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20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Debriefing is very important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ructured team debriefing on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using mind mapping.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83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2 seniors in 2018,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41 seniors in 20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 observed performance checkli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d independent t-tests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IBM SPSS/WIN 25.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performance (t=7.64, p<.001),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t=4.93, p<.001), and learner’ satisfaction (t=2.94, p=.004)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applying structured team debriefing using mind mapp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self-confidence in nurs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Thu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a range of clinical scenarios and debriefing strategies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Technical and non-technic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also need to be evaluated in simulation-based nursing education using various debriefing methods.
        4,800원
        20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KSSN) and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Method: The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57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SSN between 2013 and 2018.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quantitative data. Results: The proportion of articles on quantitative research was 80.7%, while the proportion of articles on qualitative research was 15.8%. The majority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focused on experimental study (47.4%). The prevailing data collection settings were school (75.4%), and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71.9%), t-test (50.1%), ANOVA (19.3%) and chi-square test (17.5%).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simulation education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scenario topics were delivery care and postpartum hemorrhage. The most frequently used variables measured were clinical performance (43.8%), problem-solving process (31.3%), self-confidence (31.3%), and self-efficacy (28.1%). Conclus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simulation nursing, there is a need to encourage research into utiliz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ologies and simulations.
        4,000원
        204.
        201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9,000원
        20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이 느끼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호 대학생이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편성과 비교과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충청권 거주 대학생으로 2019년 5 월 30일부터 6월 4일까지로 총 184부의 자료를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성격, 간호학 선택 동기, 간호직의 미래전망, 간호사 이미지 및 전공만족도를 예측변수로 간호전문직관을 설명하는 선형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고(F=43.637,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간호전문직관 총 변화량의 63.6%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긍정적 자아상을 통한 긍정적 이미지를 창출 하고 학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0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제공자의 좋은 죽음인식, 영적안녕, 노인간호수행 정도를 파악 하고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S시, C도에 위치한 요양병원 5곳의 간호제공자 17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죽음인식은 평균점수 4점 만점에 3.15점, 영적안녕은 6점 만점에 4.11점, 노인간호수행 정도는 5점 만점에 4.15점으로 나타났다. 노인간호수행과 좋은 죽음인식(r=0.19, p=.011), 영적안녕 (r=0.23, p=.002)과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좋은 죽음 인식(β=.18, p=.015) 영적안녕(β=.18, p=.013)순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간호제공자의 노인간호수행 향상을 위하여 좋은 죽음인식, 영적안녕을 고려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000원
        20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이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C북도 G군 소재 J대학교와 G도 P시 소재 P대학교에서 건강사정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35명, 대조군 34명에게 각각 시나리오를 통한 실습교육과 전통적 실습교육 수행 전ㆍ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전통적 실습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 능력(t=2,797, p=.007), 비판적 사고 성향(t=2,406, p=.019), 정보수집능력(t=2,977, p=.004), 문제인식능력(t=3.58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그러므로 간호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정보수집능력 및 문제인식능력 향상을 위해 건강사정 수업 시 시나리오를 통한 실습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20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 리더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우선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S시와 B, D시에 위치한 4개의 500병상이상의 국공립병원 및 2차 병원의 주임 급 간호 리더에게 2018년 5월 21일~6월 25일까지 총 6주간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감성리더 십, 자기 효능감, 조직성과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 하였으며, 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감성리더십, 자기 효능감, 조직성과에 대한 사전 동질성은 자료의 정규성 여부에 따라서 각각 χ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성리더십프로그램이 조직성과와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리더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20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24점, 업무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2.74점, 직무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0점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 업무수행능력, 직무만족도과의 관계는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β=.39, p<.001), 30∼34세의 연령(β=-.27, p=.001), 근무부서 중 수술실(β=-.17, p=.029), 내과병동(β=-.17, p=.025), 미혼(β=-.20, p=.012)순이었고, 모형의 설명력은 30.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연령, 근무부서 등을 고려한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기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4,200원
        210.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들의 고용가능성,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 설계로 J지역 소재 3학년 학생을 편의표집하여 총 120명의 간호대학생들로, 실험군 60명, 대조군 6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군은 6주간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고용가능성(t=-2.31, p=.023), 진로탐색행동(t=-3.05, p=.003)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진로결정자 기효능감(t=-.87, p=.387)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기반 실습교육은 간호대학생들의 교육에 유용하므로 강화해야 할 것이다.
        5,100원
        21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ice recording as a speaking assignment on Korean EFL nursing students’ speaking confidence and perceptions of speaking assign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 nursing students who took college English course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performing voice recording assignment for speaking practice during 5 weeks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treatment by the researcher. Speaking confidence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e participants’ speaking confidence after speaking assignment of voice recording performed by them.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had positive reaction to the experience of the assignment. This suggests that voice recording assignment encourages students to have their speaking confidence and helps them to overcome speaking difficulties in EFL environment.
        5,200원
        21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정도를 살펴보고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그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에 소재한 200~400병상 종합병원 간호사 199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본 연구자가 직접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β=-.321, p<.001), 2단계에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가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β=.389, p<.001), 3단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의 설명력은 45.5%이었다. 이때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3단계 β 값이 .203(p<.001)으로 2단계의 β 값 .389(p<.001)보다 작아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크기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Z값은 -3.694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p<.002).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조직몰입을 높여서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300원
        21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연구수행능력을 파악하고, 간호연구 교과의 교육효과를 확인하여 연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비교과활동을 통해 연구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일 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 161명이었다. 일반적 특성 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간호연구 학습성과는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으며, 간호 연구 학습성과 관련요인은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연구 교과는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요소 중 지적열정, 체계성, 지적공정성을 향상시켰고, 연구계획서 평가와 비판적 사고 성향 중 객관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연구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계획서 작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의 전체적인 수행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한 운영이 필요하다.
        4,000원
        21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nursing care for children with fever. Method: A one-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59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confidence and performance confidenc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imulation-based learning in the nursing care of children with fever may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nursing students.
        4,300원
        21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Virtual Reality (VR) utilization strategies in scenario-based nursing simulation training. Method: This was an integrative review for the identification of scenario-based VR simulation training applied to nursing undergraduates. The existing literature was searched in electronic databases using RISS, PubMed, and Pro-Quest and the key words were “Scenario based,” “Simulation,” “Virtual reality,” “Virtual training,” and “Nursing.” Finally, five studies were analyzed. Results: All the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6 to 2019. One RCT, two quasi-experimental studies, and two mixed method studies were identified. The topics of the scenarios were all differen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anagement of respiratory system disease with hypoxia, postoperative nursing with appendicitis,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outpatient and emergency situations, and disaster situation training . The outcome variables that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were performance, self-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can potentially improve knowledge, performance, and learning confidence and can increase satisfaction with learning experience among nursing undergraduates.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and investment are needed to develop diverse content applying VR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The review of the side effects also needs to be performed.
        4,300원
        21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s on nursing college students’ disaster nursing knowledge, attitude toward disasters, and basic disaster nursing implementation abilities. Method: This study is similar to an experimental study that applied before-and-after designs for test groups and control groups. It was configured focusing on “earthquakes,” “fires,” “infectious diseases,” and “hospital disaster preparation.” Our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configured to improve nursing students’ abilities to immediately respond to problems through the integration of nursing courses. Results: The test group that received the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disaster nursing knowledge, attitude toward disasters, and basic disaster nursing implementation abil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disaster nursing implementation abilitie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so that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al courses take root to improve the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4,500원
        21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simulation by analyzing the reflective journaling after the simulation based learning on the nursing of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UGI) bleeding. Method: From September 19–29, 2016, we conducted a simulation of UGI bleeding patient nursing with fourth-year students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University B in City 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reflective journaling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strengthen nursing competence, such as the self-reflection of nursing students,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teamwork, and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 Reflective journaling after practice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is an important process in training critical thinking, situational judgment, and reflection of nursing practice content, and needs to be extended to both on-campus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5,100원
        21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briefing in the nursing process using video simulations on nurses’ critical thinking, simulation immersion, simulation confidence, clinical performance, and simulation satisfaction. Method: This study was a comparative survey between lectures and adoption of the nursing process with video in pre-briefing. The participants were 128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 Korean advanced life support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χ2-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Pre-briefing with Chmil’s concept, including theory, nursing process, and outcome, increased the clinical performance (t=2.03, p =.044) and critical thinking (t=2.48, p =.015) in this stud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mulation immersion, simulation confidence, or clinical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imulation using Chmil’s concept w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erformance.
        4,200원
        220.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We conducted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o provide in depth understanding on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Methods: Participants were 10 nurses working in an isolation ward, where only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s were institutionalized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 data analysis method. Results: The main theme of the experience of the nurses who worked in the isolated ward was ‘Nurse's sense of duty to overcome the fear of infection’. Through 83 meaningful re-statements and 13 themes, three sub-themes including ‘Unstable isolation ward’, ‘Taking care of infected patients’ and ‘Insufficient isolation patient care system’. Conclusion: Nurses, working in the new isolation ward, work in a lonely and dangerous environment having fear of infection, being lack of supplies and overcoming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se needs require efficient infection management policies, measures, and societal recogniti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