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0

        22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
        22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지역과 교육수준에 따른 굴절이상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안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수정체안을 제외한 만 40세 이상의 성인 5,025명을 대상으로 도시와 농촌의 굴절이상 차이를 분석하였다. 안검진 데이터에서의 굴절이상도는 자동안 굴절계로 검사하였고, 통계분석을 위하여 등가구면 굴절력을 사용하였으며,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 중·고 졸 이하, 대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지역과 교육수준에 따른 굴절이상도는 t-test 및 χ2 검정하였고, 유의 수준은 0.05로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연령은 농촌지역(62.05±11.98)이 도시지역(56.62±11.74)보다 높았으며, 굴절이상도는 도시 지역의 굴절이상도(-0.38±2.01D)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초졸 이하의 굴절이상도는 -0.24± 1.90D이었고, 중·고졸 이하는 -0.27±1.99D, 대졸이상은 -0.40±2.18D로 교육수준과 굴절이상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모든 교육수준에서 도시지역의 굴절이상도가 높았다. 우리나라 성인의 고도근시 발생률은 2.0%이었으며, 도시지역은 2.3%이었고, 농촌지역은 1.4%로 도시지역의 고도근 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population-based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도시와 농촌 지역의 굴절이상도의 차이 와 교육수준에 따른 굴절이상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굴절이상도(근시)는 농촌지역에 비해 도시지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더욱 증가하였으며, 고도근시는 도시지역에서 더 많은 유병률을 보였다.
        4,000원
        22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blood lipid levels, nutrient intakes, oxidation and inflammation markers of overweight adults(23≤BMI<25) and obese(BMI≥25) in Korea.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s control, borderline hyperlipidemia. and hyperlipidemia groups based on The Korean guidelines of Hyperlipidemia Treatment for the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thropometric checkups, 2-days of 24 hr recalls, and blood biomarker analyses. Systolic blood pressure(SB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yperlipidemia group(p=0.0464). Intakes of nutr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Blood oxidized-LD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yperlipidemia group(p<0.0001). Blood triglyceride(TG)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MI(p=0.0498), SBP(p=0.0158), and diastolic blood pressure(DBP; p=0.0076). Bloo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BP(p=0.0005), and blood HDL-cholesterol leve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dy fat (p=0.0408). Blood LDL-cholesterol leve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ight(p=0.0207), and blood VLDL-cholesterol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BP(p=0.0011) and DBP(p=0.0490). Intakes of protein(p=0.0257) and dietary fiber (p=0.0094)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lood HDL-cholesterol levels. Frap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G levels(p=0.0001) and VLDL-cholesterol levels(p=0.0077). Oxidized-LDL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DL-cholesterol levels(p=0.0135).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on and inflammation markers may be related to hypercholesterolemia progress, and dietary fiber intake may play a role in preventing hyperlipidemia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4,200원
        227.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eating, nutrient intake, and health outcomes using dietary intake,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in Korean adults. Data from the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obtained, and 2,514 adults aged 20 to 64 years were analyzed. The prevalence of skipping breakfast, using a 24-hour diet recall, was 54.5% in the 20-29 age group, 31.2% in the 30-49 age group, and 19.2% in the 50-64 age group. In the 20-29 age group, waist circumstance and serum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reakfast skippers than in breakfast eaters. In the 30-49 age group, breakfast skippers had higher triglyceride levels than breakfast eaters. Energy intake of breakfast skippers in every ag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reakfast eaters. Furthermore, in the 20-29 and 30-49 age groups, the percent of energy from carbohydrates in breakfast skipp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reakfast eaters, whereas the percent of energy from lipids in breakfast skipp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reakfast eaters. Additionally, in the 20-29 and 30-49 age groups, breakfast eaters showed higher carbohydrate and iron intake per 1,000 kcal than breakfast skippers and lower lipid intake per 1,000 kcal than that of breakfast skippers. Breakfast skippers showed intakes of less nutrients than EAR was higher than breakfast eaters except vitamin B2 and calcium intake in males of the 20-29 age group. In conclusion, nutrition education, and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teach the importance of breakfast, appropriate dietary intake, and proper food choice for each age group.
        4,000원
        22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 In order to verify using Convergence Insufficiency Symptom Survey(CISS) is proper method to distinguish convergence insufficiency(CI) group and normal binocular vision(NBV) group in adults. Methods : 97 subjects 19 to 35 with normal VA and no strabismu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horia, positive fusional vergence(PFV), nearpoint of convergence(NPC) and accommodation convergence/ accommodation(AC/ A) of 97 were measured. Results : According to criteria, 62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analysed with CISS. Nine subjects had CI and 53 had NBV. General symptoms of CI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occurrence of Jose concentration, tiredness, sleepiness, uncomfort, double vision and blurring in that order.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ISS seore of CI subjects (mean±SD: 25.67±7.67) and NBV group(l2.74 ±4.80) were found(p=O.OOO).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was 0.955 indicating outstanding discrimination using the CISS. Using seores of 21 or higher to denote CI, a sensitivity of 88.9% and specificity of 98.1% were obtained.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ISS is a valid instrument for differentiating adults with symptomatic CI from those with symptomatic NBV. Adopting score 21 as cutoff value, it is proved that distinguishing Cl from normal is most precise. Additionally, Adults in this age group were able to respond to a broad range of symptom questions associated with CI. It. therefore, demonstrates CISS is a valid preliminary examination to scan CI patient.
        4,000원
        230.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king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is increasingly common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 use among adults aged 20 or older from 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factors as well as nutrient intake on taking supplements. People who had participated in both a health questionnaire and a nutritional survey were selected, and 2,871 men and 3,555 women were finally included in this analysis. Both men and women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hose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and those with higher income were more likely to take supplements. Health behavior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aking supplements. Mean nutrient intake of all nutrients except energy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en or women taking supplements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resident area, smoking, and energy intake. Compared to Dietary Reference Intake (DRI) for Koreans, most vitamins and minerals, except vitamin B2 and calcium, were consumed at higher than the Recommended Intake (RI) without supplements. In conclusion, taking supplements such as vitamin B2 and calcium may promote health and prevent disease. However, the type and frequency of other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consumed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4,000원
        23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wareness of pollution and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clothing according to women's LOHAS lifestyle. Over 60% of women were not aware of severity of environment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37.2% kept their not-wearing clothing in dead storage. 26.7% of women disposed notwearing clothing into clothing collecting box separately and 20.9% sent them to neighbors or friends. 39.4% of women were willing to pay 10% more for eco-friendly clothing and 84.6% were not willing to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Factors of LOHAS lifestyle were healthy food, environmental protection, family life, healthy clothing, healthy housing, and community service, and were segmented into using leisure group, family centered group, LOHAS group, and LOHAS stagnated group. Using leisure group were university women with low incomes, well 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eco-friendly clothing, kept their not-wearing clothing into dead storage, and low intention to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Family centered group were women of 30’s with average income and higher educationl, un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eco-friendly clothing, but low intention to buying them, disposed not-wearing clothing into clothing collecting box. LOHAS group were the over forties home makers with higher income and education, well aware of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sent not-wearing clothing to others or remodeled, intended to buy eco-friendly clothing, and not to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LOHAS stagnated group were university students, unaware of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clothing wastes and threw not-wearing clothing into trash box, no experience of eco-friendly clothing, could buy clothing produced by unethical companies if needed.
        4,800원
        23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경북지역 성인들의 사위와 안정피로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사시안, 안질환 또는 전신질환이 없는 18세에서 35세까지의 근시안을 가진 80명을 대상으로, 교정시력, 교정굴절력, 사위검사, 융합여력검사를 실시하여 사위와 융합여력에 따른 안정피로 발생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80명 가운데 52명이 안정피로를 호소하였고 이 가운데 외사위는 58.5%, 내사위는 41.5%였다. 18.5%는 근거리에서 정상으로 간주되는 0-6△의 외사위를 가지고 있었고, 81.5%는 정상범위를 벗어난 사위를 가지고 있었다. 융합여력의 크기는 사위량이 많을수록 적어졌으며, 융합여력이 사위량의 2배 이상인 사람이 28.5%이고 2배 미만인 사람이 71.5%로 조사되었다. 안정피로를 호소하는 사람 가운데 32.9%는 융합여력이 2배 이상인 사람이고, 67.1%는 융합여력이 2배 미만인 사람이었다. 결론: 사위안의 융합여력이 안정피로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사위안의 처방시 융합여력을 검사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3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석방은 수형자가 수형생활을 통하여 교화⋅개선되었다면 형벌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형의 집행을 생략하고 수형자의 사회복귀를 앞당김으로써 형집행에서 수형자의 갱생과 분발을 촉구하기 위한 제도이다. 가석방과 관련하여 최근에 제기된 일련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가석방심사가 재범방지를 위해 실질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1997년 형법개정으로 가석방대상자에게 부과하도록 되어 있는 보호관찰이 실질적으로 운영되고 있는가, 가석방을 허가하는 최소기간이 적정하게 규정되어 있는가 등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석방을 신청할 수 있는 형식적 요건으로서의 최소기간과 관련하여 종전 형법은 유기형의 경우 3분의 1을 경과한 경우, 무기형의 경우 10년을 경과한 경우 가석방을 신청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었으나, 이는 거의 사문화된 규정이었다. 실제로 유기형의 경우 형집행율이 80% 이상, 무기형의 경우 대체적으로 20년이 경과하여야 가석방이 허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1997년 가석방에 대해 보호관찰을 부과하는 원칙으로 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관찰이 선택적으로 운영됨으로써 재범예방이라는 가석방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 가 하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가석방신청의 형식적 요건과 관련하여 누진처우등급제도에 대한 개선방안 및 '개전의정'을 평가할 수 있는 독자적인 평가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석방의 사후관리제도 의 성격을 지니는 보호관찰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수립하여 재범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5,800원
        234.
        2010.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편마비 성인에게 일상생활보조도구를 적용했을 때 작업수행 및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해 왼쪽 편마비 장애를 가진 60세 여성이다. 상담 및 평가를 통해 한 손 사용자를 위한 도마와 손잡이가 긴 목욕도구(바디샤워)를 3개월 동안 적용하였다. 보조기구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 Modified Bathel Index(M BI)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COPM)을 사용하였다. 결과 : MBI에서는 목욕하기 영역에서 점수 향상이 있었고, COPM에서는 작업수행의 문제로 설정한 목욕하기 및 식사준비하기 의 두 영역 모두에서 작업 수행도 및 만족도 점수가 증가하였다. 결론 : 적절한 보조기구의 적용은 장애인이 장애 발생 전에 수행하던 역할을 다시 수행하도록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활동의 수행과 만족도를 증진시켜 준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는 뇌졸중 편마비 성인의 작업 수행 증진을 위해 적절한 일상생활보조기구 평가 및 훈련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4,000원
        23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성인남성 수형자 208명과 가정폭력사범 103명을 대상으로 성장기 의 지역사회폭력과 가정폭력의 피해경험, 고위험 환경이 정신건강과 범죄행위 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수형자와 폭력남편들의 정신건강 부 적응 양상을 비교하고, 정신건강 부적응 수준에 과거의 어떤 형태의 외상이 영 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또 수형자 집단을 대상으로 소년범죄력 유무에 따라 정신건강과 성장기 외상경험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았다. 나아가 수형자와 가정폭력 행위자의 재범행위와 관련된 요인은 무엇인지 찾아보았다. 끝으로 지 역사회폭력 노출의 예측요인을 탐색하였다. 수형자들의 정신건강 부적응에 영 향을 주는 요인은 고위험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폭력남편들에게는 지 역사회폭력의 피해경험이 정신건강에 역기능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소년범죄 경력이 있는 수형자들과 없는 수형자들은 성격특질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소년사건에 연루되었던 수형자들은 상대집단에 비해 반사회성, 건강염려증, 분 열증, 강박증, 히스테리, 우울증이 높았고, 성장과정에서 겪은 외상도 더 심각하 였다. 지역사회나 가정에서의 폭력노출은 수형자들의 실형재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신 소년범죄력이 실형재범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 다. 가정폭력사범들 경우, 지역사회폭력 피해경험이 폭력범죄를 되풀이하게 하 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지역사회폭력 피해의 예측변수는 자녀폭력 피해경험으 로 조사되었다. 수형자 집단에서는 고위험 환경이 또 다른 예측변수로 발견되었 다. 지역사회폭력 목격을 예견하는 요인은 수형자, 가정폭력 행위자 모두에게서 고위험 환경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8,000원
        23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성인의 감각 처리 유형과 인성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Korea Aptitude Development(KAD) 인성검사는 학과에서 학생의 인성과 직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사회적성개발원에 단체로 의뢰하여 2008년 4월 30일에 실시되었다. KAD 인성검사를 실시한 대상자 중 연 구에 동의한 50명을 대상으로 Adolescents/Adults Sensory Profile(AASP)을 실시하였다. AASP는 대상자에게 질문지를 나눠주고 문항을 작성하도록 하였고, 설문이 완성되면 바로 수거하였다. 설문은 총 15분 소요되었다. 분 석에는 AASP와 KAD 인성검사를 모두 실시한 5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성인의 AASP 유 형을 알아보았고, 성별에 따른 AASP 유형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AASP 유형과 KAD 인성검 사와의 상관성은 피어슨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AASP 유형과 KAD 인성검사의 상관성을 비교한 결과, 감각 등록 저하는 감정(r=-.32)과 정서(r=- .34)와 상관성이 있었고(p<.05), 감각 찾기와 감각 민감성은 지도력과 각각 r 값이 .31, -.34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인성발달에 감각 처리 능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 로는 감각 처리 능력에 문제를 가진 성인이나 장애 부모를 대상으로 감각 통합 치료 적용에 따른 대처 기술, 불안, 우울 등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238.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iagnosed difference of preference about demand performance with design of men's sui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figured out Needs of adult man consumers for men's suit. This study is survey research. In order to collect dat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act analysis, χ2 test,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s and the rest were carried out with using SPSS 14.0. Result of this study could get as following. According to silhouette and color, there was difference to age, attainments in scholarship and preference according to job. Also young people preferred fitted-silhouette and in occasion of color, all of them preferred best black. It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in preferring pattern but preferred best solid on the whole. Demand performance of men's suit appeared by five main causes of design, practicality, comfort, appearance appropriateness, another person awareness and functional materials. And most main causes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4,300원
        23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s on BMI, serum profiles,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s of adult obese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 adult obese women aged 30- 65 years residing in Seoul.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obese women included nutritional educati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xercise for 12 weeks. The weight control experience of the subjects was 60.6%. They preferred physical exercise and diet restriction to weight control and 72.7%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 reasons for wanting to control their weight was health. The BMI of test subject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28.3 to 27.1 after the 12 weeks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In addition, the %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from 36.4% to 34.5% after completion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SGPT levels in the serum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fter the program. Triglyceride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94.9 mg/dL to 98.1 mg/dL (p<0.01) and the HDL cholesterol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from 55.8 mg/dL to 60.0 mg/dL after completion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In addition, the eating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however, the food diversity scores were not changed after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adult obese women may be effectively used to promote weight reduction and improve nutritional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4,000원
        24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형자의 전인교육이라함은 수형자가 사회적응에 필요한 지식습득,기술이나 기능개발, 인성개발, 체력단련 등을 말한다. 교정당국에서는 수형자들의 지식교 육을 위해서 초등, 중등, 고등학교 학력을 취득할 수 있게 학과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부 교도소에서는 수형자들에게 전문대학 학력취득을 위한 과정이수의 기회를 주고 있다.교정당국은 수형자들의 컴퓨터 활용과 정보사회 적응을 위한 정보화 교육을 시켜주고 있다. 교정당국은 수형자들의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의 외국어교육을 통해 수형자들의 자기개발 욕구를 성취하도록 지원한다. 교 정당국은 수형자들의 정서교육을 위해서 인성교육프로그램, 예능프로그램, 교도 소 아버지학교 등을 운영한다. 수형자들은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정체 성을 이해하고 자기성찰한다. 수형자들은 인성교육을 통해서 다른 수형자나 가 족, 교정직원 등 타인과 좋은 관계형성방법과 사회적응하는 방법을 배운다. 수 형자들은 직업선택과 취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교육의 기회도 얻을 수 있다. 수형자들이 DiSC 행동유형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자신의 정체성, 강점, 약점을 이해하고 진로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당국에서 제공하 는 수형자들의 전인교육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소개했다. 또한 본 연구는 수형 자들의 자아정체성 파악, 기질에 맞는 적합한 진로상담지도와 관련하여 DiSC 행동모델의 적용을 간단히 서술하였다.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