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9

        18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probiotic additions to feed and manure on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2) emissions in Hanwoo manure during summer (4 weeks) were evaluated. Fifteen Hanwoo (24-mo-old, 580 ± 20 kg) were housed in individual pens (5 × 8 m) and randomly assigned to 1 of 3 treatments (n = 5 cattle per treatment). Hanwoo were fed experimental rations as follows: control (10 kg roughage + 2 kg concentrate); T1 (10 kg roughage + 2 kg concentrate, 2% probiotics on as-fed basis); and T2 (10 kg roughage + 2 kg concentrate, 2% probiotics on as-fed basis + 7 kg probiotics as top-dressing on the surface of Hanwoo manur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the addition of probiotics to feed or feed and manure had an effect (P < 0.05) on temperature and humidity over the 4 weeks, except for humidity at 0 week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observed in CO2 emission was among all treatments at 3 and 4 weeks (but not at 0 through 2 week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use of probiotics as feed and manure additiv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nvironmental parameters.
        182.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unctionalized adsorbent has been synthesized by piperazine(Pz) on activated carbon. Quantitative estimations of CO2 were undertaken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GC/TCD and the prepared adsorbents were characterized by BET surface area and FT-IR. It was also studied effect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piperazine loadings and adsorption temperature.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from 1212.0 m2/g to 969.8 m2/g by impregnation and FT-IR revealed a N-H functional group at about 1400 cm-1 to 1700 cm-1. The CO2 adsorption capacity at 20℃ and 50∼100℃ was as follow: AC > Pz(10)-AC> Pz(30)-AC> Pz(50)-AC at 20℃ and Pz(10)-AC > AC > Pz(30)-AC> Pz(50)-AC at 50∼100℃. Therefore, for high temperature flue gas condition, the Pz(10)-AC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due to physical adsorption and chemical adsorption by amino-group content. The results suggest that activated carbon impregnated with Pz is an effective adsorbent for CO2 capture from real flue gases above 50℃.
        183.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is strengthened in order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ll over the world, we need to reduce greenhouse gas in urban planning. we derived the elements of the plan for a carbon balance of Seoul and suggested a methodology of urban design guidelines regarding the carbon balance.
        18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onic effects such as reproduction and population dynamics with elevated CO2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using two representative marine benthic species, copepod (Tisbe sp.) and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adopting long-term exposure. Juvenile copepod and amphipod individuals were cultivated in the seawater equilibrated with control air (0.395 mmol CO2/air mol) and high CO2 air having 0.998, to 3.03, 10.3, and 30.1 mmol CO2/air mol during 20 and 46 days, respectively. After the exposure period, the number of benthic invertebrate was counted with separate larval and juvenile stage such as naupliar, copepodid and adult for copepod, or neonate and adult for amphipod, respectively. The individual number of both test species at each life-st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eawater with 10.3 mmol CO2/air mol or higher. Recently, the technology of marine CO2 sequestra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CO2 emission, which may cause climate change. However, under various scenarios of CO2 leak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or sequestrated CO2 in marine geological structure, the potential risk to organism including various invertebrates can be expected to exposure.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tailed consideration on the adverse effect with marine ecosystem can be prerequisite for the marine CO2 sequestration projects.
        185.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건조 전처리 방법으로 사용하여 사과의 성분변화를 관찰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온도와 압력이 증가 할수록 생과일과 무처리구 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Vitamin C, 유리당 및 유기산의 함량은 전처리 구간이 무처리구 보다 낮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 압력과 온도 따라 큰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용매적 특성이 핵산에 가까워 극성물질에 대한 용해력이 높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으로
        186.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총설에서는 이산화탄소에 용해력이 있는 새로운 탄화수소 공중합체의 설계와 개발, 그리고 생체친화성 고분자의 초임계 중합을 위한 효과적인 계면활성제로써의 성능에 대해 소개하고, 초임계 유체의 기본적 개념을 용매로써의 성질과 고분자 합성분야에서의 응용적인 측면에서 기술한다. 이산화탄소에 높은 용해력을 지닌 탄화수소 고분자 중합을 위해 새로운 리빙라디칼 중합기술을 사용하였고, 이 물질들의 이산화탄소 내에서의 상거동을 측정하여 공중합체의 분자량과 구조가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임계 분산중합에서의 효과적인 계면활성력을 확인하였고, 성장하는 입자의 안정화에 필요한 키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친환경 고분자 소재 개발에 이 연구가 적용될 수 있다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87.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how supercritical affected sterilization and enzyme inactivation in dongchimi, a conventional Korean fermented food. The growth of bacteria, including lactic acid bacteria, in dongchimi juice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ed pressure and temperature during treatment with supercritical . D values were affected by pressure more than by temperature. The lowest total number of cells and D value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supercritical at 25 MPa and ; these conditions also reduced polygalacturonase activity in radishes by approximately 40.3%. Supercritical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sterilization and enzyme inactivation, minimizing sensory loss and textural changes in vegetable materials.
        18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 의약품에서 항비듬제로 널리 사용되는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와 클림바졸을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초임계 유체로는 임계온도와 임계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산화탄소가 사용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력이 있는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마메이트와 클림바졸을 항비듬제로 선택되었다. 초임계 용액 급속 팽창법을 이용하여 압력과 온도를 변화시켜 입자크기와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9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탄산화속도는 구조물이 위치한 환경의 이산화탄소(CO2) 농도, 콘크리트 품질, 구조물의 형상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내구성 조사자료를 토대로 하여 콘크리트 품질에 따른 각종 인자를 고려한 탄산화속도계수 추정식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수행결과, 도심지역이 산간지역에 비해 교량의 경우 약 1.5배, 터널의 경우 2.5배 탄산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도심지역에서는 건축물, 터널, 교량의 순서로 교량에 비해 약 2.7배, 1.3배 탄산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간지역에서는 교량이 터널보다 약 1.3배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도심지역에서 교량의 상부구조가 하부구조보다 약 1.3배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압축강도를 물·시멘트비로 환산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기존의 일본 기시타니식 탄산화속도계수 추정식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이 기시타니식보다 빠른 것으로 평가되었다.
        191.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스성 오염물질의 지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를 시료로 사용하여, 식물의 공기정화 능력을 분석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6가지 식물 모두 광합성이 활발한 낮 시간 동안에는 식물이 오염원을 흡수함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가 빠르게 감소하였다. 호흡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므로 빛이 차단되는 밤 시간에는 농도가 다시 증가하였고, 특히 18시 ~ 20시 사이에는 급격한 농도 증가율을 보였다. 다음 날 아침 빛을 쬐기 시작하면 다시 오염원이 흡수되면서 농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농도의 교환 현상을 통해, 빛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의 광합성량이 증가하며 그 결과 이산화탄소 제거율 역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24시간 동안 측정한 식물별 광합성량과 호흡량을 가감한, 식물별 이산화탄소의 정화총량은 엽면적 1000 cm2 당 Ficus benjamina 49 ppm, Epipremnum aureum 99 ppm, Chamaedorea elegans 34 ppm, Fatsia japonica 123 ppm, Spthiphyllum spp. 115 ppm, Hedera helix 42 ppm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 순간소모량의 최대치를 보인 시간대는 각 식물별로 상이한데, 대개의 경우 광량 0.67 ~ 1.54 mW/cm3의 조건에서 가장 활발한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보였다. Epipremnum aureum의 경우,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비교적 높은 속도로 장기간 지속되었으며, 다른 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호흡량을 보였다. Fatsia japonica는 매우 대칭적인 이산화탄소 농도변화곡선을 보여, 광합성과 호흡이 일정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광량의 변화에 그리 민감하지 않아 폭넓은 광량조건의 실내공간에도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Spthiphyllum spp. 역시 장기간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으로 광합성이 일어났다. Hedera helix는 1.24 mW/cm3이상의 광조건에서 상당히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보였으나, 1.00 mW/cm3이하에서의 낮은 제거율로 보아 저광도 실내공간보다는 고광도의 전이공간이나 실외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이산화탄소 제거에는 Fatsia japonica, Spthiphyllum spp., Epipremnum aureum 순서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192.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하여 향유로부터 정유물질을 추출하여 향기성분과 항산화물질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얻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품질특성으로는 yield, total phenolics, electron donating ability 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estrgole과 L-carvone을 선정하였다. 반응변수들은 추출시간보다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측정된 변수에 대하
        194.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onolithic porous polymers by environmentally friend proces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has been carried out. Polymerization mixture composed of a cross-linking monomer, initiator and functional co-polymer was charged in the reactor with sapphire window. After the system was purged with a flow of CO2 for 15 min, the reactor was pressurized with liquid CO2 up to 100 bars. The reactor was isolated from and placed back to the system via quick connector for shaking until the mixture had become fully homogeneous. The reactor was then heated and pressurized to the required reaction conditions and left overnight. After cooling and CO2 evacuation, the polymer was removed from the reactor as dry, white, continuous monoliths. The effect of experimental condi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polymer was systematically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monomer content had a major effec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s.
        196.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떫은감의 삽미를 제거하기 위한 가스 탈삽에서 탈삽온도를 달리하여 품종별 품질변화를 비교함으로써, 품종별 탈삽양상에 따라 연화나 장해없이 탈삽되는 가장 적합한 방법을 개발하는 자료로 삼고자 한다. 공시재료로는 도근조생, 청도반시, 사곡시의 떫은감 3품종을 사용하였다 2, 탈삽에서는 3품종 공히 탈삽처리 후 2일만에 식용가능한 탈삽지수 2이하가 되었으나, 2에서는 도근조생과 사곡시는 6일, 청도반시는 10일만에 식용가능하게 됨으로서 품종별
        197.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외 CA저장시 적정 농도 및 농도를 구명하기 위해 경북 성주산 참외 금싸라기 품종을 공시하여 농도를 5, 10, 15%로 하였고 농도는 3, 10%로 하여 15일, 30일, 45일 동안 각각 저장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참외 저장후의 부패과율은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으며, 중량감소율은 저장 45일까지도 일반저온저장에서 5.01%, CA저장에서는 1.0%내외로 낮았다. 과육의 경도는 저장 30일까지는 일반저온저장, CA저장 모두 저장전과
        198.
        199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후지 사과의 CA 저장 효과를 생리화학적으로 구명하기 위해 저장 조건에 따른 에틸렌과 이산화탄소 생성 및 이들의 연관성 그리고 과육경도와 과피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산소농도가 낮을수록 ACC oxidase 활성이 억제되어 내부 에틸렌 농도가 낮게 유지되었다. 특히 1% +l% 조건에서는 내부 에틸렌 농도가 1 ppm 이하로 유지되었으며 저장 후 2의 air에서도 거의 변화가 없었다. 에틸렌 생성에 고농도 이산화탄소의 영향은 구성 산소농도
        199.
        199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lectrochemical carbon dioxide reduction to produce acetaldehyde, methanol and ethanol is investigated by using perovskite type electrode (La0.9Sr0.1CuO3).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100 mA/㎠ and -2 to -2.5 V vs. Ag/AgCl. The highest faradaic efficiencies for methanol, ethanol, acetaldehyde were 11.6, 15.3, and 6.2%,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data demonstrated that the capability of the perovskite type oxide for the electrode of electrochemical carbon dioxide reduction to produce alcohols was superior to other metal electrode.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