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7

        223.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200원
        226.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수색초둥학교 3-5학년 재화생 111 명(남 45명, 여 66명) 222안올 대상으로 굴 철이상도, 각막곡률 및 안구의 걸이롤 측정하여, 8개월 동안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 하였다. 조절마비 상태에서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둥가구면 굴철이상도의 펑균 변화도는 -0.32:3 ::t 0.346 D( -0.399 ::t 1.621 D에서 -0.722 ::t 1.719 D) 외 유의한 증가률 보였고 (t '" 13.985, p = 0.0000), 자동각막곡훌제로 측정한 각막굴철력의 평균 변화도는 -0.02 ::t 0.246 D(43.322 :t 1.241 D에 서 43.301 ::t 1.갱OD) 의 감소률 보였으며 (t = 1.239, p = 0.217), A -Scan Ultrasonography로 측정 한 안구의 길 이 는 O.잃6 :t 0.239 mm(23.231 ::t 0.875 mm 에서 23.467 ::t 0.940 mm) 의 유의 한 중가를 보였고 (t = • 14.730, p = 0.0000), 안축장/각 막곡률비는 0.029 ::t 0.035(2.980 ::t 0.1 14에서 3.009 ::t 0.12 1)의 유의한 증가훌 보였다 (t = --12.388, p = 0.0000). 안광학상수의 변화가 굴절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안축장의 증 가가 근시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온 낮은 상관성올 보였고 (Y = 0.173 + -0.198 * X; r = -0.284, p < 0.(001), 각막곡률의 감소와 근시도의 증가 사이에는 상판성이 없었다 (Y = -0.031 + -0.033 * X ; r'" -0.046, p = 0.48). 또한 정시 및 왼시군(둥가구면 굴절이상도가 -O.50D 야하)과 근시군(둥가구면 굴 절이상도가 -O.50D 이상)의 근시진행도를 비교한 결과 정시 및 왼시군(평균 변화도 -0.234 ::t 0.330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458 ::t 0.327 D) 에서 근시도가 더 크게 증가 하였고 (t'" -4.983, p = O.α)()()) , 안축장은 정시 및 원시군(평균 변화도 0.175 ::t 0.217 mm) 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331 ::t 0.241 mm) 에서 더 크게 증가하였고 (t = 4.986, p = αoα삐), 각막곡률은 정시 및 원사군(평균 변화도 -0.013 ::t 0.254 D)보다 근시군(평균 변화도 -0.031 :t 0.233 D) 에서 더 크쩨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t = -0.513, p '" 0.608). 따라서 초등학생에서 신체의 성장과 함께 굴절상태가 근사쪽으로 진행하며 안축장 이 증가하는 반면 각막의 굴절력온 갑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원시 및 정사군보다 근시군에서 근시도 및 안축장악 변화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7.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를 설계하기 위하여 안질환과 외판상 전신질환이 없 는 10--13세(평균 10.5 세) 사이의 초등학생 200 명(남 96 명, 여 104 명)을 대상으로 안 경테 설계와 관련된 머리와 얼굴부위를 계측하고, 이 자료룹 바탕으로 한국 어린이용 안경테의 전면부와 다리부 설계값을 구하였다. 한국어린이의 얼꿀형태는 코카시안 어 린이의 얼굴형태와 차이를 나타냈으며, 안경테 설계와 관계꾀는 앨꿇너\:1 1 와 머리너비 는 한국성인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머리최대길이, 귀구슬사이거리, 동공사이거 리는 성인과 차이가 있어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은 성인용 안정테 설계값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얼굴형태를 기초로 계산된 어린이용 안경테 설계값올 현재 판매되고 있는 어 린이 딴경테 측정치와 비교한 결과 안정테 전변부 선체깊이 (FHDl, 기준선길이 (RHD) 및 Front to Bend(FTB) 는 기존 안정데가 설계값보다 크기자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안경테 PD(OCD), 렌즈고정툴사이거리<DBR>, Length of Drop(LDl은 기존 안경 테가 설계값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어린이에 적합한 안경태는 성인 안경태의 축소형이 아닌 어련이의 얼팔 형태에 적합하게 설겨1 되어야 하므로 현재 시 판되는 안경테보다 안경테 전면부 길이는 크고 안경태 PD. 렌즈고정툴사이거리, 연 결부 (bridge) 는 짧게 설계되어야 할 것이며, 어린이의 취향에 맞게 설계값올 기초로 하여 따양한 디자인의 안경테가 제작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권다.
        4,500원
        22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경올 착용하고 있는 초둥학교 어린야 120 명(현재 안경의 착용기간 0.67 ::1:: 0.55년) 을 대상으로 안경올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현감에 대한 설푼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착 용 중인 안경의 조정 (fitting) 상태, 광학적 조제상태 및 안정테의 크기률 조사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28% 가 안경을 착용하면서 불편올 느꼈으며, 불펀감의 왼인은 ‘훌 러내댐’ 41%, ‘코와 귀 부위의 압박감’ 46%, ‘기타’ 12% 로, 대부분 안경테의 역학적인 조정상태가 불편감의 원인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안경 착용상태를 조사한 결과 착용자의 67% 에서 착용상태가 적절하지 못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는 코받침부의 간격이 넓고 l斗리꺾엉부의 위치가 깊게 조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안경렌즈의 광학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거리가 일치하지 않은 안경은 93%로 나 타났으나, 독일 RAL-RG-915룰 적용하여 조제가공 허용오차의 범위에 대한 적부플 판단한 결과 수펑방향은 96% 가 적합하였으며, 수작방향은 89% 가 적합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4. 착용하고 있는 안경의 등가구면굴절력은 -1. 99엄::t:1.729D 였으며, 완전 교정도수 의 등가구변굴절력은 2.660::t 2.068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큰 불편은 느끼지 못하눈 것으로 나타났다. 5. 착용 중인 안경테의 크기와 어련이 안경태의 설계값을 비교한 결과 전면부 전체길 이 (FHD) 는 설계값에 비해 작은 반면, 렌즈고정블 중심간거리 (FPD>와 렌즈고정틀 사이 거리 (DBR)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리부 전체길이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 length of drop(LD)은 긴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어린이가 안경쏠 착용하면서 느끼는 불편감의 주증상흘 흘러내립이 며 그 원인으로는 넓은 코받침부의 간격과 다리꺾임부의 위치가 부적절하게 조정되 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 시판되는 안정테의 크기가 어린이의 얼굴 형태에 적합하지 못하며 특히 코받침 부위가 열굴형태와 관 차이가 있어 어린이의 얼굴형태 에 따라 안경태를 조정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30.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though it is rapidly increasing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in Korea, the quality of food and nutrition services is not improved su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children in day-care center. Menus for lunch of 253 centers were collected and the content of nutrients was analyzed. Nutrient intakes from lunch and snacks of 90 children were investigated using weighing method and those from breakfast and dinner by 24-hour recall method surrogated from their mothers. Anthropometric indices of height, weight, skinfold thickness, the ratio of fat were measured. The lunch menus for children contained 437.0±138.9 Kcal, 17.6±6.7gr protein, 153.9±87.7mg Ca, 3.63±1.6mg Fe, 164.5±158.2RE Vit A. and 4.46±3.04mg Vit B1. Energy, Ca and Fe supplied were below one third of RDAs. Mean daily calorie intake of children aged 3 years was 1303.0±474.0Kcal/day, 1322.3±442.4Kcal in aged four, 1307.0±545.9Kcal in aged five and 1497.1±93.5kcal in six year of age. Intake of iron, vitamin A and vitamin B1 were below RDAs.
        4,200원
        231.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232.
        199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600원
        233.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children's obesity index to their mothers' food habit during the October in 1995. The survey covered a total of 492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Cheju City a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surveyed children's average WLI(Weight-Length Index) is 107.08. WLI shows that 16.1% of them are overweight, 16.1% obese and 49.8% ideally weighted. The mothers' average BMI(Body Mass Index) is 22.4. 21.8% of them are underweight and 69.4% normal. The children's obesity index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ir fathers', but not significant to their mothers'. 2.As to the food habit I (balance of nutrients intake), 58.4% of the mothers have 'excellent' or 'good' food habit and the mean score is 14.95 out of maximum possible score 24.0. Concerning to the food habit II (intake of sugar, fat and salt etc.), 87.4% of mothers have 'good' or 'fair' food habit and the mean score of is 13.34 out of maximum (possible score) 20.0. The mothers' food habit I and II, as a whole,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obesity index, but in some items the significant relations are founded. The children's chesty index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ake of eggs (P<0.05) and pan-broiled or fried foods (P<0.05). The amount of mothers' food intake is significantly relevant to their obesity index (P<0.001), but not significantly to their children's. The food habit of mothers who have taken midnight snack almost every da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chesty index (P<0.05). The findings of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nutrition education to ensure health and better physical fitness for children and their mothers.
        4,200원
        234.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preschool children can be most effective when it is based on a comprehensive needs assessment dealing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day-care centers. Two hundred forty two teachers and caregivers wer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to ascertain informations on sociodemographic data,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of the teach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breakfast skipping/meal irregularities (age, p=0.011); frequency of snacking (education level p=0.031); preference for salty taste(age, p = 0.000, marital status p=0.038); preference for sweet tarte (age p=0.009); preference for vegetables (income level p=0.050); frequency of eating out (age p=0.028, marital status p=0.001); frequency of coffee drinking (age p=0.019). Daycare center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level was found to be less than adequate expecially on nutrients that are liable to be deficient in young growing children and their food sources. Proportions of the teachers who answered correctly to the questions on foods rich in vitamin A, iron content of milk, bioavailability of calcium in plant foods were as low as 20.2%-54.5%. The most frequently used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were mass media such as TV, radio, newspaper and magazines. Only 2.9%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obtain nutrition information from health professionals such as nutritionists/dietitians, physicians, and nurses. These findings are applicable at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of various nutri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teachers and caregivers of the daycare cente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s' dietary of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n food habits of young growing children.
        4,300원
        23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the standard recipe for nutritious cowpea starch based grape jelly. The effects of grape juice concentration (4, 8, 12%) and 0.2% calcium addition were evaluated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rape jelly through the instrumental analysis using rheometer and sensory evaluation.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that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grape jelly was incerased significantly In jelly made of higher concentration of grape juice, and also in 0.2% calcium containing jelly.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 higher grape juice contains jelly showed advantages in preference of color and overall quality. Calcium addition increased sourness in sensory score. Overall, 12% grape juice and 0.2% calcium containing jelly was most preferable, which means calcium fortified cowpea starch based grape jelly was successful try for nutritious and practical food fo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4,000원
        237.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어린이 영양에 관한 태도를 조사하고 그들의 영양에 관한 교육 경험이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응답 교사가 어린이 5대 생활지도 중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사회생활이 50.5%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생활은 37.3%로 2번째로 나타났다. 2. 어린이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들의 36.3%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58.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95.1%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프로그램 참가 기회가 주어진다면 교사들의 28.4%가 반드시 참가하겠다고 응답하였고 55.9%가 참가하려구 노력하겠다고 응답하여 전체의 84.3%가 긍정적인 답을 하였다. 4. 급식시간과 영양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어린이들의 사회화에 필요한 시간`이라는 응답이 55.4%, `영양에 관해 교육할 기회`가 30.9%로 나타났다. 5. 어린이의 영양교육방법은 38.3%가 `급식시간을 활용하여 교육한다`고 응답하였으나 `특별히 주제를 정하고 시청각 교재를 활용하여 영양교육을 한다`는 경우 3.9%로 나타났다. 또한 `급식시간의 영양교육활용 가능성은 인정하나 활용하지는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47.5%로 조사되었다. 6. 교사들의 영양지식에 관한 점수는 총 20점 만점에 10.9±3.0으로 나타났다. 7. 영양교육 프로그램 참가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제의 18.6%였으며 그들의 영양 지식 점수는 11.0±3.0, 경험이 없는 교사는 10.3±3.1이었다. 재학시 영양과목 이수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의 44.6%였으며 그들의 영양지식 점수는 11.1±2.9, 이수경험이 없는 교사는 10.6±3.2로 나타나 영양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검정 결과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38.
        199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Among School Children”을 분석해 보면 이 시가 시적 구조와 예이츠의 “Among School Children” 에 내재한 성서의 세계, 이미저리, 그리고 이 시의 궁극적 메시지가 성서를 그 모델로 하여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 시의 삼단계 시적 구조가 기본적으로 성서의 삼단계 구조를 모방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즉 이 시가 내포하고 있는 각 파트의 주요 이미지 즉 학교 교실, 노령화에 대한 시인의 무기력함, 그리고 댄서의 이미지가 결국 성서에 나오는 이미지 즉 성서 처음의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모습, 그 이후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인간의 나약함, 그리고 성서 마지막의 요한 계시록에 나오는 신비의 결혼을 변형한 것이다. 이 시의 주제 중의 하나인 Unity of Being의 실현이 인간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신과 인간의 결혼으로 천국을 이룩할 수 있다는 성서의 종교적 비전을 연상시킨다. “Among School Children”의 내면에는 바이블의 세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4,800원
        239.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sess the early nutrition-related knowledge,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the types of messages that their mothers give to them about nutrition and to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children of this study showed the uncooperative eating behaviors most frequently when they had breakfast and vegetables. In these cases the most frequent mother's messages given to the children was encourage eating some of each food. Children's eating problems as perceived by mothers were mainly low dietary intake and an unbalanced diet. The most frequent messages given to the children in the presentation of new foods were telling the child taste them and general nutrition about the new food. General topics in nutrition the mothers had discussed with their children were about nutrients, food groups, food transformations and food origins. Children whom mothers provided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topic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concepts of food transformation, food origins and the total nutrition knowledge score. It is clear from this study that preschool children begin to learn about nutrition through these parental messages. Both parents and caretakers of young children should recognize the potential importance of these early interaction patterns.
        4,000원
        240.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stimated the status of dietary intake of 258 children from ages 3 to 6 living in Seoul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and dietary intake,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s on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ir health promotion.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the children were 110.5 cm and 19.7 kg. And their body mass index was 16.2 and obesity index was 6.5%. Proportion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to the total calorie intakes were on the average 55.8%, 15.6% and 28.6%. Calorie intake proportion of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 were 20.9%, 21.9%, 22.3% and 34.9%. In protein intake, proportion of animal and vegetable protein was 1.4, in fat intake pattern, P/M/S ratio was 1.2/1.2/1.0. As a consequence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and dietary intake, children of high awareness degree to the food value did not intake much calorie and carbohydrate, and did not choose cereals and starches, condensed fat food. As a result, dietary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showed very good but partially showed a problem of over and under nutrition in quantity or in quality we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health and nutrition of the pre-school children.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