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2

        22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생분해성 종이포트를 이용한 오이 접목 묘 육묘시 추비용 양액의 농도와 육묘일수, 정식 후 야 간 온도에 따른 오이의 생육을 검토하였다. 오이 종이포 트묘 접목활착 종료 후 육묘 중 시비 농도를 0.5S(EC 0.8dS·m-1), 1.0S(EC 1.6dS·m-1), 2.0S(EC 3.2dS·m-1)의 3 수준으로 처리한 뒤, 육묘일수를 파종 후 26, 33, 40, 47일로 달리하여 정식하였다. 정식 직후 야간 온도를 10, 15, 25oC 3수준으로 조합, 처리하여 10일 동안 재배하였다. 육묘기간 중 오이 종이포트묘의 초장, 엽수, 엽 면적, 건물중, 및 상대생장률은 추비용 양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육묘일수가 경과할수록 처리에 따른 차이는 더 커졌다. 건물률은 육묘일수가 경과함 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양액의 농도가 높을 수록 낮았다. 반면 비엽면적은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양액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정식 10일 후 오이의 생육은 육묘일수가 증가할수록 초장, 엽면적, 건물중에 있어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상 대생장률은 감소하였다. 육묘일수 26일, 30일의 경우 정식 후 오이의 생육은 야간 온도의 영향이 크지 않았으나, 육묘일수가 길어져 40일이상 육묘한 묘는 정식 후 10oC 정도의 저온에서 활착이 지연되어 생육이 저조하였다. 따라서 오이 종이포트 접목묘 생산시 추비용 양액 농도 1S, 육묘일수는 30일 내외가 추천되며, 정식 후 활착 및 생육 촉진을 위해 15-25℃ 범위의 야간온도 관리가 요구된다.
        4,000원
        223.
        2019.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독일 괴팅겐 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 한학과 학생들은 첫 해에 번체자를 배우고, 다음 학년 학기에는 번체자를 계속 쓰거나 간체자로 전환하는 것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간체자를 선택한 학생은 이 때 쓰기에서 번체를 간체자로 전환하는 것을 학습하였는데, 이 때 이들만의 독특한 한자 오류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에 배운 번체자의 영향을 받아 여행을 뜻하는 간체자 旅游를 번체자인 旅遊로 쓰거나, 亲眼을 親見眼 으로 쓰는 것과 같은 예이다. 필자는 이 전환 시기에 출현한 한자 쓰기 오류가 외국 국적의 학습자가 범하는 오류와 상이함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필자의 연구 동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어를 학습한 독일 국적 학습자들이 번체자에서 간체자로 한자 사용이 전환되는 시기에 발생하는 다양한 한자 오류 현상을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은 독일 괴팅겐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의 한학과 학생이었으며, 연구 자료는 대상 학습자가 매주 한 편씩 지은 글 총 42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러한 과도기에 생긴 한자 오류 현상은 무엇?'이며, '먼저 번체자 학습을 완료한 학습자가 다시 간체자를 학습할 경우, 건의할 학습 방법이 어떤 것이 있는가?'이다. 연구 절차는 대상 학생이 간체자를 이용하여 한 달 내에 쓴 글을 수집하고 쓰기에서 나타난 한자 오류들을 분석하여 귀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교학 건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자 오류 유형은 필기오류, 부건 오류, 同音字와 音近字의 잘못된 대체 오류, 번체자의 잘못된 대체 오류, 그 외 다양한 종류의 기타 오류들이다.
        5,500원
        22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s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a decision making unit (DMU)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puts in a specific period are consumed to produce the output in the same period of time. However, there may be some time lag between the consumption of input resources and the production of outputs. A few models to handle the concept of the time lag effect have been proposed. This paper suggests a new multi-period input DEA model considering the consistent time lag effects. Consistency of time lag effect means that the time delay for the same input factor or output factor are consistent throughout the periods. It is more realistic than the time lag effect for the same output or input factor can vary over the periods. The suggested model is an output-oriented model in order to adopt the consistent time lag effect. We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ggested model and the existing multi period input model with a sample data set from a long-term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 in Korea. We show that the suggested model may have the better discrimination power than existing model while the ranking of DMUs is not different by two nonparametric tests.
        4,000원
        225.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부지역에서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정식시기 및 재배 기간에 따른 괴근 수량 및 씨고구마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이러스 무병묘 정식시기에 따라 씨고구마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100~300 g 크기의 괴근 생산량은 6월 중순 정식 재배에서 ‘신율미’ 2,364 kg/10a, ‘풍원미’ 2,625 kg/10a 수준이었다. 2. 바이러스 무병묘를 7월 상순에 정식하여 재배하여도 씨고구마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100~300 g 크기의 괴근 수량은 ‘신율미’ 2,043, ‘진홍미’ 1,799, ‘다호미’ 1,390, ‘풍원미’ 1,985 kg/10a 정도가 생산되었다. 3.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 정식 후 110일, 120일, 그리고 130 일 재배 시 씨고구마 수량은 ‘풍원미’ 1,605, 1,907, 1,834 kg/ 10a, ‘호감미’ 1,816, 1,771, 2,137 kg/10a 수준으로 생산되었다. 4. 수확 전 채취한 고구마 잎에서 SPLCV, SPFMV, SPVG, SPLV 등 4종 바이러스 이병 정도를 검정한 결과 정식시기, 재배기간 등 품종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으나 낮게 검출되어 다음해 씨고구마 종자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5. 바이러스 무병묘 대량 증식에는 시설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증식량이 적어 면적 확대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무병씨고구마를 생산하면 면적 확대에 유리하다. 무병묘가 소량 일 경우는 계속 증식하면서 7월 상순까지 본밭에 정식하여도 씨고구마 생산이 가능하였다. 금후에는 무병묘로 생산한 연차 간 씨고구마에 대해 품종별 수량과 품질 평가 후 씨고구마의 적정 갱신 주기를 설정하고자 한다.
        4,000원
        22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ophobas morio는 주로 애완동물의 먹이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어, 파충류, 양서류, 조류의 주식 및 간식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Zophobas morio 는 27℃ 이상에서 사육하면 부화 후 80일째에 0.6 g 이상의 유충 무게를 얻었다. 보조사료를 선발하기 위해 콩가루, 어분, 보리, 메밀가루를 이용하였을 때 단백질 함량이 높은 콩가루와 어분에서 부화 후 80일째에 0.7 g이상의 유충무게를 확보하였다. Zophobas morio를 대량 사육하기 위해 성충의 산란율 증가와 균일한 유충을 확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성충의 산란 격리틀을 이동시켜 줌으로써 유충 단계가 혼재되어 선발하는데, 노동력을 줄이며 높은 수확량과 균일한 유충을 확보하기 위해 5일, 10일, 15일 간격으로 성충을 산란틀로 옮겼을 때 5일 간격으로 성충을 옮기는 처리에서 총 부화유충수 7,256마리로 10일 5,439마리, 15일 2,060마리보다 더 많은 유충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Zophobas morio 성충을 5일 간격으로 산란틀을 옮기면서 산란을 9회 시키면 7,000마리 이상의 유충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때 한 마리당 무게는 0.68 g 확보가 가능하다.
        4,000원
        227.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aditional earth wall structure consists of a Joongkit(a small reinforcing post inside a wall) and a Oe(a miscellaneous tree, rendered laths) based on the space between the columns and applying the soil. The members who act as the base layer before applying soil used joongkit, sakmok, and oemok, which are known to correspond to the current joongkit, gasisae, and lath strips.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follow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ancient texts, such as uigwe. Through a study on the usage and specifications of joongkit recorded on the uigwe, I wanted to reveal that joongkit is a material that has different specifications, functions, and installation techniques from current joongk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fference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components of use for two types of oeyeokki technique of traditional wall. In addition, the items to be considered at the actual cultural heritage repair site were reviewed in the restoration of the earth wall weaving technique.
        4,000원
        228.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반도 연안 측량이 최초로 이루어진 1787년부터 국권피탈이 일어난 1910년 이전까지 한반도 인근 해역을 측량한 서양 국가가 해양지형을 인식하고 지명을 명명한 특성을 고유지명의 특징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영국, 프랑스, 러시아, 미국에서 간행한 항해기 11권, 측량 보고서 5권, 해도 45점, 지명집 3권을 수집해 한반도 연안 해양 측량의 시·공간적 특색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들로부터 118개의 해양지명을 추출하고 유래를 조사하여, 지명 명명 유형을 묘사, 감정평, 차용, 기념(인물, 선박, 일반명사) 등 크게 4개 유형으로 나누어 국가별·시기별 명명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반도 연안 해양 측량은 1787년 프랑스를 시작으로 영국, 미국, 러시아에 의해 활발하게 이뤄졌다. 해안별로 살펴보면 동해안의 경우 러시아에 의해 상세한 탐사가 이루어졌으며, 남해안은 영국을 중심으로, 서해안은 프랑스·영국·미국 등 여러 국가에 의해 측량되었다. 둘째, 명명 유형의 경우 인물과 선박을 기념하는 사례가 각각 46개(39%), 25개(21%)로 주요 명명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뒤이어 묘사 15개(13%), 차용 13개(11%), 일반명사 기념 9개(8%), 감정평 유형 5개(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양 국가는 지명 명명에 있어 기념 유형을 선호하며, 특히 러시아와 미국은 영국과 프랑스와 비교하면 기념 유형을 이용한 지명 명명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강화도 조약 이전 시기에서 강화도 조약 이후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영국과 러시아는 해양지명의 명명 사례 수가 증가하는 경향인 반면, 프랑스, 미국은 지명의 명명 사례 수가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6,000원
        22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opening Suwon railway station in 1905, a new road was constructed between Suwon station and Paldalmun(the South gate). It was the starting point to change urban structures of Suwon and shape the new city scape. In 1914,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uwon were reorganized. Suwon-myeon (township, a subdivision of Suwon-gun) was promoted to Suwon-eup(town) in 1931. Suwon-eup expanded its territory and changed the address system from ‘li(里)’ system to Japanese address system, ‘Jeong(町)’ in 1936. From 1920s, road system was changed and transformed Suwon’s urban structures. A straight road was built from Jongro intersection to Janganmun(the north gate) in 1928. Another straight road was constructed between Suwon station to Padamun in the early 1930s. Public office buildings used the Hwa Seong HaengGung(華城行宮) and some of building moved to new location with new buildings. Main buildings of most schools in Suwon were reconstructed since 1930s. Commercial buildings and stores were sprung up and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by region. Around Suwon station, there are more hotels and restaurants than other areas. Rearranging administrative areas, developing road system and new buildings transformed Suwon’s spatial structures. Constructing new roads formed a straight road passing through Suwon. After reorganizing administrative areas, this road turned to be the central axis of Suwon. Buildings in new style on the axis made the modern cityscape in Suwon.
        4,000원
        230.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optimal size of the plug cell and seedling raising period in ‘Nongwoo’ and ‘Nonghyeop’ cultivars. In the first experiment on effect of plug cell size on growth of squash, seedlings were transplanted into hydroponic cultivation beds at different growing stages: Those in 32-cell trays with 3-4 true leaves at 25 days after sowing, those in 50-cell trays with 2 true leaves at 15 days after sowing, those in 105-cell trays just before a true leaf development, and those in 162-cell trays with only cotyledons at 8 days after sowing. In the second experiment on effect of seedling raising period on growth of squash, it was conducted to have different sowing dates. But the same transplanting date,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growth and fruit productivity as affected by plug cell size in the same way with experiment 1 including the cultivar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fter setting the transplanting date in advance, the number of days for sowing were calculated back for each treatment. In the first experiment, plant height was the greatest in 105-cell trays followed by 162, 50 and 32-cell trays in both cultivars. The best fruit quality was found in different treatments depending on the cultivars, although it was the lowest in 32-cell trays in both cultivars. The fruit qual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ose from cell sizes. Therefore, when raising seedlings in 105-cell trays, the period of raising seedlings can be shorten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32-cell trays, and this change could reduce the workforce required for grow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In the second experiment, after transplanting, shoot height and leaf width in the first measurement in both cultivars were greater in the 32-cell treatment. However, the last measurement after four week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but significantly greatest leaf width in the smallest cell treatment, even as compared with that in 32-cell treatment. In case of ‘Nongwoo’, length and weight of the first harvested fruit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treatment of 105-cell trays. In case of ‘Nonghyeop’ the 162-cell treatment along with the 105-cell treatment showed greatest length and weight of the first fruits. From these results, zucchini plug seedlings can be raised in plug trays with reduced cell sizes than the conventional 32-cell trays with improved fruit productivity.
        4,300원
        231.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ponse modification factors of school facilities for non-seismic RC moment frames with partial masonry infills in ‘Manual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trofit of School Facilities’ published in 2018 were investigated in the preceding study. However, since previous studies are based on 2D frame analysis and limited analysis conditions, additional verification needs to be performed to further apply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orthogonal effect of seismic load. Therefore, this study is to select appropriat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s of school facilities for non-seismic RC moment frames with partial masonry infills by 3D fram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 appropriat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for non-seismic RC moment frames with partial masonry infills is proposed as 2.5 for all cases if the period is longer than 0.6 seconds. Also if the period is less than 0.4 seconds and the ratio of shear-controlled columns is less than 30%, 2.5 is chosen too. However, if the period is less than 0.4 seconds and the ratio of shear-controlled columns is higher than 30%,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shall be reduced to 2.0. If the period is between 0.4 and 0.6 seconds, then linearly interpolates the response correction factor.
        4,000원
        23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16년도에 고온기 생육 및 개화 특성이 우수한 절화용 스프레이 국화 ‘Perky Star’ 품종을 개발 하였다. 2012년도에 화색이 진한 노란색이면서 좁고 긴 설상화를 가진 ‘Sei-vista’ 품종을 모본(♀)으로, 화형이 좋은 ‘Amisa’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하였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억제재배, 촉성재배, 가을재배 작형에서 생육 및 개화특 성을 검정하였다. 2016년 기호도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GCS12-81-150계통을 선발하여 ‘Perky Star’로 명명하였고 2017 년에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제2017-64호)한 후 2018년에 품종보호권이 등록(제7465호)되었다. ‘Perky Star’ 품종은 노란 색 홑꽃형으로 고온에서 화색발현과 생육이 좋았으며 꽃잎이 두꺼워 여름철 수출품종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가을재 배작형, 억제작형, 촉성작형에서 단일처리 후 개화소요일 수는 각각 49, 49, 53일, 절화장은 88.3, 84.2, 103.3cm, 꽃의 직경은 5.1, 4.8, 4.8cm, 줄기당 착화수는 25.0, 21.5, 38.8개로 고온에서 절화장과 착화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흰녹병 에 완전한 저항성을 갖지는 못한 품종이며, 자연개화 작형에서 절화수명은 21.3일로 대조품종 20.2일에 비해 조금 길었고, 5점 척도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4.2점으로 대조품종 4.1과 비슷한 선호도를 보였다.
        4,000원
        23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optimize the fermentation period of lightly salted Oiji, 3% salt was added to cucumbers that were fermented at 27±1°C for 3, 4, 5, 6, or 7 days, after which their physical properties (moisture content, salinity, pH, acidity, hardnes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cceptance test, difference test) were evaluated.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at day 6. Hardness slowly increased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The pH was highest after 3 days of fermentation, and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time increased, with the largest drop occurring between 4 and 5 days, and the lowest pH occurring between 6 and 7 days. Acidity was lowest after day 3 of fermentation and highest after day 7. Acidity tended to increase as fermentation period lengthened. The L-value tended to decrease as sal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value declined from day 3 to day 5, then increased significantly by day 7. The b-value was highest after 7 days, with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Acceptance test results were highest f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after 5 days of fermentation. The difference test showed that the optimal lightly salted Oiji fermentation period was approximately 5 day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ghtly salted Oiji fermented for 5 days produced the highest acceptance.
        4,000원
        23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researched the food culture and bean economy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16th century and according to the primary lifestyle reference『Shaemirok (瑣尾錄)』. The research analyzed the textual contents of the『Shaemirok (瑣尾錄)』. It is clear that the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produced more beans than grain, at a ratio of 41 to 50, respectively. The soy bean sauce consumption was split into family consumption and non-family consumption. It was evident that there was more family consumption compared to that of non-family consumption at a ratio of 7 to 3, respectively.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annually recorded their way of making soy sauce from 1595 to 1600. The Joseon writers edited the record six times for making meju and four times for making soy sauce. The recorded ratio displays the ingredients of soy sauce, which were: 6 Du of Mal Jang and 2 Du of salt. Mal Jang and salt had a three to one ratio, respectively. The most mentioned food was Tofu during the mid-Joseon period with fifty six mentions. The Joseon people regarded making Tofu in a Buddhist temple as a family-bonding experience. Porridge was the second most prominent food next to Tofu, among the bean-related food. Porridge appears thirty five times. There were 3 types of porridge named: bean porridge, bean powder porridge and mung bean porridge.
        4,600원
        23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dor reduction in swine farms by the application of probiotics. A total of five farms were sele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based on the management scale, odor gas concentration level, and production efficiency. The application of probiotics consisted of feeding swine high concentrations of probiotics, addition of odor-reducing agents in the slurry pit, and the spraying of swine houses. The concentration of probiotics given per pig per day was above 107 cfu/g. The odor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probiotics application for 77 days in the swine farms. With the exception of E farm, the odor concentration decreased in four farms with probiotics application. Ammonia and amine concentrations were reduced by 48.24% and 45.37% on average, respectively. The main causes of odor were hydrogen sulfide, p-cresol, and butyric acid. The total odor activity value was the lowest in D farm, followed by B, A, E, and C farms, respectively in increasing order. In the case of C farm, hydrogen sulfide accounted for 92% of the total odor activity value.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probiotics at the farm site, appropriate application and monitoring should be performed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the product quality evaluation system.
        4,000원
        23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액션뮤직은 백남준이 독일 시기에 진행했던 퍼포먼스 음악으로, 그 특유의 광기는 다른 실험음악과 구별된다. 액션뮤직의 심리학적 배경과 구조를 추적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유년시절 백남준이 경험한 끔찍한 전쟁의 경험이 독일 시기 예술의 감성을 정립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보고, 그의 미학이 외상적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르놀 트 쇤베르크라는 결절점을 중심으로 유년 시절의 외상이 어떻게 독일 시기의 음악적 활동으로 전환되는지에 관해 추적하고 독일 시기 주요 작품에 관해 정신분석학적 분석을 시도했다. 하지 만 전쟁의 외상 자체를 분석하는 것이 여기서의 목적은 아니다. 오히려 백남준이 외상적 감정을 어떻게 아방가르드의 미학으로 전유하고 어떤 방식으로 예술에서 그것이 나타났는지가 주된 관심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독일시기 액션뮤직을 접근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적 틀을 모색하 고자 했다.
        8,600원
        23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regarding the second and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By using the historical research method which analyzes newspaper articles in four major newspapers in Korea, we compa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peri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and 3) what is the implication of these previous curricula on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Period showed steady development in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its emphasis on oral skills instead of the traditional emphasis on reading and grammar skills. However, the lack of coherence among various English textbooks, the lack of English teachers fluent in English, and the exam-oriented social atmosphere were the significant challenges in fully implementing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Period overlaps with the Yushin Regime propagated by the late President Park Junghee. During this period, a systematic effort to introduc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ontinued, whereas the exam-orientation persisted which made the English class employ teacher-centered grammar-translation methods. This paper concludes with educational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6,400원
        23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歷史는 勝者의 論理’라고 흔히들 말한다. 백제가 나당연합군의 침공에 의해 660년 7월 18일 멸망하면서, 百濟의 마지막 수도였던 ‘扶餘’는 불타고 한반도 역사의 전면에서 완전히 사라져 統一新羅時代와 高麗·朝鮮時 代에 걸쳐 ‘작은고을’로 겨우 命脈을 유지해 왔다. 1300여년이 지나 또 다른 침략세력인 ‘日本’에 의해 한반도가 植民支 配를 받는 기간에 아이러니하게도 ‘부여’가 일본 아스카 문화의 뿌리라는 것과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구축하려는 숨은 의도에 의하여 역사의 전면으로 재부상하게 된다. 1914년 전국 郡·面統合을 주도한 오하라신조(小原新三,1873.-1953.)는 조선에 오기 전 일본 나라현(奈良県)의 사무관으로 재직하면서 아스카·나라시대의 문화와 백제문화가 깊은 관계가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던 사람 으로, 작은마을이었던 부여군(10개면)을 주변의 3개군(석성군·임천군·홍산 군)을 흡수하여 부여군(16개면)으로 통폐합하여 부여군의 위상을 제고(提 高)하였다. 이어 1915년 충남도장관으로 재직하면서 경복궁에서 열린 공진회에서 ‘부여팔경 디오라마’를 제작하여 116만 여명의 관람객에게 부여를 홍보하는 기회를 갖기도 하였다. 한편, 1915년 ‘공주’와‘논산’에서‘부여’간, 정기 교통편이 개통되는 등 타 도시와 교류 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다. 1927년에 조선팔경 선정시 작은고을이었던 ‘부여’를 선정하는 등 다방면에서 ‘부여’의 位相提高노력이 이어졌다. 이 와중에 예부터 이름이 있던 곳들을 대상으로 부여의 23곳 관련 그림엽서들이 발행되었고, 그 중에서 발행 주체가 명기된 4곳은 부여고적 보존회(1915-1929),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 (1929.2.20.-1939.5.30.), 산구팔경당(山口八景堂), 다까바다게상점(高畠商店) 등이고, 발행 주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것들도 다수 살펴보았다.
        6,700원
        240.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20년 중국 상하이에서 성립한 상하이불교거사림은 민국시기 대표 적인 불교 거사단체이다. 그것은 이후 세계불교거사림과 상하이불교정 업사로 분리됐다. 이 단체는 특정한 사원에 속하지도 않았고, 특정한 승려에게 지도 받지도 않았다. 순수한 재가 신중이 주체였다. 사원이 아닌 곳에 독자적인 공간을 마련했고, 그곳에 불전(佛殿)과 염불당을 갖추어서 독자적인 신앙생활을 했다. 또한 이사회를 조직하여 이사장과 운영진을 선출하는 등 현대의 재단 운영과 비슷한 근대적인 조직 운영 체계를 구축했다. 뿐만 아니라 불교 수행이나 경전 공부와 같은 전통적 인 활동을 했을 뿐만 아니라 포교, 자선, 출판, 교육 등 다양한 방면의 사업을 진행했다. 이런 사업은 전근대시기와 분명히 다른 불교도의 역할이었다. 이는 사회사적으로 보면 근대사회에서 불교가 자리를 잡는 과정이었다. 달리 말하면, 그것은 근대적인 시민권을 확보하기 위한 노 력이었다. 이것이 근대시기 재가불교운동의 내용을 만들었다. 불교에 한정해서 보자면 재가불교운동은 불교계 내에 ‘불교거사’라는 분명한 불교 주체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이때 불교거사는 근대적인 개념이다.
        6,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