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3

        181.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workers physiology and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plant decoration activity using electroencephalographic (EEG), electrocardiogram,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s on 31 male and female workers in their twenties. Plant decoration activity and writing documents on a computer (WDOC) were carried out for 10 minutes each. The 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RSA) has been highly exhibited at most measurement points at plant decoration activity compared to WDOC, and ratio of alpha to high beta spectrum (RAHB) was higher in the parietal lobe responsible for visual function in charge of visual function and showed stable and relaxed effect with little stress or tension. In addition, the relatively fast alpha power spectrum (RFA), which is responsible for visual function, after WDOC was higher than after plant decoration activity in the left parietal lobe (P <.05).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RHB) and the ratio of mid beta to theta (RMT), which are stress concentration indexes with tension, were highly regarded as a whole when performing WDOC.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heart rate between after both activities. However, high frequency (HF) component indicating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was more highly active after WDOC than Planting decoration activity, and the low frequency (LF) component indicating sympathetic nervous system activity tended to be lower after WDOC than after planting activity meaning that plant activity have a sense of stability than WDOC and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brain wave analysis. In addition, the sense of comfort, naturalness, calm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plant decoration activity was performed than when the WDOC was performed in the SD emotional vocabulary survey. Thes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that plant decoration activity induced more physiologically and psychologically stability and relaxation than WDOC, and enhanced attention ability in appropriate awakening state.
        18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음악의 감성을 시각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 논문으로 시각화를 위하여 감성 LED조명 제어 시스템을 고안하였으며 이 시스템은 청중들의 음악 경험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함에 목적이 있다. 이 시스템은 기존 연구의 음악 감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는데 하나의 음악에서 하나의 감성을 추출하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음악의 1초당 세그먼트에서 감 성을 추출 하여 감성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또한 LED조명의 감성 컬러는 IRI컬러 모델과 Thayer의 감성 모델을 기초로 새로운 감성 컬러 36가지를 정의 하여 각 감성에 맞는 색 으로 연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애니메이션과 더불어 감성 LED 조명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실험 결과, 듣는이의 감성과 감성 LED 조명 시스템의 감성 일 치율이 60% 이상으로 향후 음악 감성 기반 서비스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
        18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ürker (2013) in depth and analyze its significance and problems, in addition to briefly suggesting alternatives. Türker(2013) is meaningful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t is one of the few overseas studies dealing with Korean emotions. Second, it demonstrates that Korean emotion metaphors support the universality of Conceptual Metaphor Theory to a substantial extent. Third, it presents the frequency and productivity of Korean emotion metaphors based on the corpus and shows their correlation. Crucial problems with Türker (2013), however, include the following: (ⅰ) the method of selection of emotion words for the corpus analysis; (ⅱ) the selection and erroneous analysis of example sentences; (ⅲ) errors in the setting and categorizing of source domains. Consequently, given errors relating to Korean emotional metaphors in overseas journals, this paper which examines Türker (2013) in depth can offer the beginnings to prevent such errors in data and analysis from being further cited without verification of appropriacy.
        184.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분화활동에 따른 인간의 생리 및 감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대 피험자 남녀 총 31명을 대상으로 뇌파, 심박변동성, SD(semantic differential)법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각각 10분씩 유리용기(지름 30cm)에 분화식물을 장식하는 작업, IT활동(문서 작성)하는 작업을 실시 하고 사전/후 측정하였다. IT활동(문서 작성)을 대조구로 하여 분화장식활동을 비교한 결과, IT활동보다 식물활동을 하였을 때 상대적 느 린 알파파(RSA)가 대부분의 측정지점에서 높게 나타났고, 알파/빠른 베타(RAHB)가 시각기능을 담당하는 두정엽(P3, P4)에서 높게 나타 나 스트레스나 긴장감을 거의 동반하지 않은 안정, 이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화장식활동을 한 후보다 IT활동(문서작성)을 한 후 시각기능을 담당하는 상대적 빠른 알파파(RFA)가 좌반구 두정엽 (P3)에서 높게 나타나 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IT활 동(문서작성)보다 분화장식 활동을 했을 때 뇌활성도(SEF 90)가 좌반구 측두엽(T3), 우반구 후두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 나 스트레스를 동반한 상태에서 고도의 집중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분화장식활동과 IT활동을 한 후 심박수의 차이는 거의 나 타나지 않았으나 IT활동보다 분화장식 활동에서 자율신경계활동 중 부교감신경계활성의 지표인 HF(high frequency)성분이 더 높게, 교감 신경계활성 지표인 LF(low frequency)성분은 IT활동보다 분화장식활동을 한 후에서 더 낮게 나타나 IT활동보다 분화장식활동이 안정감 을 갖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뇌파분석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분화장식활동과 IT활동에 따른 피험자 선호도는 분화장식활동 (4.00/5), IT활동(2.58/5)로 분화장식활동이 IT활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SD 감성어휘조사에서 IT활동했을 때 보다 분화장식 활동을 했을 때 쾌적감, 자연감, 진정감이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분화장식활동이 IT활동보다 생리·심리적으로 안 정, 이완, 그리고 적절한 각성 상태에서 내적, 외적 주의집중력 향상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을 활용한 분화장식활 동은 스트레스가 있는 대상자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뇌활성도(SEF 90)이 IT활동보다 높게 나온 결과는 추 후 지속적 연구를 통해 긴장의 종류를 밝혀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185.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surveyed to 269 respondents for investigating psychological response to indoor foliage plants grouped by four type of design materials. 21 indoor foliage plants grouped as filler, mass, form, and line plant, are shown to each respondent for surveying the preference and emotion by S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It was statically significant that the filler plant group was the least preferred one between the indoor foliage plant and the preference of line plant group was the highest. In filler plant Scindapsus aureus is significantly favored, in mass plant Aglaonema crispum and Syngonium podophyllum, in form plant Ficus banghalensis in line plant Dracaena fragrans ‘Lemon Lime’, respectively. The green is the most preferred color of leaf and gray is the least one. When investigated on the major emotions felt with four types of indoor foliage plant with SD scale, filler plant felt as ‘Bright’, ‘Light’, ‘Pale’, mass plant ‘Warm’, ‘Sharp’, form plant ‘Simple’, ‘Luxurious’ and line plant ‘Sophisticated’, ‘Luxurious’, ‘Pleasant’, ‘Soft’ and ‘Fancy’, respectively. This result will be valuable when the indoor garden is designed with an indoor foliage plant.
        187.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e occupation therapy program via healing garden which is increas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hand Dexterity enhancement on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The current study included 2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hronic mental disorder under the rehabilitation service at E capital hospital in Seoul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0. All of patients participated with agreement in this study, then were divided randomly by experimental (n=17) and control groups (n=12). Therapeutic program was consisted with total 38 sessions, and performed once a week for 10 months.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one time), as well as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our times) in a week. Control group was conducted only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five times a week.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ogram,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est and hand dexterity 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program. The program was based on the person-centered therapy, then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tres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However, hand dexterity of experimental group was markedly changed between before (112..4±50.9 sec) and after (82.1±40.6 sec) therapy. Moreover, the speed of performance in GPT was increased with rising therapeutic sessions, indicating the hand dexterity was improved after progra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using the healing garden is beneficial for pre-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disorder.
        18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선진 유가 사상을 정치적 측면과 윤리적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분석 함으로써 그것의 공사문제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家와 國의 영역 문제로 설명할 수 있는 부분과 해명되지 않는 부분이 무엇인지 드러낸다. 다음 으로, 그 해명되지 않는 부분이 단순히 인간의 본성 문제로 설명되는지, 만약 해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그 해명 되지 않는 부분이 도덕 감정과 공동선의 상호작용임을 밝힘으로써 선진 유교의 공사관을 그림을 그려낼 것이다. 유교가 감정윤리라는 점에서 이모티비즘과 어 떻게 다른지, 그리고 그 차별성을 통해 유교의 감정윤리가 어떻게 공공성을 획 득할 수 있는지 해명한다.
        189.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감정에 대한 연구는 게임을 하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요소로 주목 받고 있다. 그 동안 게임에서 표현되는 감정은 간단한 구조를 사용했었다. 하지만 게임에서 사용되는 감정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감정을 구조화시킬 필요가 생겼다. 이 논문에서는 게임 속 캐릭터의 감정을 위해 생물학적 감정 원리를 기반으로 제안된 감정규칙을 활용했다. 그리고 감정에 영향을 주는 게임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캐릭터가 게임에서 감정을 인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게임에서 사용된 감정을 감정의 역할로 분석하고 게임에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고려 해야할 구조적인 틀을 제안한다.
        190.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emotion regulation and performance in archery athletes. Methods: Archery athletes(N=302, male=137, female=165) completed measures of Sports Emotion Scale, Sport Emotion Regulation Scale, and Prize of themselves. Results: It was appeared that the sports performance among archery athletes was increased by positive emotions such as happy and pride, and emotion regulation such as related behavioral regulation. Conclusion: This results suggest that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archery athletes, a variety of programs to increase positive emotion and related emotion regulation need to be developed.
        191.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temperament, emotion, and class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Methods: Middle school students (N=407, 226 males, 181 females) completed measures of approach and avoidance temperament,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self-efficacy, and engagement in class. Result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oach temperament and engagement in class.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temperament and engagement in class were moderated by students' self-efficacy. More speciall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protected from the detrimental impact of avoidance temperament on engagement, compared students with low self-efficac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level of self-efficacy lead a more adap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outcomes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s.
        192.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oday, mindfulness become popular in medicine, psychology, physical education and so on. Mindfulness-based course began to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s formal curriculum. Many researches show that mindfulness-based class increase a lot of psychological qualiti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the state of personal positive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contributes to individual productivity. There are some studies, proving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fluenced on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study tried to test whether mindfulness-based course could change th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thods: 164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Fifty-five were assigned to mindfulness based subjects as experiment group, 54 participants to yoga class, and 55 to general cultural subject as control group. During a semester, three classes were proceeded and some scales, includ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nd mindfulness were administered at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variabl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emotion, and mindfulness in mindfulness and yoga classe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negative emotion in both classe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Conclusion: As a result, mindfulness-based class and yoga-based class could increas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t is promising that mindfulness-based class can be included in curriculum.
        19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은 다양한 인문학적인 상상력과 공학적인 상상력이 융합되는 첨단 종합문화예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게임산업은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정서유발스토리텔링의 순기능성을 연구해 보고자는 것이 본 논문의 집필 목적이다. 이 논문은 MMORPG의 대표적인 게임인 <WOW (World of Warcraft)>의 서사에 드러난 다양한 정서유발 사례를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WOW>의 핵심 구성요소인 세계관, 캐릭터, 사건에 드러나고 있는 정서유발이 게이머에게 어떤 자극을 일으키고 있는가에 대한 사례들을 단편적으로나마 살펴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게임산업의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고 산업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게이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정서스토리텔링이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195.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robot-assisted behavioral intervention system so as to strengthen positive response of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for learning social skills. Based on well-known behavioral treatment protocols, the robot offers therapeutic training elements of eye contact and emotion reading respectively in child-robot interaction, and it subsequently accomplishes pre-allocated meaningful acts by estimating the level of children’s reactivity from reliable recognition modules, as a coping strategy.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labor saving and attracting children’s interest, we implemented the robotic stimulation configuration with semi-autonomous actions capable of inducing intimacy and tension to children in instructional trials. From these configurations, by evaluating the ability of recognizing human activity as well as by showing improved reactivity for social training, we verified that the proposed system has some positive effects on social development, targeted for preschoolers who have a high functioning level.
        196.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림치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숲이 인간의 건강, 정서와 마음 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런 효과는 개 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개인적 특성인 자연연관성, 부정적 감정 그리고 각성 상태가 스트레스 회 복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 여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을 반영하는 심박변이도와 이 변수 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50대 여성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 며 숲길을 걸었을 때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데이터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자연연관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감정 이 낮을수록, 그리고 각성 수준이 낮을수록 자율신경계의 안정을 나타내는 부교감신경이 보다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 활 동을 할 때, 긍정적 감정으로 자연과 적극적으로 교감한다면 산림 치유 효과가 보다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197.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뇌파 및 심전도 생체신호를 복합적으로 이용한 감정인식을 통한 실시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기존에 뇌파를 통한 감정인식의 문제점이었던 낮은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뇌파의 Theta, Alpha, Beta, Gamma의 상대파워 값과 심전도의 자율신경계 비율을 혼합하는 복합 생체 신호 감정 인식 시스템을 개발했다. 기쁨, 공포, 슬픔, 즐거움, 화남, 혐오에 해당하는 6가지 감 정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자별 확률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맵을 생성하고, 채널에 대응하는 감 정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중치를 갱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뇌파로 구 성된 단일 데이터와 뇌파/심전도 생체신호 복합 데이터의 실험 결과를 비교한 결과 23.77%의 정확도 증가를 보였다. 제안된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높은 정확도를 통해 게임 및 스마트 공간 의 제어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로 기기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200.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제여객터미널 대합실의 환경요소와 감정, 만족 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본으로 출국 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자기기입방식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설문지의 통계처리 는 SPSS 18.0을 이용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모형 검증결과 첫째, 대합실의 물리적 환경요소는 감 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합실의 사회적 환경요소는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요소는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장 소의 특성에 따라 환경적 요소들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또한 환경적 요소는 감정을 매개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관광객들의 감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국제여객터미널과 관련된 주체는 대합실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광객들의 이용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환경마련에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