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1

        18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국에 존재하는 항충치활성 물질 및 glucosyltransferase 저해 효과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감국 ethanol 추출물의 항충치활성을 S. mutans 및 구강세균에 대해 검색한 결과, S. mutans와 2종의 구강세균에 대하여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국 ethanol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GTase 저해효과는 78.4~92.3%의 범위로 나타나 농도가 증가할 수록 활성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감국을 ethanol로 추출,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활성성분을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hromatography, TLC 그리고 HPLC 등의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감국에 존재하는 항충치활성 물질은 약간의 극성을 띠는 중성물질로 분자량이 200-400정도 되는 저분자 물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18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관절통 모델에서 웅담 우황과 웅담 우황 사향의 약침액의 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할로탄 마취하에서 관절통은 수컷 쥐의 관절강내에 2% carrageenan을 주입하여 유발시켰다. 운동자극에 대한 감각신경의 반응은 약침을 시술하기 전과 후에 기록하였다. 경혈에 주입한 약침은 유해한 운동 자극에 대한 신경의 반응을 억제시켰다 족삼리에 시술한 약침은 합곡에 비해 유해한 자극에 대한 관절 감각신경의 반응을 더 많이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웅담 우황과 웅담 우황 사향의약침이 관절통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000원
        185.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tracted pine-needles using ethanol as solvent, and we obtained the refined oil component from pine-needles extract. Also we tested the tyrosinase activated inhibition effect with melanin experiment and analysed with ICP/OES and UV/VIS. Accordingly we obtained the next conclusion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From the first result of this experiment, we could know that the degree of recovery of refined oil component from pine-needles extract appeared in about 8.0%. From the second result of this experiment, we could know that the tyrosinase activated inhibition rate increased more and more in case of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ine-needles, green-tea, vitamine-C. Also we could know that vitarnine-C influences to tyrosinase activated inhibition contained in pine-needles. From the third result of this experiment, we could know that inorganic materials of Ca, Mg, V, Mn, etc contained in pine-needles detected with ICP/OES analysis, and the absorbance of pine-needles extract appeared very high in UV/VIS analysis.
        4,000원
        186.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자추출물 및 유자주스와 유자주스의 유기산, ascorbate 및 pheolic 획분을 이용하여 nitrosamine(NA)생성의 주요 전구물질인 아질산염의 소거능과 N-nitrosodimethylamine(NDMA)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H 1.2와 4.2의 반응계에서 아질산염 소거능과 NDMA 생성억제능은 시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계의 pH가 산성영역일수록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 과육 및 과피추출물을 첨가한 경우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억제능은 과피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자주스와 각 획분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주스를 첨가한 경우에 92.2±3.2~98.2±3.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유기산 획분, phenolic 획분 및 ascorbate 획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자로부터 NDMA생성억제에 주된 영향을 주는 물질은 유기산인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8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긍정감성과 부정감성을 각각 유발시키는 음향을 제시할 때에 반응자의 행동활성화체계(BAS)와 행동억제체계(BIS)의 개인차가 심박동변이도(HRV)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BAS와 BIS 민감성의 고저에 따라 네 집단으로 분류된 25명의 대학생(남:14명)에게 명상음악과 소음을 제시하고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심전도로부터 HRV의 전력스펙트럼밀도를 유도하여 3개의 주된 주파수영역에 대한 HRV의 전력을 구하였다[저주파수(LF : low frequency), 중간주파수(MF : medium frequency), 고주파수(HF : high frequency)]. 그 결과, 명상음악을 제시한 경우 BIS와 BAS가 모두 낮은 집단에 비하여 BIS는 낮고 BAS가 높은 집단의 MF/(LF+HF)가 유의하게 높았다. 아울러, 전자의 집단에서 명상음악 청취시가 소음 청취시에 비하여 MF/(LF+HF)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BIS가 높은 경우에는 BAS의 민감성에 관계없이 이러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BIS는 낮고 BAS가 높은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명상음악과 같은 긍정감성에 더 민감하며, MF/(LF+HF)는 긍정 및 부정감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8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정육묘시 triazole계 약제처리가 과채류의(토마토, 오이 및 고추) 묘 도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도장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며, 또한 선발된 약제의 과채류 적정 처리농도와 처리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Triazole계 약제는 품목과 관계없이 농도가 증가할수록 줄기 신장을 억제시켰다. 약제 별 품목별로 diniconazole 처리가 높은 왜화율을 보였으며, tebuconazole과 hexaconazole도 좋은 왜화 효과를 보였다. Diniconazole 처리에 있어서 처리 농도가 증가함 따라 오이, 토마토 및 고추의 초장이 감소하였는데, 오이의 경우 5mg·L-1 에서 30% 왜화율을 보였으며 100mg·L-1 에서는 약 60% 의 왜화율이 나타났다. 또한 토마토와 고추에서는 처리시 기와 관계없이 25mg·L-1 처리구서 3096 왜화효과를 보았다. 공정육묘시 diniconazole 처리를 할 경우 오이 와 토마토는 5mg·L-1 농도를 2차 생육단계에서, 고추는 5mg·L-1 농도를 1차 생육단계에서 처리하면 건실한 묘를 얻을 수가 있었다.
        4,000원
        189.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lysine (-2, 6-Diaminohexanoic acid)의 영향을 받는 남조류와 남조류에 영향을 주는 L-lysine 의 농도를 파악 하고자 20종의 Microcystis.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남조류의 생장 억제 능력은 double-layered agar method와 microplate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L-lysine의 농도를 100-μg ml-1~300 μg m
        4,000원
        19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염된 인삼분말로부터 1 종의 세균을 순수분리하여 API kit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직경 0.6-1.0㎛, 길이는 1.2-3.0㎛ 이었고 세포표면에 편모를 가진 간균이었다. 분리균은 β-galactosdase, arginine dihydrolase, ornithin decarboxylase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원으로 citrate를 이용할 수 있지만 H_2S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glucose, man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arabinose 등의 당 및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의 API kit를 이용한 생리적 특성분석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형태적 특성 관찰결과에 의해 본 균주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Enterobacter sp로 동정되었다. 한편 분리균주 Enterobacter sp.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은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포닌을 0.05, 0.5, 2.0, 4.0% 첨가하고 38℃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사포닌 비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균의 상대적 성장률은 각각 75.0, 37.5, 7.5, 0.5%로 나타났다. 사포닌의 미생물 생육 억제작용은 비교적 고농도인 4.0% 사포닌 첨가시에도 초기의 6.0×10^6에서 2.0×10^7 CFU/g으로 완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어 사멸작용보다는 정균작용일 것으로 추측된다.
        4,000원
        19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owing evidence indicates that oxidized low density Iipoprotein (LDL) may promote atherogenesis. Therefore, inhibition of LDL oxidation may impede this process. The effect of chitin sulfate on the susceptibility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to macrophages-induced oxidation was investigated by monitoring a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hitin sulfate inhibited LDL oxidation by macro phages in a dose dependent manner, with a 50-100μM, as assessed by TBARS assay. Chitin sulfate, at 100 μM, almost completely inhibited the macrophage-induced increase in electrophoretic mobility of LDL. Also, chitin sulfate almost completely inhibit O₂^- at concentration of 100 μM.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chitin sulfate might be an effective in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4,000원
        195.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The effects of preservatives, antibiotics and oriental medicines on growth of tested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all tested bacteria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tested.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extraordinarily inhibited by more than 0.2%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e specific growth rate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under control condition had mean values of 0.514(hr-), 0.381(hr-) and 0.489(hr-), respectively. When 0.2%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added, specific growth rates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in 1.26, 2.23 and 1.50 fold,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0.25% on the tested microorganisms. The growth of Enterobacter cloacae MG82 was more inhibited by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an other tested microorganisms.
        4,000원
        19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플라톡신 생성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진공동결 건조한 대사산물로부터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대두로부터 아플라톡신 생육을 저해하는 길항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균은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는 아플라톡신 생성균에 대한 길항물질을 생산하였으며 MeOH추출, 실리카겔 흡착 크로마토그래피법, Sephadex LH-20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길항물질을 분리하였다. 아플라톡신 생성균인 Asp. flavus와 Asp. parasiticus의 생육은 길항미생물인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길항물질에 의해 강하게 저해되었으며 이는 아플라톡신 오염방지를 위하여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법일 것이라 기대된다.
        4,000원
        19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nzoylphenylurea계 살충제(BPUs)는 많은 종의 곤충에 불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의 실험결과 집파리의 불임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4가지 BPUs의 발육단계가 다른 집파리 성충에 대한 불임효과를 실험하였다. 수컷 성충 및 우화 후 교미하기 전의 암컷(우화 1일 후)과 교미 후 난소가 충분히 발육한 상태의 암컷(우화 5일 후)을 300 ppm의 약제에 24시간 동안 접촉시킨 후 1~2일 간격으로 채란하여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Flufenoxuron과 teflubenzuron에 처리된 5일 암컷이 처리 1일 후 산란한 알은 전혀 부화하지 못하였고, triflumuron과 diflubenzuron에 처리한 5일 암컷이 산란한 알의 부화율을 23%로 크게 감소하였다. Flufenoxuron에 처리된 1일 파리가 처음 산란한 알은 es지 1%의 부화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사용한 4가지 BPUs계 살충제는 집파리 성충의 연령에 관계없이 산란된 알의 부화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부화한 유충의 일부는 번데기까지 자라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4약제 중에서 flufenoxuron의 부화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약효가 5일간 지속되었다.
        4,000원
        198.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natural foods, utilizing the extracts or juices of teas(Green tea; Camellia sinesis, Du'chung; Eucommia ulmoides Oliver), medicinal plants(Eu sung cho; Houttuynia cordata Thunb, Sam back cho; Saurus Chinensis, Baek hwa sa seal cho; Oldenladia diffusa Roxb.) seaweeds(Laver; Porphyra tenera,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ea staghorn; Condium fragile) and vegetables(Sweet pepper;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Kale; Brassier oleracea var. acephala, Cucumber; Cucumis satiaus, Onion; Album cepa) and fruits(Tomato; Lycopericon esculentum, Maesil; Prunus mume, Plum; Prunus salicina and Grape; Vitis sppJon the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NDMA) formation was investigated from the various conditions. The inhibition effect was observed in vitro using the reaction fluids of pH 1.2, 4.2 and 6.0. From the teas and medicinal plants, there was a positive response of NDMA formation; however, from the seaweed extracts, there was a negative response of the inhibition effect of NDMA formation, and as the pH of reaction fluids and the amount of materials increase, the inhibition of NDMA formation was strengthened. The inhibition ratios by the level of pH are as follows: under pH 1.2 vegetable juice were 57.6∼99.7%; and fruits were 35.9∼99.7%; under pH 4.2 vegetable juice were 55.0∼97.5% and fruits were 21.3∼96.8%. All of the materials observed has been proved and shown the inhibition effect of NDMA formation.
        4,000원
        19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프트 콘돼트렌즈의 재질파 보관용액에 의한 세포독성과 홉수 스펙트럼에 대한 홉광도를 비교하여 상호간에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롤 시행하 였다.7 개 제품의 각 제품별로 16 개 렌즈를 5ml의 증류수가 들어있는 병에 넣어 12 1 "C에서 1 시간 동안 용출하였다. 전에 연구한 배양세포 증식저해 시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에 대한 홉광도를 UV Spectrophotorne따를 이용하여 220- 350nm에서 측정하였다. 고함수 이온성 재질인 2 개 제품의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홉 광도는 220-240nm에서 기준값보다 높게 나왔으나 241-350nm에서는 모두 훨씬 낮은 값올 나타내어 투명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용출액과 보관용액의 세포독성과 홉광도와는 거의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