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281.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veral tests and experimental work have been done for identifying the best growth conditions and accumulated amount of lipid moiety in B. braunii, a microalga(UTEX 572) in terms of media composition. The specific growth rat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0.15 g/L-day when the phosphorus concentration was doubl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at the normal level. Experiments for varied media compositions revealed that the accumulation of lipid was the highest at 48% (dry cell weight based) in the nitrogen deficient medium and its corresponding specific growth rate was comparative to that in the normal BG 11 medium. In the bubble column experiments, carbon dioxide containing air produced four times more cell mass than air only. Light and glucose addition also enhanced cell mass with maximum, 1.8 g/L and accordingly 42% of lipid composition, which turned out to be a better strategy for higher lipid-producing microalgal culture.
        282.
        201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besity, a strong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diseases,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adipocytes differentiated from precursor cells, preadipocytes.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 facilita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fat accumul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reduced ROS production by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 (SME) could protect the development of obesity through inhibition of adipogenesis.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SME for up to 8 days following standard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The extent of differentiation reflected by amount of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nd nitroblue tetrazolium (NBT) assay. Treatment of SME significantly inhibited ROS production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that is depend on down regulation of NADPH oxidase 4 (NOX4), a major ROS generator,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C/EBPα), a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E can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a reduced ROS level that involves down-regulation of NOX4 expression or via modulat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283.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발표면에는 독특한 형태의 지방산이 있다. 18-methyleicosanoic acid (18-MEA)는 모발 큐티클의 최외각 층에 공유결합된 특이한 ante-iso 형태의 지방산이다. 18-MEA 층은 CMC의 β-층 위에 위치하면서 모발의 외부 표면에 표면에너지와 마찰저항을 낮춰준다. 18-MEA 분자의 높은 유동성은 계면 전단력을 감소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지질들이 쉽게 퍼지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C10 - 40 isoalkyl acid의 말단에 관능기로 N-hydroxyl succinimidyl ester를 도입하여 모발 표면의 공유결합 지방산 층을 회복시켜보고자 하였다. 모발 표면의 재 소수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서로 다른 습도 조건(40, 55, 70 %RH)에서 모발의 내부 수분 함유량은 전자 수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Hydroxysuccinimidyl C10 - 40 Isoalkyl Acidate (HCIA)로 처리한 모발의 표면은 큐티클을 접착하는 것과 같이 지방산 단분자층이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큐티클의 균열을 채워줌으로써 매끄럽고 균일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접착 효과는 atomic force microscope (AFM) 영상의 라인 프로필(line profile)을 통해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모발내부 구성 물질과 수분이 쉽게 용출되지 않고, 외기의 습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모발 습도가 항상 유지된다.AFM을 사용한 lateral force microscopy (LFM) 결과에 따르면 HCIA를 처리한 모발 표면의 마찰력이 감소되었고, 이에 대해 15회 샴푸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도 동일한 마찰력 값을 나타내었다.
        285.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51~5%) 및 지질(9~15%) 함량이 다른 배합사료(EP)와 생사료(MP)를 공급하면서 사육한 양식넙치의 육질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사육실험은평균체 중 106g의 넙치를 원형수조에 40마리씩 실험구별로 2반복으로 수용하면서,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이 서로 다른 실험 배합사료(EP1, EP2, EP3)와 수입산 상품 배합사료(EP4) 및 MP를 16주간 공급하면서 사육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사료(MP)를 공급한 넙치의 등근
        28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ythrum salicaria L. ethanol extract on anti-obesity effects in rat fed a high fat diet for 8 weeks to induce obese rat model. 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control (high fat diet) group, positive control (Garcinia Cambogia extracts) group, high fat group supplemented with ethanol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EELS). The body weight gain and control (high fat diet) were increased by a high fat diet, but decreased in the EEL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body weight in high fat diet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diet group, while the body weights of EELS and posi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16.62%, as compared with that of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in EELS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 weights of control (high fat diet) increase than that for normal group, whereas EELS and positiv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Levels of triglyceride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ELS group than those in high fat diet group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ythrum salicaria L. extract may improv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fat accumulation and body weight.
        287.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extract complexes (1:1:1, w/w/w, CSC-F-005) in blood glucose and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streptozotocin (STZ, 55 mg/kg BW, IP injection)-induced diabetic rats (SD strain)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The concentrations of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TG) and phospholipid (PL) in serum were effective on the metabolic regulation in diabetic rats.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aminotransferase (AST, ALT) in serum were lower in the extract complexes (CSC-F-005) than in the diabetic rats. The results shown above suggested that CSC-F-005 extract complexes supplementation effectively improvement of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nents in the serum of STZ-induced diabetic rats.
        288.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mprovements caused by chitosan, sericin and collagen peptide extract complexes (1:1:1, w/w/w, CSC-F-005) in lipid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dyslipidemic rats (SD strain) fed on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ratio of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to total cholesterol, atherosclerotic index, LDL-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triglyceride, phospholipid and blood glucose were effective on the metabolic regulation of dyslipidemic rats.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in serum were remarkably lower in the extract complexes (CSC-F-005) than in the dyslipidemic model. From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CSC-F-005 extract complexes we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 metabolism in sera of dyslipidemic rats.
        289.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지방식이로 비만 및 고지혈이 유발된 실험동물에서 체중, 혈중지질, 체지방, 혈청생화학적 검사 및 장기무게를 측정하여 진피에탄올추출물 섭취로 인한 혈중지질 개선, 체지방 감량 및 시험물질의 간기능 및 장기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 및 사료이용효율은 고지방식이에 의해 대조군에서 증가현상을 보였으며, 진피 에탄올추출물 섭취군인 O1과 O5군에서 시험물질 섭취로 인한 체중증가량 감소와 식이효율 감소현상을 보였다. 혈청 생화학적
        290.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경이 추출물을 농축하여 동결 건조해서 실험동물인 SD계 수컷 흰쥐의 실험식이에 0.5% 수준으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하면서 체중은 7일 간격으로 섭취는 2일 간격으로 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활성산소 및 항산화 활성 측정은 2회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인지질을 측정하여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하였다. 질경이 추출물을 SD계 수컷 흰쥐 에
        291.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비만과 관련된 지질대사를 조절하는 효소들 가운데 lipoprotein lipase(LPL), acyl-CoA synthetase(ACS), hormone sensitive lipase(HSL)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상 마우스에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의 LPL 활성은 최고 21.9% 억제되었고, ACS와 HSL의 효소 활성은 각각 151.8%, 174.0% 증가되었다.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마우스에서 LPL은 12.0%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ACS와 HSL은 742.0%, 134.4% 활성이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회향종자 물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세포내로 지방산의 유입을 억제하며, 유입된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대사과정을 활성화시킴으로서 항비만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292.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씀바귀추출물이 비만을 유도한 흰쥐의 지질강하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혈장 유리지방산과 triglyceride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씀바귀추출물 투여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장 내 total cholesterol 농도와 LDL-cholesterol 농도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HDL-cholesterol농도는 처리군 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장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량은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 농도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 모두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GSH-Px, SOD 및 CAT의 활성치는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대조군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NF-α, Apo-B, Apo-E 및 Leptin의 gene expression은 씀바귀추출물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낮은 expression을 나타내었다. β-actin expression에 대한 TNF-α, Apo-B, Apo-E 및 Leptin의 gene expression의 비율은 TNF-α와 Apo-E는 대조군보다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Apo-B 및 Leptin의 비율은 대조군을 비롯한 씀바귀추출물 투여군 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씀바귀 추출물은 지질강하 및 항산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시사해준다.
        29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보석란으로 알려진 금선련은 대만에서 폐나 간의 질병 및 발열이나 두통 치료를 위한 전통식물약제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배양된 금선련 식물체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써 응용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미 몇몇 보고 된 논문에서 금선련은 항암활성, 면역 활성, 간 보호 활성 및 지질대사의 약리학적 활성 등에 대한 연구가 되고 있지만 화장품 성분으로 효능들에 대한 연구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배양된 금선련 추출물에 대하여 미백 및 항비만 관련한 효능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조직배양된 금선련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지방 전구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피부보호를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응용 가능성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94.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햄버거 패티에 L. monocytogenes cocktail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후 UV-C 조사 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 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햄버거 패티에 접종된 L. monocytogenes의 초기 균수가 6-7 log CFU/mL가 되게 하였고, 사용된 UV-C 조사선량은 1, 5, 10 kJ/이었으며 조사된 시료는 에서 7일 동안 저장하였다. UV-C 조사는 L. monocytogenes 수에 있어서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295.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농축액이 흰쥐 동물모델에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가 혼합된 식이만 공급된 동물군을 대조군, 고지방 식이와 함께 양파 농축액 중 양파만 제거된 농축액만 공급된 동물군을 위약군, 그리고 고지방 식이와 양파 농축액을 함께 공급된 동물군을 농도에 따라 저농도군, 중농도군, 고농도군으로 8마리씩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시작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 주 혈
        296.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지혈증 흰쥐에 있어서,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 제조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의 급여가 혈청 지질개선 효과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지질성분 및 효소의 활성 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Sprague Dawley계 흰쥐 수컷을 사용하여 본 실험을 행하였다. 기본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BG군을 비롯한 고지혈증 유발군(CW군), 고지혈증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CCP군)을 5주간 실험사육하였다. 혈청
        29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서 ‘가가이모과잎'이라고 불리는 인도의 전통 식물 약재인 Gymnema sylvestre는 당뇨의 원인인 생체 내당의 대사를 조절하는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ymnema sylvestre 잎으로부터 인공적으로 조직 배양한 캘러스를 대량 배양하였다. 배양된 캘러스부터 추출물을 얻은 후 지방 전구 세포인 3T3-Ll 세포를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Gymnema sylvestre 잎으로부터 조직 배양한 캘러스 추출물은 지방 전구 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뿐만 아니라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억제 하였다. 또한 지방세포의 형성을 조절하는 초기 지방세포 내의 전사인자인 C/EBP-α 발현을 억제하면서 인슐린에 의해 유도된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피부를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응용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9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chisandra chinensi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in Asia for the treatment of dyspnea, cough, mouth dryness, spontaneous diaphoresis, nocturnal diaphoresis, nocturnal emission, dysentery, insomnia and amnes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on oxidative DNA damage an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ROS in non cellular and cellular system.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 were used to measure the antioxidant activities. Phi X-174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and intracellular DNA migration assay were us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n oxidative DNA damage. MTT assay and lipid peroxidation assay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protective effect on oxidative cell damage. It was found to scavenge DPPH radical,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and it inhibited oxidative DNA damage, lipid peroxidation and cell death induced by hydroxyl radical. These data indicate that Schisandra chinensis possesses a spectrum of antioxidant and DNA-protective properties
        299.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취녹즙 : 당근즙액 : 인삼즙액의 혼합비율을 66.5 : 28.5 : 5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참취녹즙이 사염화탄소 투여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정상식이군(NC군), 혼합 참취녹즙 식이군(BA군), 정상식이 4주 후 를 투여하는 정상식이 사염화탄소 대조군(군) 및 혼합 참취녹즙 식이 4주 후 를 투여하는 혼합 참취녹즙 사염화탄소 대조군(군)의 4군이었다. 식이섭취량은 모든 처리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
        30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Gal geun (Puerariae Radix) EtOH ext. on lipid lowering and antioxidant were investigated in hyperlipidemic rat. Concentration of FFA and triglyceride in plasma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Gal geun ext. groups. Concentration of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decreased in Gal geun ext. groups.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HDL-cholesterol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 groups. Concentration of liv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showed a tendence to decrease in Gal geun ext. groups. Concentration of plasma and liver TBARS showed a low values in Gal geun ext. groups. The values of GSH-Px and SOD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treatment groups. However the values of SOD and CAT activity showed a high value in the Gal geun ext.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