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2

        22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rial ultrasonographic examinations were daily performed from 15 days after ovulation until parturition to determine the time of first detection and ultrasonographic appearance of the fetal and extra-fetal structures in pregnant 10 Maltese, 10 Yorkshire Terrier, 15 Shih-tzu, and 10 Miniature Schnauzer bitches, respectively. Gestational age was timed from the day of ovulation (day 0), which was estimated to occur when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was first increased above 4.0ng/ml. The gestational length was (range: ) days and the geatational length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itches (p>0.05). The initial detection of the extra-fetal structures were; gestational sac at days , zonary placenta at days , yolk sac membrane at days , yolk sac tubular shape at days , and amniotic membrane at days , respectively. The time of the first detection of the extra-fetal structur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itches (p>0.05). The initial detection of the fetal structures were; embryo initial detection at days , heartbeat at days , embryo bipolar shape , fetal movement at days , limb buds at days , stomach at days , urinary bladder at days , skeleton at days , and kidney at days , respectively. The the time of the first detection of the fetal structur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bitche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e evaluation of the time of first detection and ultras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gestational structures might be useful for pregnancy diagnosis, estimating fetal age, embryonic resorption, fetal monster, abnormal fetal growth and fetal viability, respectively.
        4,000원
        222.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朝鮮)시대 관상감(觀象監)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점산(占算), 측후(測候)등의 업무를 관장했던 왕립기관이었다. 그 왕립기관은 학문에 따라 천문학(天文學), 지리학(地理學), 그리고 명과학(命課學) 세 개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그 중 천문학 부서는 오늘날 지구과학의 학문 분야들과도 일맥상통하는 업무들을 수행했었다. 본 논문에서는 천문학 부서를 중심으로 관상감의 직제와 시험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상감은 조선시대 왕립기관들 중의 하나였기 때문에 직제, 기능, 그리고 과거시험(科擧試驗)에 관한 규정들은 그 시대에 발간된 법전들에 법으로 명시되어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법전들, 관서지들, 그리고 실록(實錄)의 기록들에 대한 연구로부터, 먼저 우리는 관상감은 인원수의 규모면에서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 보다 더 큰 규모임을 알았다. 왜냐하면 관상감 인원의 추정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있어서는 서리(胥吏), 관노비, 장인(匠人)등과 같은 하급계층들은 무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는 관상감 관원이 되기 위한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내용에 있어서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과거시험에 사용된 천문학 교재들에 대한 체계적인 첫 번째 연구이다. 마지막으로, 관상감을 포함한 당시 예전(禮典)에 속했던 기관들의 과거시험에 적용되었던 몇 가지 시험 규정들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5,200원
        22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양안시기능 관련 검사에서 포롭터를 이용한 다소 제한적인 공간에서 측정한 값과 시험테를 이용한 보다 자유로운 시야가 제공되는 상태에서 측정한 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전신질환과 안질환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67 (26.11±2.56세) 남자 32명, 여자 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굴절이상 수술 또는 사시 수술 병력이 있는 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자동굴절검사 (KR-7100P, Topcon Co.)와 자각식 굴절검사로 원거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고, Phoropter(Shin-Nippon BR-7), Chart project(TopconACP-7), Trial Frame(FM 580), Lens Holder Kit(Gulden Ophthalmics co.), Loose Prism, MIM Card(Bernell co.)를 이용하여 양안시 검사를 실시하였다. 포롭터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e) -0.78±2.14△, VG(near) -2.63±4.64△, MR(distance) -0.35±1.85△, MR(near) -1.69±4.80△, MT(distance) -0.40±1.81△, MT(near) -1.78±4.52△였다. 시험테로 측정한 사위도는 VG(distance) -0.36±1.70△, VG(near) -1.43±4.00△, MR(distance) -0.08±1.54△, MR(near) -1.07±4.15△, 였다. 원거리 수평 융합버전스 측정 에서는 Smooth Vergence NFV(break/recovery) 10.15△/6.37△, PFV 18.58△/9.43△이었고, 근거리에서 NFV 19.01△/12.18△, PFV 20.13△/11.65△이었다. Step Vergence는 원거리에서 NFV 8.46△/4.73△, PFV 14.40△/7.89△이었고 근거리에서 NFV 15.78△/9.97△, 17.90△/11.03△이었다.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각각 실시된 3가지 사위측정법에 대하여 1차 측정과 2차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자유공간과 제한된 공간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MT측정법> MR측정법> VG측정법 순으로 신뢰도가 높았고 특히 포롭터에 의한 VG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낮았으며 시험테에 의한 MT측정법의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양성융합버전스의 분리점은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 Smooth vergence가 높았고 회복점도 원거리에서는 Smooth vergence가 높았으나 근거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성융합버전스는 분리점과 회복점 모두 Smooth vergence가 Step vergence보다 더 높았다. 따라서 자유공간과 비교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실시하는 양안시 관련 검사가 사위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MT측정법이 다른 측정법보다 신뢰도가 좋았으며 융합버전스를 평가할 때는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사위자의 자각증상 완화를 위한 프리즘 처방량을 산출할 때 융합버전스 예비량 측정법에 따라 처방량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900원
        225.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nized concrete structure becomes superannuated gradually and its accelerated subsequent deterioration process leads to corrosion of steel while it ages. Recently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concern about remodeling such superannuated concrete, including the basic structure of concrete, has been rapidly growing. Alkali restorative, which restores alkalinity in carbonized concrete structure, is used in the field of remodeling in order to improve the property of concrete structure.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which restore alkalinity in carbonized concrete. The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tructural elem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alkali restorative which mainly consists of silicic lithium metallic salt while examining the durable effectiveness of the factors (such as water permeation, surface erosion, elution of alkali, etc.), which will continuously affect concrete as deteriorating factors even after the restoration of alkali. The result shows that the alkali restorative consisting mainly of silicic lithium contributes to water-resistance, surface strength, and long term durability of alkali due to water permeation in carbonized concrete.
        4,000원
        22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arning style instruments continue to enjoy widespread use despite the question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tudy examined wheth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id’s (1984) Perceptual Learning Style Preference Questionnaire (PLSPQ) hold true across Korean EFL college students. The PLSPQ was administered to 309 students from eight major area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ranging from .65 to .81, yielded good reliability with the exception of the Auditory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ing the dimensionality of the PLSPQ, however, produced that certain items did not clearly group into the six learning styles as Reid hypothesized. Thus, seven-factor solution in the present study was not conceptually consistent with Reid’s learning style model. Subsequently, a four-factor solution as an alternative would provide a more orthogonal and conceptually acceptable learning style framework for the students sampled. The study further identified the students’ preferred English learning styles and explored whether their gender and major fields of study affect the learning styles in terms of the four-factor solution. Due to the mixed evidence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the study suggested more replication studies of the factor structure that show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EFL students.
        6,300원
        22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대공간의 동계시 인체발열에 따른 실내온열환경의 변화를 실측하고 난방조건 및 외부환경과 관련하여 대공간에서 형성되는 실내온열환경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공간의 실내수직 및 수평온도분포, 객석의 온도분포, 실내표면온도분포, 객석의 풍속분포, 실내온열쾌적성 등의 실내온열환경을 검토한다.
        4,200원
        228.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CLS)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작업치료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인지 검사인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와 로웬스타인 작업치료 인지 평가(LOTCA)를 실시하고 수행 점수 간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서울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MMSE-K, LOTCA, ACLS 평가하였다. 결과 : ACLS와 MMSE-K, LOTCA는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ACLS는 일상생활의 도움 유무와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과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MSE-K와 LOTCA는 연령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에서 뇌졸중 환자의 ACLS 수행점수는 MMSE-K와 .605, LOTCA와 .678의 높은 상관관계를, MMSE-K와 LOTCA는 .738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ACLS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 로 인지검사로 타당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300원
        230.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preparations applicants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P.E. teacher employment made for that, how much they received relevant private education and what problems there were with that nationa
        6,600원
        232.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과학은 다양한 생명체가 살고 있는 지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주로 우리 후손들을 위한 건강하고 풍요롭고 쾌적한 환경 조성에 관심을 가진다. UNESCO와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은 과학자들, 의료 전문가들,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의학지질학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자 1996년 의학지질학 연구회를 설립한 이후, 5년간의 국제 지질대비 연구과제(IGCP 454 Medical Geology, 2000-2004)의 성공적인 수행에 이어 2006년에는 국제 의학지질학 연합(IMGA)의 활동에 힘쓰고 있다. 의학지질학과 IMGA는 그동안 수많은 국제회의, 세미나, 워크샵, 심포지움 및 각종 출판물들을 통해서 자연계의 지질학적 요소들과 사람 및 동물들이 고통 받는 질병 간의 관계를 알리는 데 큰 성과를 거두었다. UNESCO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는 의학지질학과 IMG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지구과학은 의학 및 치의학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생물, 화학, 물리 뿐 아니라 지구과학도 반드시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입시 과목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UNESCO IGCP 454 의학지질학 사업과 IMGA의 활동을 소개함으로써 앞으로 지구과학이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입시 과목으로 선정되어 우리나라 과학 교육의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5,100원
        23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firstly two teachers’ EFL writing classrooms at a university in Korea and secondly students’ perceptions on their teachers’ classroom-based teaching for EFL writing in the same social and institutional context. The classroom interactions focus on rules of processe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writing. The data comprise classroom observations of two EFL writing classrooms and interviews with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wo teachers show a big contrast in terms of their writing practices. One teacher embodied the textbook with traditional approach and adopted translation activity whereas the other teacher tried to have creative self-expression approach with the textbook and workshop activity. The students tended to adopt classroom-based writing practices that might suit their purposes or goals in learning of writing in English. The findings provide an in depth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writing, the role of teachers, and students’ purposes in EFL writing classrooms. It also suggests that the teacher needs to consider students perceptions by actively talking about relevant issues.
        5,800원
        23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인지 검사 도구인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MSE-K)와 알렌 인지 수준 판별 검사(ACLS)를 정상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하고 수행점수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2005년 9월 20일부터 11월 8일까지 원주 지역사회 노인복지과에 등록된 노인 중(60~89세) 평가를 허락한 정상노인 50명을 대상으로 MMSE-K와 ACLS에 능숙한 작업치료사가 ACLS와 MMSE-K를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 : ACLS와 연령과는 역상관관계를(r=-.417), 학력과는 정적상관관계(r=.359)를 나타내었으며 유의하였다. MMSE-K의 수행결과 연령과는 역상관관계를, 학력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CLS와 MMSE-K의 수행점수는 두 검사도구간의 유의한 정적상관관계( r=.439)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ACLS는 MMSE-K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 도구로 확인되었으며 인지기능수준이 떨어지는 노인 및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평가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35.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中國의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고찰과 그것에 대한 비판 및 활용을 통해, 우리나라 한자교육에의 새로운 방법론 탐색에 일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중국 한자교육의 현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중국의 『語文』교육과정인 語文課程標準 및 字根을 이용한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검토를 위주로 하였다.현재 중국에서는 기존의 어문교학대강을 대체하고 이를 수정발전시킨 어문과정표준을 2001년부터 시행하여, 『어문』및 한자교육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어문과정표준은 2001년 6월 7일에 발표된 基礎敎育課程改革綱要(試行)에 의거하여 새롭게 마련한 교육과정으로, 현재 중국 『어문』과정의 성질, 목표, 내용, 방법을 담고 있으며, 『어문』과정에 대한 관리, 교재의 편찬, 교육의 실시와 평가 등의 기준이 되고 있다. 중국의 한자교육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약 20여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교과서 및 각종 보조 교재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자교육방법 가운데 ‘字根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字根識字法, 成群分級識字法, 基本字帶字, 字族文識字法 등이 있다. 이것은 각각 사용하는 개념과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자근을 이용한 방법이라는 점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이 방법은 한자를 字根과 그 외의 부분으로 분석하고, 가장 기본적인 자근에 대한 학습을 통해 자근으로 이루어진 여러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다. 이는 한자의 구조를 이해하고 특히 한자의 形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6,700원
        237.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axonomic survey of the dinoflagellate family Prorocentraceae Stein was conducted on 17 locations off the coast of Korea. This monograph is the result of the microscopic analyses. A total of eight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and described, of which Pro
        4,000원
        239.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axonomic survey of the dinoflagellate family, Triadiniaceae Dodge was conducted on 17 locations off the coast of Korea. Three species of Goniodoma collected from the coast of Korea: Goniodoma orientale Lindemann, G. polyedricum (Pouchet) Jorgensen, and
        4,000원
        24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이 간편한 즉석섭취용(ready-to-eat) 샐러드 제품의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유통 샐러드의 미생물오염수준은 기준 및 규격이 설정되어있지 않고 그 수준 또한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소비가 집중되어 있는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백화점, 대형할인점 또는 패밀리레스토랑 등에서 판매되는 즉석섭취용 샐러드 제품 120건을 대상으로 하여 coliform bacteria, E. coli,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및 Bacillus cereus의 분리시험을 실시하고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및 세척효과를 조사하였다. 제품 120건 중 총 73건에서 coliform bacteria 둥이 검출되어 60.8%의 검출율을 보였다. E. coli가 17건, Staphylococcus aureus가 3건, Salmonella spp.가 1건에서 각각 검출되었고 기타 coliform bacteria는 59건에서 검출되었다. 샐러드는 양식방법에 따라 유기농샐러드와 비유기농샐러드로 나누었고, 종류는 야채로 구성된 야채샐러드와 튀긴 닭 등이 첨가된 혼합샐러드로 나누었으며 판매형태에 따라 완포장제품과 샐러드바 제품으로 나누었다. 양식방법 및 포장방법과 미생물오염과의 통계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리된 균주 수에 있어서는 야채샐러드와 혼합샐러드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여 야채샐러드의 경우 좀 더 다양한 균종이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5). E. coli는 일반 재배 야채샐러드의 경우 90건 중 10건에서 분리되었고 유기농재배 야채샐러드의 경우 30건 중 1건에서 분리되었다. 식중독 원인균은 비유기농 재배 야채샐러드 4건에서 Staphylococcus aureus가, 1건에서 Salmonella arizonia가 검출되었으나 유기농재배 야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널리 판매되는 일부 제품 4종을 5회에 걸쳐 검사한 결과 총 호기성 세균수는 평균 4.8±0.19 log_(10) cfu/g으로 조사되었다. 같은 제품을 생리식염수와 야채용세척제를 이용해 3분간 침지 후 세척효과를 본 결과 생리식염수는 5회, 야채용세척제는 1회 세척 시 95.5%의 세척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