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9

        20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ler of deer have been used in Asia as a dietary supplementary or alternative medical substance. The antler contains various biological active substances, including ganglioside has been known to promote growth, bone hyperactivity, immune function, protein synthesis and various pharmacological a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ler on productivity of broiler chicks. Feeding trial has a number of 240 broiler chick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ler extract (AE) treated feeds on body performance, breast meat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in broilers. Each treatment had 15 chicks with 4 replications. The supplementation level of AE treated feeds was 0.3, 0.6 and 0.9% in the experimental diet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body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broilers fed with A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during overall periods. Especially, the body weight gain of 0.9% AE treated chickens showed highly increased by 6.0% compare to the control. Average fee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verage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p<0.05) improved by 4% in broiler chicks fed with AE compare to that of control. Average breast mea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cholesterol were also not different by feeding the AE. In breast meat characteristics, the shear force (kg/0.5inch2) of breast meat showed similar results in all treatments. The cooking loss of breast mea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ick fed AE than that of control. But the water holding capacity (%) of breast mea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chicks fed AE than that of control. In breast meat color of chick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volatile base nitrogen (VBN) value were not showed different with all treatments. Also, the fatty acids composition of breast meat were showed similar results in all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dietary feed of AE tended to improve the bod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but did not influenced breast meat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4,000원
        20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유기축산물의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가축분뇨의 적정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09~5.21, 0.48~0.51 및 3.19~3.21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28, 0.38 및 2.8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청보리의 평균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무비구(3.97, 0.37 및 2.56 톤/ha)에 비해 100~150 kg N/ha (5.23~5.76, 0.49~0.54 및 3.28~3.5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콩과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조단백질과 ADF 함량은 헤어리베치 혼파구(각각 9.7과 34.5%) >사료용 완구 혼파구(각각 9.3과 33.0%) >청보리의 단파구(각각 8.7과 30.5%)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우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 함량과 NDF 함량은 처리수준 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ADF 함량은 시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DN 함량은 반대로 감소하였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평균 2.62~2.72두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발효우분 질소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청보리에 의한 유기한우 사육능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 재배 시 콩과 사료 작물의 혼파 하였을 경우에는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 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 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고품질 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4,000원
        20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ice stripe virus (RSV) is one of the serious plant pathogenic viruses for rice transmitted by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alphax striatellus. RNA interference (RNAi) is an universal gene-knockdown mechanism in eukaryotic organisms which includes insects,and has been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trategy to control insect pests. Hence, we applied this technique to interfere the translation of target RNA genes to knockdown the virus gene on RSV-viruliferous L. striatellus. Three out of seven RSV genes, RdRp, NS3, and NCP were used as target genes and each dsRNA targeting the viral genes were delivered to the insects indirectly through the rice leaves by irrigation. As a result, not only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 of target genes decreased but also those of non-target genes and the replication of RSV genome as well. In summary, leaf-mediated dsRNA feeding methods would be useful in the knockdown of target genes on piercing-sucking insects. The genes used in this experiment can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pest-resistant transgenic plants based on RNAi.
        204.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st caterpillars, the larvae of butterflies and moths(Lepidoptera), are herbivorous. Sometimes they are regarded as serious agricultural pest that cause to damage agricultural produce, whereas some species such as Bombyx mori is known to be valued as sources of silk. Even though their major role in the ecosystem, details of biology are poorly known for most speci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larvae and to acquire useful biological information of insect larvae through rearing from 1997 to 2014 in HECRI(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From 2012 HECRI are carrying out ‘Larvae Identification and Specimen Security of Primary Endemic Moths in Korea Peninsula through Rearing’ supported by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Of these this study is the list about special caterpillars feeding on the foliage Willow Trees (Salix spp.) Total 143 species belonging to 13 famili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69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Among them Willow Treesdependent monophagous caterpillars are 34 species belonging to 5 families, oligophagous 36 species belonging to 3 families and polyphagous 16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The dominant family is Geometridae(51 species), second is Noctuidae(35 species) and followed by Notodontidae(21 species).
        205.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eding habits of white croacker, Pennahia argent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omach contents of 153 specimens caught by bottom trawl from May 2011 to March 2012 in the Sejon island, Korea. To know feeding habits of the white croacker, P. argentata, a species composition and it’s fluctuation were analyzed based on growth. White croacker, P. argentata caught in the area composes 15 species. The most species in an number of the prey was Macrura which was occupied at 66.4% from whole prey, the second most species was Pisces which was occupied at 20.3%. The most species in an wet-weight of the prey was Pisces which was 49.3% out of the whole specimens. The second most species was Macrura which was 43.3%. The frequency occurrence of the prey was Macrura which was 68.6%, the next one was Pisces which was 28.8%. The highest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of the prey was Macrura which was 78.2%, the next one was Pisces which was 28.8%. A number of the prey per specimen of small, middle and large class were 1.3, 1.5, 1.7, respectively. A wet weight of the prey per specimen of small, middle and large class were 0.2, 0.6, 0.2 g, respectively.
        4,000원
        206.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164 individuals of Hippocampus coronatus were collected from an eelgrass bed in Dongdae Bay, Korea from September 2006 to August 2007.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H. coronatus was higher in September 2006. The size of H. coronatus ranged from 2.4 to 9.3cm in height (Ht), and most of individuals were small size below 5cm (Ht). H. coronatus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and copepods. Its diets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mysids, ostracods, brachiopods, caprellid amphipods, bathynellaceas, isopods, tanaids, and ascothoracids. The diets of H. coronatus underwent size-related changes; smaller individuals consumed copepods, while larger individuals ate gammarid amphipods and mysids. The dietary breadth index of H. coronatu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ir size.
        4,000원
        207.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흑염소 사양체계 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목과 사사형태의 사육이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20두를 방목구와 사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0두씩 공시하여 2012년 5월1일부터 2012년 9월30일까지 153일간 수행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50.6과 52.3 g 으로 차이가 없었고, 도체율에서도 방목구와 사사구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도체의 지방함량은 사사구가 4.83% 으로 방목구의 3.30%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흑염소 고기의 조지방 함량은 사사구가 2.05%로 방목구의 1.1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 함량이 49.27∼50.0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almitic acid(C16:0) 함량이 23.3∼23.5%, stearic acid(C18:0) 함량이 19.3∼19.5%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산 조성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은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3.16과 3.04 ㎏/㎠ 로 방목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3), 관능검사 결과 중 연도는 사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8).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염소를 방목과 사사형태로 사육하였을 때, 생산성과 도체특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육질과 물리적 특성에서 사사형태의 사육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기 생산을 위해서는 사사형태로 사육하는 것이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과 함께 흑염소 생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0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대활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먹이 활동이 계절 및 고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지난 3년간(2011~2013) 지리산국립공원의 고도가 다른 세 지역(피아골, 시암재, 노고단)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각 지역에 서식하는 수종(3종)을 선정하여 4월부터 6월까지 1~2주마다 초식곤충의 식흔 활동을 식흔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고도가 가장 낮은 피아골(􀎕300 m)에서 가장 먼저 식흔이 나타났고, 중간고도인 시암재(􀎕900 m)에서는 가장 많은 식흔이 조사되었다. 고도가 가장 높은 노고단(􀎕1300 m)에서는 식흔이 가장 늦게 나타났지만 짧은 시간에 급속히 식흔의 총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에 발표된 연구를 토대로 한 결과 초식곤충의 활동시기는 조류(곤줄박이)의 첫 산란일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곤충-2차 소비자(조류)와 밀접한 관련을 보여준다. 기후 환경이 변함에 따라 초식곤충 활동의 기간이 바뀌게 될 것이며 이러한 먹이사슬의 변동을 감시할 수 있는 지속적인 장기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4,000원
        20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liotis discus, a useful abalone of herbivorous gastropod, shows feeding preference tomarine algae depending upon their growth stage and recognition of taste. This study was carriedout to investigate this abalone’s algal preferences and the presence of feeding stimulants. Insingle-choice experiments the small(S) group generally preferred Ulva pertusa(Chlorophyta),whereas the medium(M) and large(L) group preferred both Laminaria japonica(Phaeophyta)and Undaria pinnatifida(Phaeophyta). In multi-choice experiments using 4 algal species of L.japonica, U. pertusa, U. pinnatifidaand Ecklonia cava(Phaeophyta), the results were same as inthe single-choice experiments; the S group preferred U. pertusathe most, while the M and Lgroup preferred both U. pinnatifidaand L. japonica. However E. cavawas not preferred by anygroups. In order to examine the presence of feeding stimulant, chemical compounds from algae usedas feed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The abalone responded to water soluble matters of L. japo-nica, U. pinnatifidaand U. pertusa, but those of E. cavaand Sargassum sagamianum(Phaeophyta)were not attractive to them. In feeding stimulant experiments using fat soluble matters, the S grouppreferred the fat soluble matter of U. pertusathe most, while the M group and the L group pre-ferred those of U. pertusaand U. pinnatifida, and those of L. japonica, respectively. However the fatsoluble matter of S. sagamianumwas not attractive to the abalone. The results of feeding sti-mulant experiments were same as those of single-choice or multi-choice experiments, which show-ed that compound lipids in fat soluble matter might act as feeding-stimulant.
        4,500원
        21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치는 한국 남해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는 어류이며, 상업적으로도 중요한 수산 자원 중 하나로써, 이 연구는 한국 남해에 서식하는 멸치의 지역별, 계절별 먹이생물의 차이를 통해 멸치의 주 먹이생물과 섭이 생태를 알고, 이를 통해 멸치의 생태학적 위치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 남해의 통영, 진도 그리고 여수에서 채집된 멸치의 먹이 생물 분석과 멸치가 채집된 해역에서의 동물플랑크톤군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된 멸치의 먹이생물은 조사 해역과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여수와 진도에서 7월에 출현한 멸치의 먹이생물은 따개비 유생의 cyprid기(>35%)와 요각류인 Calanus sinicus (>22%)가 우점하여 나타난 반면, 통영에서는 소형 요각류인 Paracalanus parvus s.l. (41%)와 Corycaeus affinis (22%)가 우점하여 나타났다. 같은 조사기간 동안 각 해역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여수에서 지각류인 Evadne tergestina (39%), 진도에서 Paracalanus parvus s.l. (28%)와 통영에서 Evadne tergestina (14%)가 우점하여 나타났다. 계절에 따라 살펴보면, 하계에 우점한 먹이생물은 따개비 유생과 요각류였고, 추계에는 식물플랑크톤과 요각류 Pseudodiaptomus marinus, 동계에는 Paracalanus parvus s.l.와 냉수성 요각류인 Centropages abdominalis가 가장 우점하는 먹이생물로 출현하였다. 계절에 따라 채집된 멸치의 먹이생물 선택성은 하계에 조사해역에서 우점한 지각류인 Evadne tergestina (39%)보다 작게 출현한 Calanus sinicus (3%)의 선택성이 높았고, 추계와 동계에 조사해역에서 우점종이었던 Paracalanus parvus s.l. (30%, 21%)보다 각각 Pseudodiaptomus marinus (0.5%) and Centropages abdominalis (0.9%)를 높게 선택하였다. 한국 남해의 멸치는 서식하고 있는 지역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의 차이에 따라 먹이생물의 선택성이 달라졌다. 또한, 계절에 따른 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에 따라 먹이생물의 종류와 섭이 형태가 달라졌다. 한국 남해의 멸치는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을 모두 섭이하면서 높은 적응력과 먹이생물에 유연성을 보였다. 이러한 멸치의 먹이 생물 섭이 방식은 공간적 또는 계절적으로 많은 변동이 일어나는 한국 남해 연안 해역에서 생존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4,500원
        21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가루이 등 방제용 천적으로 유망한 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 tenuis)의 줄알락명나방(Ephestia kuehniella) 알 섭취 전 먹은 식물성 먹이에 따라 줄알락명나방알 섭취량이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포트에 재식된 참깨, 파프리카, 솜에 적신 물을 각각 하루 동안 섭식하게 한 담배장님노린재에게 냉동한 줄알락명나방의 알을 공급하고 하루 동안 섭취한 알의 개수를 비교하였다. 파프리카를 먼저 섭식한 담배장님노린재가 가장 많은 55.7±30.19개의 줄알락명나방 알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깨를 먼저 섭식한 경우에는 줄알락명나방 알을 24.2±34.70개 섭취하였고,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에는 줄알락명나방 알을 49.2±30.58개 섭취하였다. 파프리카와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 통계적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참깨를 먼저 섭식한 경우 파프리카 또는 물을 먼저 섭식한 경우에 비해 더 적은 수의 줄알락명나방의 알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1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결과 조농비가 다른 사료를 각각 급여한 젖소에 서 임신초기의 유방 크기는 HF군이 LF군 보다 2.4배 가량 유의하게 컸으나, 임신중기와 착유기 동안에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Estradiol의 혈중농도는 두 군 모두 사춘기 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임신기간 동안 사춘기의 2~3.5배가 량이 되었으며,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착유기 전 기간에 걸쳐서도 estradiol의 농도는 두 군간 차 이가 없었다. Progesterone의 혈중 농도는 사춘기부터 증가 하기 시작하여 임신중기까지 두 군 모두 비슷한 농도로 유지되었으며, 시험 전 기간에 걸쳐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산유량 4% FCM은 두 군 모두 분만 후 증가하다 LF군은 분만 100일, HF군은 150일을 기점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분만 후 50일까지를 제외하고 그 후 전 기간에 걸 쳐 양질 조사료 함량이 높은 사료를 급여한 HF군의 젖소 에서 산유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분만 250일 까지도 높 은 산유량을 유지하였다. 우유 내 체세포 수는 분만초기를 제외하고 착유기 전 기간 동안 HF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 였다. 유지율은 분만 후 비유 초기에 LF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이후부터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에 우유 내 단백율, 고형율, MUN 모두 두 군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산유량과 체세포 수 및 유지율을 기초로 계산한 유대에 있어 HF군이 LF군에 비하여 최고 141.5% 증대되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젖소의 양질 조사료의 함 량을 적당 수준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크기나 관련 호르몬의 변화 없이 우유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우유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2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육성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원이 볏짚 위 주일 때, 농후사료 급여 수준이 발육, 사료이용성 및 경제 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육성기 암 컷 흑염소 40두를 공시하여 농후사료 급여수준을 체중의 1.5% (T1), 1.8% (T2), 2.1% (T3) 및 자유채식구(T4)로 나누 어 급여 하였고 조사료원은 볏짚을 자유채식 하도록 하였 다. 그 결과, 일당 증체량은 T1 (1.5%), T2 (1.8%), T3 (2.1%) 및 T4(자유채식)구가 각각 50.23, 60.37, 71.46 및 98.90 g으로 농후사료의 급여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사료인 볏짚의 사료 섭취량은 농후사 료 급여수준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경제성 분석에 있어서 육성기 흑염소 경영 비는 농후사료를 1.5%, 1.8%, 2.1% 및 자유 채식하였을 때 각각 46,704원, 49,998원, 54,701원 및 74,613원으로 농후사 료의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경영비는 증가하였다. 이는 증체량에 있어서 T4(자유채식)구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지 만 T3 (2.1%)구보다 사료비에 있어서 두당 19,912원 더 많 이 들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할 때, 육성 기 흑염소에 있어서 조사료 원이 볏짚 단용일 경우에는 농 후사료를 2.1% 수준으로 급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 으로 사료 된다.
        4,000원
        21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버섯재배부산물, 재활용가금깔개, 미강 및 straw로 구성되는 BF 사일리지 급여가 육성 거세한우의 행 동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 험에 사용한 공시 한우는 11개월령 총 10두(평균 301.7 kg) 를 2처리로 배치하였으며, 이 때 대조구(볏짚 자유채식)와 처리구(BF silage 자유채식)로 하여 48시간 행동관찰을 실 시하였다.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총 DM 섭취량과 NDF 섭취량이 각각 30% 및 36% 높았고, 채식시간, 반추시간 및 저작시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 다. 식괴수, 식괴당 반추시간에 있어서도 유의적 차이가 없 었고, 식괴당 저작수와 FVI는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대조구와 비교해서 BF 사일리지 급여구는 배뇨 회수가 높 고(p<0.05), 음수 및 배분 회수에 있어서는 상호간에 차이 가 없었고, 채식율, 반추효율 및 저작효율에 있어서는 더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BF 사일리지 급여는 볏짚과 비교 시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 상 큰 차 이가 없다는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차후 볏짚 대용으로 활 용하여도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즉 입자도가 큰 straw를 peNDF를 충족시키는 최소량을 혼합하여 부산물사료 사일 리지를 제조, 급여하였을 때 육성거세한우의 반추행동은 볏짚 급여 시와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15.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44,443 도체로부터 얻은 도체특성(성별, 등지방두께 및 도체중), 사육환경(자돈의 성별 분리사육, 돈사의 온도관리 유무, 돈사의 형태, 환기방식, 급수원의 종류, 음수 개선시설의 유무, 돈사의 연간 소독횟수, 돈사의 바닥형태 및 평당 사육두수), 출하방법(선별출하, 출하일령, 등지방두께의 편차 및 도체중의 편차) 및 번식특성과 자돈관리(모돈의 산차, 이유일령, 정액의 분양처 및 자돈의 품종)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돼지의 도체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도체특성 변수에서 암퇘지 및 거세돈이 숫퇘지보다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으며(p<0.05), 등지방두께 15-29mm 및 도체중 91-95kg가 높은 도체가격을 보였다(p<0.05). 도체가격에 대한 등지방 두께 및 도체중은 도체가격 형성에 각각 90.75%와 90.23%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사육환경, 출하방법, 번식관리는 각각의 방법별로 가격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도체가격형성에는 낮은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 여러 가지 변수 중 등지방 두께 및 도체중이 도체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16.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aterpillars, the larvae of butters and moths(Lepidoptera), are enormously important in terrestrial food webs. They are not only the preferred grub for insects, birds, fishes, reptile and amphibian but also engineers of nutrient cycling processes and are the largest natural consumers of vegetation. Even though their major role in the ecosystem, details of biology are poorly known for most species. HECRI(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larvae and to acquire useful biological information of primary endemic insect larvae through rearing from 1997 to 2013. Of these this study is the result about special caterpillars feeding on the foliage Oak Trees (Quercus spp.) which composed 60-70% of broad-leaved forest thereby important component for forest in the Korean Peninsula. Total 297 species belonging to 23 famili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101 species belonging to 21 families. Among them Oak Trees-dependent monophagous caterpillars are 247 species belonging to 20 families and polyphagous caterpillars are 50 species belonging to 11 families. The dominant family is Noctuidae(83 species), second is Geometridae(67 species) and followed by Notodontidae(33 species).
        217.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of Stomaphis (Aphididae: Lachninae) is stem or root feeding aphid on trees and can easily be distinguished in having the very long rostrum which extends beyond the length of body. Most of species are monoecious holocyclic without host alternation and attended by ants. Stomaphis sinisalicis Zhang & Zhong, 1982 (Aphididae: Lachninae)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on Salix babylonica L., S. koreensis Anderss. and S. hulteni Floderus (Salicaceae).
        218.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monitor diverse herbivore’s feeding activity in two localities, Mt. Jirisan National Park, a Korea LTER site and Mt. Seungdalsan, Muan, Jeonnam. We selected 11 tree species at two localities by differing elevations (> 200, 300, 600, 900, 1200m). We measured the herbivore’s feeding activity by an indirect method that calculates feeding area per leaf by diverse but unknown herbivores (ankertrass area) every two weeks from April to July. We found that the peak and duration differ along the elevation and locality: at a low elevation site (>300m), pattern of ankertrass area increased continuously from 16th Julian week to 21st week; at middle elevation site (600m), pattern of ankertrass area increased continuously from 20th Julian week to 23rd week; and at high elevation site (>600m), pattern of ankertrass area sharply increased from 22nd Julian week to 25th week. This showed that the timing of peak of herbivore activity exhibited a time-lag by elevations. We expected that the peak or duration of herbivore activity can be changed followed by environmental change and this can be monitored in a long term ecological monitoring.
        21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imicomorpha is one of the most diverse groups in true bugs comprising more than 20,000 species, which attract a great attention for a variety of life-history strategies as well as for agricultural and medical aspects as followed: traumatic insemination in the bed bugs and their relatives (Cimicoidea), diverse feedinghabits in the plant bugs (Miridae), parasitism and blood-feeding in the bed bugs and their relatives (Cimicidae and Polyctenidae), agricultural pests in the lace bugs and the plant bugs (Tingidae and Miridae),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the minute pirate bugs and the plant bugs (e.g., the genus Orius), disease transmission in the Triatominae (Reduviidae), and micro-habitat transitions in the assassin bugs and the flower bugs (Reduviidae and Anthocoridae). In this talk, I conducted th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Cimicomorpha based on the molecular data. Additionally, through the phylogenetic comparative analyses, I also present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specialized biological traits of the Cimicomorp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