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3

        181.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눈물분비 부족 및 접액부족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상 의 해소와 하드 콘택트렌즈의 윤활제로서 사용되는 인공누액(Artificial Tears) 10종 류와 렌즈 세척 후 행꿈과 습용 및 안구 세척에 이용되는 둥 가장 전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점안제인 생리식염수(S머ine) 7종류를 배양 생쥐섬유모세포(L929 cell)에 25% 농도로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ELISA Reader(multi well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해 MTT와 SRB Assay로 세포증식 저해 정도률 검정하였다. MTT Assay 결과, 인공누액의 경우 10종류 중 6종류 제품에서, 40% 이상의 세포증식 저해 가 나타났으며 식염수에서는 7종류 중 3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를 나타 냈다. SRB Assay결과, 인공누액 5종류에서 60% 정도의 세포중식의 저해와 식염수 3 종류에서 40% 이상의 세포중식 저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부 제품의 인공누액과 식염수에서 L929 세포중식올 저해하 는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83.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reeding technique to increase Hanwoo of superior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t study, reproductive status of Hanwoo such as size of farm, breeding system and gestationi length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effect of low dose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F2(PGF2) on luteolysis was examined. The size of farm was classified by the total number of cows and the number of breeding stock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herd size of < 5, 6~10, 11~30, 31~50 and > heads was 31%, 15%, 39%, 4% and 11%,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of breeding stock size of <5, 6~10, 11~30, 31~50 and > 50 heads was 36%, 28%, 31%, 3% and 3%, respectively. Average parity was 2.1 in breeding stock. In breeding pattern, artificial in semination(A.I), estrus synchronization-A.I and natural mating was 92.7%, 2.4% and 4.9% respectively. Gestational length of Hanwoo was ranged 253~316 days (average length : 285 days) after estrus( estrus=0). To induce luteolysis, PGF2 was injected into ovarian parenchyma by a modified ovarian injector. The effect of administration of 6mg PGF2 on luteolysis and estrus induction was betweer (P<0.01) when PGF2 was administered into ovarian parechyma than when administered intramuscluarly (71 vs. 91%). When PGF2 was injected into ovarian parenchyma, a decreased concentration to 3 mg did not significantly decreaed its luteolytic effect(92%). When AI was performed following PGF2 treatment, the intraovarian injection group yielded a higher pregnancy rate(69 vs. 88%) than the IM injection groups, regardless of the dosag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ing herd size and regular reproductive management are needed to improve reproductive efficiency in Hanwoo industry. Furthermore, intraovarian administration of PGF2 is effective way to induce luteolysis compared with intramuscular injection.
        4,000원
        186.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previous reports, the authors isolated the algicidal marine bacterium, Alteromonas sp. SR-14 and demonstrated its growth inhibition of diatom, Chaetoceros calcitrans (C. calcitrans).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effects of cell free culture filtrate of Alteromonas sp. SR-14 on the growth of C. calcitra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 The culture filtrate of Alteromonas sp. SR-14 grown in peptone broth showed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C. calcitrans. The reasonable culture conditions of the bacterium for producing of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s were 15-20℃ in temperature, 7.0-9.0 in pH and 23-30‰ in salinity, respectively. The algal growth inhibition activity of culture filtrate was increased from stationary phase in growth curve of Alteromonas sp. SR-14. The molecular weights of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s produced by Alteromonas sp. SR-14 were ranged about from 3 KDa to 12 KDa. Among the substances, less than 10 KDa fraction were stable by heating at 100℃ for 10 minutes, while more than 10 KDa fraction were heat labil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lgal growth inhibition substance produced by the bacterium was not a single compound.
        4,000원
        187.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기주 증식을 위해 실내 대량사육이 용이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 (Fabricius))유충에서 병원성과 증식선충수를 조사하였다. 반수치사 병원선충수는 두 기주간 또는 발육시기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기주내에 증식된 선충수는 기주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온도에 따른 선충의 증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주내 최대 감염태 선충수(담배거세미나방 5령충에서 약 500,000마리, 파밤나방 5령충에서 약 100,000 마리)를 보이는 소요기간이 에는 접종 후 6일이나 에서는 12일로 길어졌다.
        4,000원
        188.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오염 및 부영양화 제어를 위한 생태공학적 오염 하천 정화기술의 하나로서 사상성 부착조류(Filamentous periphyton, FP)의 적용성 및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FP의 증식도는 매질의 종류, 설치방법, 공극, 유속, 수온 및 수중 영양염의 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높은 FP의 증식도를 보이는 조건은 유속 10 cm/s 내외, 수류방향에 수직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4 mm 망목의 그믈망 매질이었으며 같은 물리적 조건에서는 유입수의 인농도에 따라 증식도가 커졌다. 유입수 인산염 인농도가 0.025~0.075 mgP/L, 유속이 5~15 cm/s의 조건에서 Pilot 인공수로(40 cm폭×25 cm깊이×20m길이)내 FP의 순생산성은 74~125 mgChl-am-2d-1, 비증식속도는 0.42 ~0.46/d, 인제거율은 19~103 mgPm-2hr-1, 조체당 비제 거율은 62~196 mgPgChl-a-1hr-1였으며 유입수의 인농도와 유속의 증가시 인제거율은 함께 증가하였다. FP가 정상적으로 착상된 상태에서 유입수의 농도대비 인제거 효율은 약 45% 내외였다. 과영양 하천인 경안천의 현장수로내 부착조류량은 최고 1,168 mgChl-a/m2에 달하였으며 접종 후 2주간 부착물의 증가속도는 20gDWm-2d-1, FP의 순생산성은 83mgChl-am-2d-1, FP의 비증식속도는 0.36/d였다. 접종한지 1주일 이후의 평균 용존산소 증가율은 7.7 gO2m-2 hr-1였으며 물질제거율은 BOD5가 4.4 gO2m-2hr-1, 총질소는 1.7 gNm-2hr-1, 총인과 인산염인은 각각 278, 85 mgPm-2hr-1였다. 부착물의 건조중량 당 비제거율은 총 인이 1,252 μgPgDW-1hr-1, 인산염인이 376 μgPgDW-1hr-1 였다. 인제거율은 FP의 양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으며 FP 시스템에서의 인의 제거는 인산염인의 흡수, 유기성 인의 침전과 흡착 및 분해, 재흡수의 복합과정에 의한 것임을 시사하였다. FP 성장시 인이 조류생장에 대한 제 한요인으로 작용하여 유출수의 질소/인 비는 유입수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이는 FP 시스템이 영양물질의 제거 뿐만 아니라 그 조성비를 변화시키므로써 수환경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FP 시스템은 수생관속식물에 비해 20~40배의 영양염류 제거율을 가지므로 하천수의 직접정화에 매우 효율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FP는 증식속도가 빠르므로 매질의 폐쇄를 억제하기 위한 노화 식물체의 관리, 효율증대를 위한 매질의 선별과 설치 방법, 시스템내 미소생태계의 변화 등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유기물과 영양염이 모두 고농도 인 오염하천의 경우 유기물 제거를 위한 생물막과 영양 염 제거를 위한 FP 시스템을 연결한 복합시스템도 고안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9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산업의 발달로 인한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식품을 미생물의 증식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한 천연식품보존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구상에 풍부한 천연자원인 키토산과 합성화학보존제인 소르빈산을 사용하여 그람음성 병원성 식중독 원인균인 E. coli O157:H7과 대표적 그람양성 식중독 원인균인 Staph. aureus에 대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5. coli O157:H7에 대한 키토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500 ppm, pH 5.5에서 250 ppm, pH 6.0에서 500 ppm, 그리고 pH 6.5에서 2000 ppm이었으며, Staph. aureus에 대한 키토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31.3 ppm이었으며 , pH 5.5 이상에서는 62.5 ppm이었다. 소르빈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500 ppm, pH 5.5에서 1500 ppm, 그리고 PH 6.0 이상에서는 2000ppm이상이었다. Staph. aureus에 대한 소르빈산의 최소발육억제농도는 pH 5.0에서 1500ppm이었으며, pH 5.5 이상에서는 2000 ppm 이상이었다. E. coli O157:H7에 대한 키토산과 소르빈산의 병 용처리효과는 pH에 크게 영향을 받아 pH 6.5에서는 키토산농도 500 ppm과 소르빈산 500 ppm농도에 발육이 억제되었으나 pH 5.0에서는 키토산농도 250 ppm과 소르빈산 31.3 ppm에 억제되었다. 한편, Staph. aureus에서는 pH에 대한 영향이 별로 없었으며, 키토산의 영향을 크게 받으나 소르빈산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pH 6.5, 37℃의 조건하에서 E. coli O137:H7은 키토산 500 ppm 및 소르빈산 500 ppm 처리와 키토산 250 ppm 및 소르빈산 250 ppm 병용처리군에서 모두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키토산과 소르빈산 단독처리군에서는 배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균의 증식이 계속되었다. Staph. aureus는 소르빈산에 영향을 받지않았으며 병용효과보다는 키토산에 대한 영향이 컸다. pH 5.5, 37℃의 조건하에서 E. coli O157:H7은 키토산 500 ppm, 250 ppm 단독첨가시와 병용처리시 모두 3시간 이내에 균증식이 억제되었다. Staph. aureus의 경우는 키토산 50 ppm 단독처리군과 키토산 25 ppm과 소르빈산 2000 ppm 병용처리군에서 균증식이 사면되었다. E. coli O157:H7에 대한 키토산과 소르빈산병용처리시 MIC와의 상관관계는 pH 6.5에서 R=0.95(p<0.01), pH 6.0에서 R=0.99(p<0.01), pH 5.5에서 R=0.97(p<0.01), 그리고 pH 5.0에서 R=0.99(p.0.01)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aph. aureus에 대해서는 소르빈산의 병용처리에 의한 효과는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종합하면 pH변화에 따른 키토산과 소르빈산 단독 및 병용처리로 인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 천연식품인 키토산을 병용함으로써 인체에 영향이 있는 합성화학보존제인 소르빈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또한 식품의 보존성을 더 증가 또는 유지시킬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4,000원
        193.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 O. Kuntze, their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and estragole identified from hexane fraction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growth and metabolic activities of several true fungi. The fungi used were: Aspergillus oryzae KFCC 890, Aspergillus niger KCCM 11240,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459?, Saccharomyces ellipsoideus PNU 2215. The growth of S. cerevisiae by treatment of water extract (1%), hexane fraction (0.05%), and estragole (0.05%) were inhibited 93%, 50%, and 33% respectively, and S. ellipsoideus was also inhibited markedly with delaying the lag phase maximum 12 hrs. The growth of A. oryzae was inhibited by treatment of extracts and fractions. The ethanol production by S. cerevisiae was increased more than two times in the highest value around 42 hrs incubation by water extract, but chloroform fraction inhibited its production. The glucoamylase activities by A. niger were strongly inhibited by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0.05%). The invertase activity by S. cerevisiae using estragole (0.05%) reached to 57.5% of control group. S. cerevisiae treated with the estragole was damaged the cell wall and cell membrane, leaked the protoplasm, and observed broken pieces of cell.
        4,000원
        194.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과제균한 배추즙에 김치에서 분리한 7주의 젖산균을 단독 접종하고 10℃, 20℃, 30℃ 및 40℃에서 배양하면서 각각의 증식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배양온도에서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을 구하였다. 30℃에서 배양할 때의 유도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은 168분,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s는 204분. Leu. paramesenteroides은 612분, Lac. bavaricus은 258분, Lac. homohiochii는 228 분, Lac. plantarum는 270 분 그리고 Lac. brevis는 264분이었고, 세대시간은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및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는 36분, Lac. bavaricus는 33분, Lac. homohiochii는 39분, Lac. plantarum는 66분, Lac. brevis는 42분 그리고 Leu. paramesenteroidse는 162부이었다. 배양온도를 30℃에서 10℃로 낮출 때 모든 균주들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크게 연장되었는데, 이러한 연장은 Lac. plantarum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10℃, 20℃ 및 30℃에서는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이 Lac. plantarum의 그것보다 더 짧았다. 그러나 40℃에서는 이러한 양상이 완전히 전도되었다. 전반적으로 보아 배양온도가 낮아질수록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고, 배양온도가 높아질수록 Lac. plantarum 의 증식에 상대적으로 더 유리하였다.
        4,000원
        196.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산침지법을 이용하여 4℃ 냉장시의 돼지고기 햄의 APC, GNC, pH, 및 관능평가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3분동안 1.0∼3.0%(v/v)초산을 처리한 구는 12일 저장동안 GNC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3분동안 3.0%초산을 처리한 구는 12일 저장동안 APC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0∼3분동안 1.0∼3.0% 초산을 처리한 구는 12일까지 미생물학적 저장안정성을 확장하였다. 초산으로 처리한 돼지고기햄의 관능평가는 유기산 냄새 및 표백으로 인하여 신선한 돼지 고기 햄보다 낯은 등급의 기호성을 보였다.
        4,000원
        197.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금농도를 0, 2, 4 및 6%로 조정한 여과제균 배추즙에 김치에서 분리한 7주의 젖산균을 단독 접종하고 30℃에서 배양하면서 증식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배양조건에서의 유도시간과 세대시간을 구하였다. 소금농도 증가에 따라 증식곡선의 모양이 균주에 따라 서로 다르게 변하였다. 2∼4%의 소금을 첨가하면 모든 젖산균들의 유도시간이 연장되었다. 소금농도를 0%에서 4%로 높였을 때 유도시간은 Leu. paramesenteroides 및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가장 연장되었고, 그 다음이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ac. bavaricus 및 Lac. homohiochii 이었다. 연장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Lac. plantarum 및 Lac. brevis이었다. 이때 세대시간이 가장 많이 연장된 것은 Lac. bavaricus 및 Lac. homohiochii이었고, 그 다음은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및 Leu. paramesenteroides이었다. 연장율이 가장 낮은 것은 Lac. plantarum 및 Lac. brevis이었다. 소금 2% 첨가에 의하여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및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의 세대시간은 소금 무첨가 보다 약간 길어졌고, Lac. homohiochii 및 Lac. brevis는 변화가 없었다. Lac. plantarum Lac. bavaricus 및 Leu. paramesenteroides는 오히려 약간 단축되었다. 소금농도가 2%에서 4%로 증가하면 젖산균 균종간의 세대시간 서열이 바뀌었다. 소금농도가 낮으면 Leuconostoc속 젖산균들의 증식이 유리하였고, 소금농도가 높으면 Lactobacillus속 젖산균들의 증식이 유리하였다.
        4,000원
        198.
        199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 유충을 이용한 효율적인 SeNPV의 생산을 위하여, 파밤나방유충의 령기와 접종농도에 따른 병원성과 관련하여 바이러스 생체 증식 효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파밤나방 유충을 이용한 SeNPV의 대량생산은 4령 유충에 1.0TEX106/TEX 다각체/ml 농도로 접종하였을 시 약 86.7%의 사충율과 함께 최대 바이러스 생산성을 보여 가장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3,000원
        199.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00.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치미 국물은 전통적으로 냉면국물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냉면국물 모델 시스템에서 동치미 국물에 의한 대장균군의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무즙에 접종하여 동치미 국물을 제조한 후 세 형의 냉면국물 모델 시스템 즉, 동치미 국물형, 쇠고기 육수형 및 이들 둘의 혼합형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어서 냉면국물에서 분리된 8주의 대장균군, Klebsiella planticola B02, K. terrigena C08, K. pneumoniae D01, K. ozaenae D04, Enterobacter sp. A02, Enterobacter sp. C07, Citrobacter sp. B07 및 Escherichia sp. D03을 세 형의 냉면국물에 각각 접종하고 30℃에서 보관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른 대장균군 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쇠고기 국물형 육수에서는 모든 균주의 대장균군이 신속하게 증식하였으나 동치미 국물형과 혼합형에서는 어느 균주도 증식하지 못하였다. 모든 대장균군 균주는 혼합형에서보다 동치미 국물형에서 훨씬 신속히 사멸하였고, 균주별로는 Citrobacter sp. B07, Klebsiella planticola B02, Klebsiella terrigena C08 및 Klebsiella ozaenae D04가 나머지 균주들보다 더 신속히 사멸하였다. 냉면 국물로 동치미 국물만을 사용하거나 동치미 국물과 쇠고기 육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동치미 냉면이나 평양식 냉면과 같은 전통적인 방법은 냉면의 대장균군 증식을 억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