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2

        281.
        200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present a systematic study of the heating and pre-sintering behavior of porous copper powder metal compacts. We employ a TE102 single mode microwave system to position the samples in the separated electric field (E) or magnetic field (H) anti-node of the cavity. We obser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ating, pre-sintering, and microstructure evolution of the samples due to the individual fields. We note that sample history (whether heated first in the E-field or H-field) greatly effects a difference in heating trends and subsequent heating behavior and does not appear to be solely a thermal process.
        283.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연구소 내의 연구용 원자로(TRIGA II, III) 해체 시 발생한 방사성 알루미늄 해체 폐기물의 감용 및 제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아크로에서 알루미늄의 용융 특성 및 방사성 핵종의 분배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알루미늄 폐기물은 흑연전극(graphite electrode)을 이용한 전기아크로에서 4가지 종류의 플럭스를 함께 첨가하여 용융시켰다. 또한 알루미늄의 용융 시 방사성 핵종의 분배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알루미늄 시편에 방사성 모의 핵종인 코발트, 세슘, 스트론튬의 화합물을 오염시킨 후 혹연도가니에 넣어 알루미늄 용융실험을 수행하였다. 전기아크로에서 알루미늄의 용융실험을 수행한 결과 플럭스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플럭스의 첨가에 의해 알루미늄 용융체의 유동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크 용융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의 발생량은 플럭스 A와 B를 첨가한 알루미늄 용융실험에 비해 플럭스 C와 D를 첨가한 실험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첨가된 플럭스의 양이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슬래그의 발생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슬래그(slag)의 XRD 분석을 통해 방사성 핵종이 주괴에서 슬래그 상으로 이동한 후 슬래그를 구성하고 있는 산화알루미늄과 결합하여 안정한 화합물로 슬래그 상에 포집됨을 알 수 있었다. 알루미늄 폐기물의 용융시 Co의 분배율은 플럭스를 첨가한 경우에 보다 높은 제염계수를 나타냈으며, 모든 플럭스에서 40% 이상의 제염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휘발성 핵종인 Cs과 Sr은 주괴로부터 98% 이상이 제거되어 대부분이 슬래그상과 분진으로 이동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84.
        2006.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exposure levels of electromagnetic field were measured i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from appliances. First, the measur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were taken in central locations in bedroom, living room, and kitchen in each home. Both arithmetic and geometric mean of normal-power condition are higher than low-power condition (all electrical devices turned off/unplugged), and the background fields in homes show a geometric mean of about 0.022 uT. Second, we measured broadband magnetic fields of domestic appliances at various distances. The highest magnetic field is 44.3 uT from the microwave oven, and the lowest is 1.4 uT from the Kimchi Refrigerator. The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from appliances dropped off at a rate inversely proportional to distance, but the ratio of drop-off on Korean appliances is lower than US and UK
        4,000원
        285.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razing adhesion properties of Ag coated W-Ag electric contact on the Cu substrate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rms of microstructure, phase equilibrium and adhesion strength. Precoating of Ag layer ( in thickness) on the contact material was done by electro-plating method. Subsequently the brazing treatment was conducted by inserting BCuP-5 filler metal (Ag-Cu-P alloy) layer between Ag coated W-Ag and Cu substrate and annealing at in atmosphere. The optimum brazing temperature of was semi-empirically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Cu atomic diffusion profile in Ag layer of commercial electric contact produced by the same brazing process. As a mechanical test of the electric contact after brazing treatment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electric contact and Cu substrate was measured using Instron. The microstructure and phase equilibrium study revealed that the sound interlayer structure was formed by relatively low brazing treatment at . Thin Ag electro-plated layer precoated on the electric contact ( in thickness) is thought to be enough for high adhesion strength arid sound microstructure in interface layer.
        4,000원
        28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폭주부족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폭주끈점은 표준화된 측정방볍이 제시되지 않고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시표의 접근속도를 1cm 단계로 조정 할 수 있는 전동식 폭주근접 측정장치플 개발하여 각 측정방법에 따른 폭주근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질환파 사시, 억제, 조절장애가 없고 원/근 나안 또는 교정시력이 l.0 이상인 산과 창원소재 고등학생과 대학생 135 명을 대상으로 원/근 사위도 벚 폭주끈점을 정하여 정상군과 폭주부족 예상군으로 나누었다. 정상군에서 폭주근점 파괴값은 6.8 :t 2.7 cm, 회복값은 10.9 :t 3.6 cm, 폭주부족 예상 군에서 파괴값은 13.4 :t 4.8 cm, 회복값은 18.8 :t 5.9 cm 로, 폭주부족 예상군이 정상군 보다 파괴값은 6.6cm, 회복값은 7.9cm 더 별었다. 정상군의 폭주큰점은 조절타게트 5.2 :t 2.1 cm 펜라이뜨 5.7 土2.8cm 펜라이트 + 적녹안경 6 .4 :t 3.0 cm 순으로 크게 측정 되었다. 또한 시표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면 회복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C/A 비가 낮을수록 폭주근점이 별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동일한 대상에서 측정방볍별 10 회 반복측정결과 정상꾼과 폭주부족 예상군 모두 측정횟수가 증가할수록 폭주근점이 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정상군에서 1-5회와 6-10 회 측정값의 평균 비교, 1-3회와 8-10 회 측정값의 평균 비교에서 모든 측정방 법의 파괴값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二0.000) , 폭주부족 예상군은 펜라이트+ 적녹 안경 의 파괴 값만 유의 하였다 (p = 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개받한 전동식 폭주근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타 게트의 종류 및 이닫속도가 다른 조건에서 폭주근점을 측정하였을 때 비슷한 결과플 얻었으며, 이 장치는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200원
        289.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scale Al powder with thin layer of alumina was produced by Wire Electric Explosion (WEE) process. Spark-Plasma Sintering (SPS) was performed for the produced powder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PS like so-called 'surface-cleaning effect' and so on. Crystallite size and alumina content of produced powder varied with the ratio of input energy to sublimation energy of Al wire (): Increase in () resulted in the decrease of crystallite size and the increase of alumina content. Shrinkage curve during SPS process showed that the oxide surface layer could not be destroyed near the melting point of Al. It implied that there was not enough or no spark-plasma effect during SPS for Al/Alumina powder.
        4,000원
        291.
        200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기필터시스템을 이용한 원자로 냉각재로부터의 방사성 부식생성물 제거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및 유지보수 종사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 준위를 낮추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분야 중 하나이다. 그 결과, 보다 높은 신뢰성과 여과성능을 갖춘 자기필터를 개발하고자 수화학 분야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식생성물의 자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 냉각재내의 방사성 부식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해 영구자석과 전자석 이 조합된 자기필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영구자석은 부식생성물의 여과를 위해 사용되며 전자석은 아주 미세한 콜로이드 부식생성물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응집에 이용된다. 선행 연구에서 영구자석만을 사용한 필터 실험결과 대부분의 부식생성물 입자에 대해 만족할만한 수준의 제거효율을 달성하였으며 특히, 크기가 5m 이상인 입자의 경우 제거효율은 90를 상회하였다. 전자석을 이용한 응집 실험결과 화학응집제의 첨가 없이 대부분의 부식생성물 입자가 전자기장에 의해 응집하여 크기가 5m 이상으로 증가되어 응집실험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영구자석과 전자석이 조합된 자기필터시스템은 방사성 부식생성물 제거를 위한효과적인 방법으로 높은 제거효율을 보여주리라 여겨진다.
        4,200원
        296.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피부분절 전기자극을 가했을 때 강직 억제 효과가 있는 지를 손기능 변화와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 비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11명(남자 9명, 여자 2명)의 만성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경피신경 전기자극기를 이용하여 손가락 굽힘근의 피부분절에 20분간 고주파(100Hz)와 가시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저강도로 전기자극을 실시하였다. 측정 시기(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 간 손기능 검사는 Box and Block test로 사용하였고,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의 동시수축비는 표면근전도로 측정하였다. 전기자극 전·후, 전기자극 동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일 요인 분산분석(repeated one-way ANOVA)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 Box and Block test의 결과는 전기자극 전보다 전기자극 동안과 전기자극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손가락 굽힘근과 폄근간의 동시수축 비는 측정시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피부분절 전기자극 방법은 손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므로 향후 실시되는 연구에서는 피부분절 전기자극과 동시에 일상생활동작과 밀접한 기능적인 과제 활동을 병행하여 그 효과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4,000원
        298.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hysicochemical, sensory and cooking properties of functionally fortified rice with dietary fiber and chitosan were compared with regular rice when the rices were cooked with pressure and electric cookers. Moisture content of functional rice before cooking was 11.11%, which was lower than 13.72% in regular rice. Accordingly, moisture contents of functional rice samples cooked both with pressure and electric coo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regular rice. L value showing the degree of lightness of cooked r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ice samples cooked with pressure cookers. The α value, the degree of redness and the b value, the degree of yellowness, were the highest in the functional rice cooked with an electric rice cookers. Textural measurement of hardness using a rheometer showed the highest value in functional rice cooked with a pressure cooker.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measured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before cooking showed higher onset gelatinization temperature (T0) and peak gelatinization temperature (Tp) in functional rice compared with those in regular rice. The gelatinization enthalpy (δH) of functional rice was lower than that of regular rice, showing that functional foe had lower gelatinization energy compared with regular rice. When the samples were stored in a refrigerator for one week, the DSC showed faster retrogradation degrees in samples cooked with electric rice cooker, having significantly higher enthalpies of regular and functional rice cooked with electric cooked compared to those cooked with pressure cookers. The functional rice samples cooked with pressure cooker had higher consumer acceptance test values compared to those cooked with electric cookers.
        4,000원
        299.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체세포를 이용한 돼지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높이는 최적의 방법을 구명코자 핵이식 수정란에 각기 다른 조건들의 전기적 자극에 의한 융합과 활성화를 유도하여 융합율, 분할율, 후기배로의 발달율 및 배반포기배의 할구수를 비교ㆍ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핵이식 복제 수정란과 전기자극에 의한 단위발생란과의 체외배양후 분할율을 비교한 결과 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배양7일째 배반포기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는 복제수정
        4,000원
        300.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inorganic filling agent, ATH (alumina trihydrate) was used to induce inorganic-organic coupling by mixing with stearic acid, acryl silane, vinyl silane as surface treatment agents in order to apply as a high voltage insulating material. Volumetric resistivity was shown to vary with surface treatment agents, and the highest value was obtained in case of the mixture with vinyl silane. The dielectric breakdown intensity was shown to decrease gradually and saturate to a stable value, possibly due to the increase of cross link density in the vinyl radicals introduced to silica surface, resulting in stable dielectric breakdown intensity in the final stages. Tracking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were also shown to be the best among the samp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