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19

        28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단기소득임산물 중 산림임업통계자료에 의한 생산량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약용수 (꾸지뽕나무, 마가목, 헛개나무) 자생지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을 구분하여 식생 구조를 파악하고 Ordination CCA에 의한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산채류 재배지 환경조성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21∼ 2022년에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꾸지뽕나무 자생지는 주로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5개 지역, 11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마가목 자생지는 주로 고산지역에 분포하고 3개 지역, 8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헛개나무 자생지는 중부 계곡부에 분포하고 5개 지역, 17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분류군의 중요치를 살펴보면, 꾸지뽕나무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꾸지뽕나무가 61.1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팽나무, 곰솔, 새덕이, 때죽나무, 소사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마가목군락에서는 신갈나무가 57.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마가목 42.58, 사스래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시닥나무, 층층나무, 함박꽃나무, 주목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헛개나무군락에서는 헛개나무가 64.5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느티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졸참나무, 까치박달, 가래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 분류군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꾸지뽕나무군락에서는 꾸지뽕나무, 팽나무, 새덕이 및 소사나무는 어린 개체의 밀도를 높게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마가목군락에서 마가목은 역 J자형을 하고 있어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및 피나무는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헛개나무군락에서는 까치박달과 가래나무는 역 J자형을 하고 있어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헛개나무, 느티나무, 층층나무 및 고로쇠나무는 각 층에서 전체적으로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높은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TWINSPAN에 의해 분류된 3분류군의 30개 군락과 11개의 환경 요인으로 CCA ordination 결과, 해발고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꾸지뽕나무군락은 pH, C.E.C, Ca2+ 및 Mg2+ 는 가장 높고, 해발고는 낮고 남동사면과 남서사면의 경사는 완만하였으며, P2O5는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였다. 마가목군락은 해발고는 높고, 북사면의 경사는 다소 급하고, O.M과 T-N은 가장 많으나, 그 외 양료들은 적으며, pH는 낮게 나타났다. 헛개나무군락은 북동사면과 북서사면에서 해발고와 경사는 중간 지역이고, P2O5는 높게 나타났다.
        5,500원
        282.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조미건어포 27건 중 프로피온산, 안 식향산, 소브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 품공전의 분석 방법으로 GC-FID를 이용하여 프로피온산 을 분석하였고 HPLC-DAD를 이용하여 안식향산과 소브 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27건 중 프로피온산은 16건 (검출률 59%), 안식향산은 불검출, 소브산은 7건(검출률 26%)이 검출되었다. 조미건어포에서 프로피온산은 ND- 125.10 mg/kg의 농도로 검출이 되었으며 이는 미생물 최 소저해농도 이하의 수치로 보존 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농도로 보여 의도적으로 첨가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소브산의 경우 소르빈산 칼륨이 표기된 시료 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표기된 시료 8건 중 7건에서만 검출 이 되었다. 소브산 검출 시료의 경우 658.18 mg/kg의 농도 까지 검출이 되었으며, 이는 그 사용 기준에 적합한 수치 였다. 본 연구는 향후 조미건어포에 대한 안전 관리를 위 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8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types and healthy dietary practices among Korean adult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ationwide data on 23,488 participants from the 2017-202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Based on self-reported data, the participant household types were classified into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The adjusted odds ratios (A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healthy dietary practices according to household types were calculated by apply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Of total, 11.21% and 88.79% were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respectively. Compared with individuals living in multi-person households, tho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had lower odds of adhering to healthy dietary practices (AOR: 0.88, 95% CI: 0.79-0.98) and consuming adequate saturated fatty acids (<7% of energy) (AOR: 0.78, 95% CI: 0.69-0.88). In addition, men and individuals aged 65 years living in single-person households exhibited lower odds of consuming adequate saturated fatty acids and 500 g of fruit and vegetables per day than those in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often find it a challenge to practice a healthy diet. Hence, nutri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support that help individuals living alone consume healthier diets are warranted.
        4,200원
        28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this study investigates dietary behaviors, nutrient intake,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household type. Data were procured from the 2015-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otally, 5,466 participants aged 50-64 year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a household with one member was defined as a single-person household, and households with two or more members were described as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comprised 10.63% of the total, with a higher average age, and lower income and economic levels than multi-person households.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higher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eating alone, and dining out, the moderately and severely food insecure group was more than 5 times, and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were poorer. In the fully adjusted model, the odds ratios (ORs) of depressive symptoms were 2.35 times (95% CI: 1.39-3.96), and suicide ideation was 1.95 times (95% CI: 1.35-2.82) in single-person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Our results lead us to conclude that poor dietary intake in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ffects the mental health, and the abov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framing the dietary policy.
        4,000원
        285.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필자는 교차편년으로 설정된 기존의 남한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연대와 출현 과정에 오류가 있음 을 발견하였다. 이에 방사성탄소연대를 이용해 기존의 견해와 다른 새로운 연대 안과 출현과정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학계에 뚜렷한 견해가 없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성격에 대하여도 새로 운 시각으로 접근하여 원형점토대토기문화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한 원형점토대토기는 BC 12세기 무렵, 비파형동검과 동시에 출현하였으며, 이후 후기 청동기시 대 송국리문화, 역삼동후기문화, 검단리문화 등과 기원전 2세기 무렵까지 장기간에 걸쳐 공존하였다. 남한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집단은 요동지역‘정치집단’의 이주민이 아니라 청동기시대 조기부터 형성 되어 있던‘요동-서북한-남한’의 네트워크를 통해 남한에 들어온‘청동장인집단’이다. 이들이 남겨 놓은 유적 중‘수석리유적’,‘교성리유적’등은 당시 청동의 원광석을 채광·선광했던 장소로 추정 되며,‘동학산유적’,‘방동리유적’등은 청동을 제련·주조 했던 장소로 추정된다. 이‘청동장인집단’은 재지 사회의 지배층에게 비파형동검 등의 청동기를 제작·공급해서 생계를 유지하던 기술장인들이었으나 점차 정치력을 갖게 되면서 세형동검단계에 이르러서는 당시 사회의 지 배층인‘제사장’이되고, 결국 삼한 사회의 최상위 지배층으로 성장한다.
        8,600원
        286.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양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위험·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중 아연을 대상으로 국내 서식종을 기반 으로 한 독성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아연의 해양 수질 준거치(Marine Water Quality Criteria)를 제안하였다. 시험생물은 국내 연근해에 분포하고 산업적으로 유용하며, 표준 시험방법이 존재하는 종을 우선으로 5개의 분류군(Algae, Rotifer, Crustacean, Mollusc, Fish)의 총 10종을 선정하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급·만성비(Acute-Chronic Ratio) 산출을 위하여 무척추동물, 어류 분류군에 대한 만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종 독성시험에서 산출된 독성값을 활용한 수질준거치는 US EPA의 CCC (Criterion Continuous Concentration) 산출 기준으로 9.56 ㎍/L, 호주/뉴질랜드의 산출 기준으로 15.50 ㎍/L 로 나타나 호주/뉴질랜드에서 권고하는 기준인 14.40 ㎍/L 와 유사하였다. US EPA 및 호주/뉴질랜드는 자국의 생태독성 데이터베이스(US EPA Ecotox Database, Australasian Ecotoxicology Database)를 보유하고, 신뢰도 높은 독성값들을 생성하여 수질 기준 및 산출 기준을 갱신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국내종 기반 급성 독 성값을 적용하고 있지만, 중요한 산출 지표인 급·만성비는 US EPA 또는 유럽의 결과값을 활용하여 해양 수질 준거치를 산출하고 있으며, 국내의 생태독성 자료 또한 제한적인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해양 서식종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독성시험과 준거치 설정 체계를 확보하 여 국내 해양생물과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해양 수질 준거치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287.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아시아에서 돈육 생산과 소비의 강국인 중국, 일본, 한국 3개국의 과거와 현재 돈육 산업을 조사하고 향후 돈육 생산과 소비를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경제 시스템 변화와 가속화된 경제 성장으로 돈육의 생산과 소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할 수 있었고, 양돈 산업은 계속 발전할 것이며, 생산과 소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돈육 생산량은 오랫동안 꾸준히 감소해 왔다. 일본은 돈육 수입량이 많아 순위가 높지만 수입량에 비해 소비가 크지 않아 수입량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양돈산업의 발달과 대규모 농장 운영의 확대로 돈육 생산이 발달했고, 이를 통해 양돈 생산 분야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돈육의 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업 부문의 경제적 측면에서는 돈육 생산과 소비의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 일본, 한국의 돈육 생산과 소비는 농업부문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000원
        288.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ultilayered nature of the formal aspects of communal house architecture in North Korea. It is said that Kim Jong Il, who emerged as a successor after the mid-1970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architecture, leading the construction of a sculptural communal house on Gwangbok Street in 1989, and wrote The art of architecture (1992), which theorized architecture as an object of art. Therefore, it is widely perceived that the communal house was transformed from a simple form of living function to an artistic architecture with the rise of Kim Jong Il.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this change was the result of an internal evolution in North Korean architecture, rather than a simple change in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in power. It seeks to move away from the dichotomy that divides the communal house into two periods: the "Kim Il-sung period," in which the communal house was laid out in a simple form to provide mass supply and a socialist lifestyle, and the "Kim Jong-il period," in which the communal house took on an artistic form, such as the Gwangbok Street communal house, in the early years of reconstruction. In the 1950s and 1960s, before Kim Jong-il's arrival, the communal house form was not simply a flat arrangement, but a three-dimensional and sculptural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n the cityscape.
        4,600원
        289.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irection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machiner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projects selected as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itiatives by the government. Assuming that the project titles contain key keywords, text mining was employed to substantiate this assumption. Project information data spanning nine years from 2014 to 2022 was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To observe changes over time, the years were divided into three-year sections. To analyze research trends efficiently, keywords were categorized into groups: ‘equipment,’ ‘smart,’ and ‘eco-friendl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keyword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domestic government R&D in the construction machinery field primarily focuses on smart-rel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fically, investments in monitoring systems and autonomous operation technologies are increasing.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analyzing objective research trends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ning, strategic formulation, and project management.
        4,000원
        29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가송이(Tricholoma bakamatsutake Hongo)는 주름버섯목(Agaricales), 송이과(Tricholomataceae)에 속 하는 외생균근성 버섯류의 하나로, 송이(T. matsutake)와 일반적인 외형이 거의 비슷하며, 송이향과 맛이 강하게 나기 때문에 이 두 균종은 쉽게 혼동되며, 실제 분류 및 계통발생학적으로도 가송이와 송이는 유연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송이는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의 신갈나무 등과 같은 활엽수림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제주도 구실잣밤나무림에서 발견되었다. 가송이는 균사생장이 매우 느려 연구에 어려움이 많아 균사배양 최적 조건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온도에 따른 가송이 균주 별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25℃에서 가장 균사생장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특히 3833 균주가 다른 균주에 비해 약 1.5배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29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seudoscorpiones De Geer, 1778, an order of arachnids, exhibits a global distribution spanning all continents, with the notable exception of Antarctica. This taxon is characterized by a wide array of unique behaviors, including phoresy and matriphagy, setting it apart from other arachnid groups. Moreover, their morphological features distinguish them notably from other animal taxa. Surprisingly, in the context of Korean research, pseudoscorpions remain a relatively unexplored field. Up until the year 2023, only 8 families, 13 genera, and 26 species have been documented in Korea. This number stands in stark contrast to neighboring countries like Japan, boasting 13 families, 35 genera, and an impressive 100 species, and China, which has documented 12 families, 39 genera, and an extensive 168 species of pseudoscorpions.
        29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astobasidae is microlepidopteran, narrow-winged moth and account of more 500 species among 23genera worldwide. This family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 presence of antennal pecten in head; ii) Rs and M1 separate in the hindwing; iii) valva with well-developed digitate saccular processus in male genitalia; iv) aedeagus with a band-like internal sclerite.
        29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rebinae, a subfamily within the family Erebidae, represents one of the largest classification groups in Lepidoptera. This taxonomic group exhibits remarkable ecological diversity and astonishing predator defense adaptations. Erebinae possesses what is presumed to be the most sensitive tympana (hearing organs) among Lepidoptera, allowing them to evade predators such as bats. Furthermore, they have distinctive hindwings, in contrast to their inconspicuous forewings, which they can suddenly expose as a strategy to escape danger from predators. The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Erebinae is based on molecular studies conducted by Zahiri et al. (2012).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re is no single external feature that can reliably identify all Erebinae, and the boundaries of this group remain somewhat unclear. Many specimens have yet to be thoroughly studied, and numerous genera are still awaiting placement within the phylogenetic framework.
        29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amily of Pterophoridae, also called ‘Plume moth’, is distributed all around the world. More than 1,100 species have been studied and reported in the most recent world catalogue, and it has been discovered 34 species from Korea. The reason why they are called Plume moth is that they have a distinct shape of wings, which makes them easily distinguished. This group have a 6-40mm wingspan, mostly have two-pronged forewings and three-pronged hindwings. Interestingly, their resting posture is T-shaped with the narrow forewings held perpendicular to the body, while the hindwings tucked under or folded within the forewings. They have slender bodies with long, fragile legs, and also have three types of color : plain white, mottled gray or brown. Pterophoridae has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 is an interesting group for us to look over them in general.
        29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곡나방과는 날개 편 길이 10~20mm 정도의 미소나방으로, 전 세계적으로 11속 100여종이 알려진 작은 분류군 이다. 이들은 단풍나무, 자작나무 등의 잎을 가해하며, 1령 유충은 잠엽성 생태를 보이고 그 이후에는 기주식물의 잎을 둥글게 잘라 은신처를 만들고 그 안에서 생활하는 독특한 생태를 보인다. 국내에는 현재 3종이 알려져 있으 며, 인접 국가의 현황을 보면 잠재적인 종이 좀 더 분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곡나방과를 소개 하고 추후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29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좀날개나방과(Eriocraniidae)는 나비목 중 4번째로 분화한 분류군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현재 5속 29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충의 머리에는 큰턱의 흔적기관이 남아있으며, 흡관이 관찰되어 흡관아목에 속한다. 출현시기 는 3~4월의 초봄에 나타나며, 주로 아침에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Eriocarnia 속에 속하는 자작나 무좀굴나방(Eriocrania sparrmannella) 한 종만이 알려져 있으며, 인근 국가의 분포 현황을 보았을 때 잠재적인 종이 분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Eriocraniidae의 서식환경 및 생태를 소개하여 추후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29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그림날개나방과는 날개편 길이 10~12mm 정도의 작은 나방으로 파좀나방아과와 그림날개나방아과로 구성 된다. 파좀나방아과는 앞날개 외연 중앙에 삼각형의 흰색 점이 있다는 형태적 특징이 있지만 종간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그림날개나방아과는 앞날개에 반짝이는 금속성 무늬가 있으며 주행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림날개 나방과는 세계적으로 약 500여종이 기록되어있으며 중국은 57종, 일본은 41종이 기록되었지만 한국은 11종만이 알려져 있어 추가적인 연구 가능성이 충분한 분류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신화 된 한국산 그림날개나방과의 정리를 목표로 한다.
        298.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선굴나방과는 전 세계적으로 3속 3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 2 속은 호주의 고유속이므로 현재 Bucculatrix 속만이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근 국가 중 일본에는 1속 24종이 기록되어져 있으나, 그에 반해 한국 산 선굴나방과는 1속 2종만이 알려져 있다. 이는 크기가 작은 미소나방중에서도 매우 작은 극소형미소나방에 속하며 잎에 잠엽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병해충도감에 의해서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지만 분류학적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선굴나방과는 1속 10종으로 정리하였으며, 이 중 5 신종 후보종과 3 미기록종 후보종을 확인하였다. 향후, 선굴나방과의 형태학적 및 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299.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era Spilonota Stephens, 1834 and Lepteucosma Diakonoff, 1971 are belonging to the tribe Eucosmini, subfamily Olethreutinae. In Korea, there are five species of Spilonota recorded: S. albicana (Motschulsky, 1866), S. eremitana Moriuti, 1972, S. lechriaspis Meyrick, 1932, S. ocellana ([Denis & Schiffermüller], 1775), and S. semirufana (Christoph, 1882). Only one species of Lepteucosma is recorded: L. huebneriana (Kocak, 1980). Both genera are agricultural pests that infest host plants belonging to the family Rosaceae, specifically causing damage to genus Malus (apple trees) and genus Rubus (blackberry plants),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provide a checklist of Korean Spilonota and Lepteucosma, with information of host plants and distribution for each examined species.
        300.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꼬마짤름나방아과는 날개편길이 5.5-12mm로 태극나방과 중에서는 크기가 작은 나방에 속한다. 본 아과는 주로 온대구를 포함하여 구북구에 분포한다. 기주식물은 곰팡이, 지의류 등으로 일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생활 사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본 아과의 상위분류군은 밤나방상과로 나비목 중 가장 큰 분류군이다. 각 분류군의 형질을 기준으로 상위분류체계에 많은 변동사항이 있었다. 본 상과에 속한 여러 아과 중 일부 족 수준으 로 강등되어 본 아과에 포함되는 등 분류학적 위치에 많은 혼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꼬마짤름나방아과 및 근연분류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