t,13c)2 and (C18:1Ω9)(C18:2Ω6)(C18:3 9c,11t,13c) were predominantly composed of the stereoisomer of sn-1-C18:2Ω6, <..
        5,400원
        191.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biotics polymer prepared by chemical bonding and simple blending of antibacterial into polymers have attracted much interest because of their long-last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Antibiotics polymer can significantly reduce losses associated with dissolution, photolytic decomposition and volatillization. Further more, increased efficiency safety and selectivity are additional benefits which may be realized. In this study, Antibiotics polymer was synthesized by chemical reaction of polyacrylic acid with sulfamethazine by N,N'-dicyclohexylcarbodiimide(DCC) method. Antibacterial susceptibility was determined against Streptococcus pyrogenes[gram(+)] and Esherichia coli.[gram(-)] using a standardized disc test. As a result, the synthetic antibiotics polymer exhibited the broad susceptibilty against Streptococcus pyrogenes and Esherichia coli. Especially, the antibiotic effect of antibacterial polymer against Gram negative(Esherichia coli) was much stronger than that against Gram positive(Streptococcus pyrogenes).
        4,000원
        193.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편초과의 좀목형 엽에 함유된 물질의 allelopathy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용성 엽 추출액, 메탄올 엽 추출액, 엽 분말과 토양과의 혼화된 pot에 각각 상치, 이탈이란라이그라스, 개솔새, 억새 종자를 발아실험하여 발아억제물질을 분석한 결과는다음과 같다. 1. 좀목형 엽 분말을 증류수에 각각 24, 48, 72 시간 침지 후 추출물에 상치, 이탈리안라이그라스, 개솔개, 억새 종자를 파종한 후의 발아율은 각 처리구마다 대조구마다 높은 발아억제를 보였고, 48시간 침지시에는 각각 26.9%, 58.8%, 6.6%, 22.2%의 발아율을 보여 강한 발아억제현상르 보였다. 2. 좀목형 엽 분말을 메탄올 75%에 24, 48시간 침지 후 추출물에 이탈리아라이그사스, 개솔새, 억새 종자를 파종한 후의 발아율은 48시간 추출액때 각각 33.3%, 15.4%, 7.7%를 보여 48시간 수용성 추출액과 24시간 메탄올 추출액보다 강한 발아억제효과가 있었다. 3. 좀목형 엽 분말과 Vermiculite를 1: 99.5: 95, 10:90, 20:80(w/w)으로 구분한 pot에 공시수종을 파종한 결과 엽 분말의 비율이 높을수록 발아억제효과가 컸으며, 엽 분말이 20%인 경우 발아된 부분의 건중량의 비율은 실험구와 대조구간에 비교한 발아율의 비율보다 훨씬 낮아 생장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Column chromatography의 TLC를 이용하여 최종 7 fraction을 찾고 생물검정 결과, 5, 6번 fraction에 강한 활성을 나타냈다. 5. UV 와 IR분광분석 결과 UV 분광분석은 256 nm과 336nm에서 흡수 최대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은 시르시트시약을 사용하여 검토한 결과 7위에 에테르 결합한 전형적인 플라본류로 추정되었고, IR 분광분석 결과 지방족에 에테르결합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6. Py-GC-MS 분석으로부터 5, 6 fraction의 경우 플라본류에 1개의 당이 결합한 배당체 구조이고 B환의 경우 1개 또는 2개 이상의 페놀성 수산기의 존재가 예상되었다.
        4,500원
        194.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196.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xicological safety on 20 kGy-gamma irradiated Kanjang (soy sauce), Doenjang (soybean paste), Kochujang (hot pepper paste) and Chungkukjang (soy paste) was determined by SOS Chromotest. As the strain of the SOS Chromotest, Escherichia coli PQ37 was used in the condi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an exogenous metabolizing system (S-9 mix). Water extract or organic solvent extract was prepared from samples, concentrated and tested by SOS Chromotest with S-9 mix or not. All irradiated samples were not different from non-irradiated one in the bacterial assay maintaining the below 1.5 of IF(induction factor) values in the adapted dose of 10,000 ㎍/assa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y mutagenicity was not observed in 20 kGy-irradiated traditional soybean fermented food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