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51

        32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variable radius pulley is proposed, and the proposal should be applied to pulley of CVT. Variable radius pulley consists of two disks and sliding pins. Phase difference of two disks make a change pitch diameter. Therefore change speed is accomplished by changing pitch diameter of pulley. In this paper analysis of rotating force for slot variation of the rotary disk of variable radius pulley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ppropriate to put to practical use of the variable radius pulley.
        4,000원
        32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애반딧불이 유충의 주요 먹이원 중 논 서식지와 하천 서식지에서 주요 먹이원으로 이용되는 왼돌이물달팽이와 다슬기 2종을 이용하여 각 령별 형태적 특징 및 섭식량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령기별 유충은 앞가슴 등판과 배마디의 점각, 가슴 등판과 배마디의 반문, 큰턱 강모의 수, 뒷다리 강모의 수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섭식량은 먹이원 2종 패각의 각경과 무게에 대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먹이원 2종을 이용한 각 령별 섭식량은 1령 유충까지 평균 0.014±0.001g, 2령 유충까지 평균 0.048±0.021g, 3령 유충까지 평균 0.369±0.047g, 4령 유충까지 섭식량은 평균 1.391±0.158g, 용화직전의 종령 유충까지 섭식량은 평균 1.902±0.307g으로 조사되었다. 다슬기를 공급하였을 경우 용화직전의 종령 유충까지 섭식량은 평균 2.056±0.236g, 왼돌이물달팽이를 공급하였을 경우 섭식량은 평균 1.620±0.204g으로 다슬기를 공급하였을 경우 더 많은 양을 섭식하였다. 먹이원 종류에 따른 발육 기간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24.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속(Bursaphelenchus) 선충은 전 세계적으로 100여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대부분 종은 식균성 선충(mycophagous)으로 주로 죽은 식물체나 죽은 목재 조직에서 서식한다. 다만,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과 같이 일부 종의 경우 살아있는 나무와 죽은 나무 모두에서 식물기생성 시기(phytophsgous phase)와 식균성 시기(mycophagous phase)를 순환하는 선충도 있다. 소나무재선충속 선충의 분류 방법은 크게 형태적인 특징과 분자생물학적인 특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은 다양한 기준과 요소로 세분화되어 진다. 형태적인 특징으로는 ‘수컷의 생식기 형태’를 비롯하여, ‘수컷 미부 돌기의 배열’, ‘암컷 생식기 구조’, ‘암컷 꼬리 모양’, ‘측정치’등을 들 수 있다. 독일의 Braasch(2000)는 이에 ‘측선의 수’, ‘수컷 bursa의 모양’등을 추가하여 28종의 Bursaphelenchus속 선충을 10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Ryss등(2005)은 수컷 생식기에 대한 측정치를 산정함으로써 형태적인 분류를 보다 수치적으로 체계화하는데 성공하였다. 분자생물학적인 분류를 위하여서는 라이보좀 DNA(ITS, D2D3, SSU), 미토콘드리아 DNA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종 동정을 위한 유전자 마커로 개발되었고 또 일부는 계통 분류학적 근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속 선충 종에 있어서 유전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간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한다.
        325.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가면역성 췌장염이나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은 간을 침범할 수 있으며 종괴의 형태를 보일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악성 병변과의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영상 진단 검사에서 췌장염의 소견 없이 간 문맥 혈전증과 문맥 주변으로 침윤하는 소견을 보이는 종괴에서 생검을 통한 조직 검사를 통해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과 연관된 염증성 병변으로 확진할 수 있었던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 께 보고한다.
        4,000원
        326.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프랜차이즈와 비 프랜차이즈에서 소비자가 느끼는 서비스 품질 인지도 및 만족도를 비교하고, 안경원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4,000원
        32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and mercury are a highly toxic metal that affects a variety of cellular events, such as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urvival in animals as well as in human. The exposed heavy metals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and health in pubertal period. However, it is not clear how the toxicity of heavy metals in pubertal affects comparing in adul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vy metals on pubertal and adults, heavy metals such as cadmium and mercury were exposed to in pubertal and adults mice for 48 and 72h. Results showed that mice exposed to heavy metals for several hours induced overall tissue and organ damage. Especially, blood vessels of the most organ were more increased in adult mice compared to pubertal mice. And for morphologic alteration, secretary organs such as salivary gland and kidney were affected the most. Taken together, exposing to heavy metal in mice altered the blood vessels. In addition, the adverse effects of cadmium and mercury were more severe in adult mouse than puberty mouse. Further study is needed to focus on endothelial cells for more precise its mechanism
        4,000원
        32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시과 및 잎의 형질의 변이를 파악하고자,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세 지역(강원도 양구군, 경상북도 영양군 및 전남 광양시)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열매와 엽형태를 조사하였다.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양구 19.8%, 영양 22.0% 및 광양 17.1% 등으로 비교적 낮고, 중층에서도 양구와 광양에서는 고로쇠나무의 상대우점치(IP)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나무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하층에서는 양구 1.8%, 영양 1.9%, 광양 0.0% 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천연림의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가 앞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시과의 각도와 길이는 지역 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양구에 비하여 영양과 광양지역에서 7개의 장상맥을 가진 개체가 보다 많이 분포하였다. 부거치가 발달하는 잎의 비율은 양구 0.6%, 영양 15.8%, 광양 20.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유전변이가 있음을 암시하며,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329.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형태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 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 법 형태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 는 것과 敎授者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형태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을 연구 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형태론 교육의 목표, 형태론 교육의 내용(품사론, 어휘 분류와 방법), 형태론 교육론의 교수법, 형태론 교육론 의 평가법 등이다. 1. 형태론 교육의 목표 1.1 형태소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구조에 대하여 안다. 1.3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합관계를 안다. 1.4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안다. 1.5 단어의 분류와 그 방법을 안다. 1.6 허사의 기능을 안다. 2. 형태론 교육의 내용 2.1 품사론 2.1.1 ‘品詞’는 단어(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다. 단어는 보편적으로 문법적 특성에 따라 가름한다. 문법적 특성은 형태(form), 의미(meaning), 기능 (function)에 따른 특성이며, 이 기준에 따라 구분한 單語(語彙)群을 ‘품 사’라 하고, 이러한 ‘품사에 대한 연구’를 ‘品詞論’이라 한다. 2.1.2 한국 학교문법에서는 품사를, 10품사로 구분하고 있다. 10품사는 實詞와 虛詞로 구분한다. ‘實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名詞, 代名詞, 數詞, 動詞, 形容詞, 副詞 등이 있고, ‘虛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介詞(前置詞), 連詞 (接續詞), 語助詞, 感歎詞 등이 있다. 2.2 單語(語彙) 分類와 그 方法 2.2.1 漢字語의 性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어휘의 개념은 단어, 낱말, 語詞, 한 자어 등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으로 統稱되고 있다. 한자어의 성격은 한문 체계로 보면, 한자어는 漢字, 漢字語, 漢字成語로 이루 어진 ‘漢字 語彙’의 한 갈래로써, 한문의 單語, 句, 文章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게 되는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문 체계 속에서 볼 때, 한자는 한자어와 명확하 게 구분된다. 한자는 그 자체로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지 못하지만, 한자어는 단 어, 어휘이면서 문장의 통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문 체계에서 한자어는 2~3음 절의 어휘만을 일컫는 것이 타당성이 있다 할 수 있다. 2.2.2 漢字語 語彙의 分類: 近代以前은 ‘漢文文語’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중심 으로 하고, 근대이후는 ‘신생 한자어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2.2.3 單語의 形成 方法에 따른 分類: 單語는 일반적으로 單純語와 複合語로 나뉜다. 단순어는 다시 單音節單純語와 多音節單純語로 구분하고, 복합 어는 다시 合成語와 派生語로 구분한다. 合成語는 다시 類似語와 相對語, 統辭的 構造語로 나누고, 派生語는 ‘基語+接辭’의 구조로 된 것과 ‘接辭+ 基語’로 된 것으로 나뉜다. 2.3 形態論 敎育論 敎授法 2.3.1 語彙에 관한 敎授法에 대한 硏究는 單語의 짜임의 경우, ‘造語分析法’ 등의 교수 수업 방법이, 단어의 갈래 및 어휘(성어)의 경우는 ‘言語活用法’ ‘索出法’, ‘比較學習法’ 등이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2.3.2 語彙의 字義와 語義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교수법으로는, ‘字義 분 석을 통한 지도방안’과 ‘語義 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2.3.3 多音節 語彙의 敎授․學習法으로는, ‘故事成語’의 경우, 기존의 ‘토의학 습법, 역할놀이 학습법’등이 있다. 이외에, 壓縮性을 띤 다음절 어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학습법’, 隱語的 성격을 띤 어휘는 ‘어휘를 變容 활용하여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법’, 형용적인 성격을 띤 다음절 어 휘는 ‘擬聲語와 擬態語의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법’이 효과적이다. 2.4 形態論 敎育論 評價法 硏究漢文(文言文)에 대한 형태론 교육론 평가는 형태론의 교수- 학습 연장선상에 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한문과 형태론 교육론의 평가는 궁극적으로 다른 언어 와 마찬가지로 형태소들의 문법적 기능과 의미기능, 결합의 원리들을, 실제의 자 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 합력 등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형태론 교육론 평가법은 현행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교육과 정에 기반을 둔 漢文科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어휘 영역의 성취 기준 및 성취 수준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2.4.1 中學校 漢文 語彙領域의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중학교 한문교과의 ‘어휘’ 영역의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그리고 단위 성취 수준에 대한 記述은 교육과정 어휘영역에 대한 각각의 내용요소에 대하여 성취 기준을 상세하게 마련하였으며,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다시 ‘상, 중, 하’ 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어휘영역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기술할 경우, 성취수준(상, 중, 하)간에 질적인 차이를 구분할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 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 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 수 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 에 차이를 두어 구별하였다.
        8,600원
        33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SH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generally regulates employer’s business principles in the workplace to maintain safety environment. This act has the fundamental purpose to protect employee’s safety and health in the workplace by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Authors tri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and level of regulation compliance using Survey on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Safety & Health data by the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generalized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poison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of those method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significant affecting compliance factors were different among those statistical methods. This means that specific interpretat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each statistical method. In the future, relevant statistical technique will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type of occupational injuries
        4,200원
        33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ttern cases for Korean traditional socks are named “beoseonbongip” which means a pouch to keep patterns for making “beoseon”. “Beoseon” is Korean traditional socks.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an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One hundred fifty one photos of “beosonbongip” were collected an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Seventy percent of them were made between Joseon Dynasty and 1960s. As a result, most of the collected pattern cases are rectangular and square shapes, red color, and silk fabrics, and sizes of them are from 9cm to 15cm. A few pattern cases with different sizes and colors were also observed. Most pattern cases were made by fixing two among four triangle pieces which made by folding four tips of a rectangular or square cloth and then puting a not or a loop on the remaining triangle piece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pattern cases. In a small number of the pattern cases, three of the four pieces were fixed and a button, a bead, a broach, or two nots or two loops were put on the other piece for opening and closing. Products such as apparels, bags, pouches, frames, and key holders were made using “beoseonbongip”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is shows that “beoseonbongip” is a useful motive for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5,100원
        33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꽃매미 날개의 형태적 변이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형태계측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꽃매미 개체는 한국, 중국, 일본 10개 지역에서 채집되었고, 꽃매미 앞날개로부터 선발된 14개의 형태계측학 형질을 분석하였다. 결과로 국내 지역 개체들은 중국 양쯔강 이남보다는 이북 지역 개체들과 형태적으로 가까웠다. 서울과 부안 개체는 상하이 개체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다. 점무늬의 경우 베이징 개체가 상대적으로 작았고, 중국 남부의 린안 개체가 크게 나타났다. 날개의 크기는 일본 개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33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rumble strip installed at the highway near the tollgate has the purpose to reduce the vehicle velocity or prevent sleepiness by awakening people to the danger. These rumble strip has different vibration decibel from the rumble strip shapes, resulting in some fatigue damage to human because a driver suffers from a lot of stress and displeasure. In this connec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vibration decibel perceived by a driver in the vehicle under some conditions. METHODS: The vibration decibel conveyed from the tire can b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s were used according to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analysis, FFT (Fast Fourier Transform) analysis, CPB (Constant Percentage Bandwidth) analysis. But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in this paper is the 1/24 OCT(Octave) band analysis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the analysis and the overall vibration amplitude along the frequency. RESULTS : By using the results of the vibration decibel after analyzing the 1/24 OCT band analysis, these results can be compared from some conditions (e.g., rumble strip shape, uniform velocity of a vehicle, road condition, mass of a vehicle). As a result, the numerical values of decibel are not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vehicle velocity. CONCLUSIONS : At the condition that a vehicle is passing by the rumble strip, the value of a vibration decibel at the rumble strip of the cylinder shape is smaller than the rumble strip of rectangular shape regardless of the rumble strip depth and width. At the mass condition, the more a vehicle is massive, the more the vibration decibel increases. At the road condition, the vibration decibel at the wet road is smaller than the value at dry road condition.
        4,000원
        334.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효 후 침전되는 라거효모의 유변학적인 특성 및 그 변화를 회전점도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효모침전물을 희석한 현탁액은 전단속도의 증가에 따라 전단응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ower law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효모의 습중량 분율이 0.83 이하에서는 전단농화(n = 1.19-1.25)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효모침전물의 점도는 4oC 혹은 상온에서 모두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상온에서 효모침전물의 전단농화는 2일과 4일 후 다소 약화되었지만 특별히 높은 전단속도(170.7 s−1)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6일째는 전단농화특성이 회복되고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유속세포분석기를 사용하여 효모세포는 1배체, 2배체 3배체 및 4배체가 혼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효모침전물에서 각각의 배수체의 비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여 효모 세포간 mating 혹은 감수분열과정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려준다.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하여 크기가 작은 효모가 공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미지분석기술을 사용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크기가 작은 효모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결과는 효모의 유변학적 특성이 효모의 배수체 분포의 변화 특히 크기가 작은 효모세포의 비율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알려준다. 본 연구에서 회전 점도를 사용하여 효모 세포의 생리학적인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을 보였다.
        4,000원
        336.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집쥐속(Rattus)에 속하는 동물들을 2005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제주도의 각처에서 채집하여 형태학적, 유전학적 종 동정과 형태적 특성, 2차 성적이형, 서식지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에서 포획된 Rattus 속 야생쥐들은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로 확인되었고, R. rattus는 확인되지 않았다. R. norvegicus는 제주도내 각처에서 특히, 주택 밀집지역의 인가 내-외부에서 채집되었고, 일부는 자연환경인 해안이나 경작지, 산림에서 관찰되기도 하였다. R. tanezumi는 동물 사육 농장의 내외부에서만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성으로 R. norvegicus는 꼬리길이(TL)와 귀의 길이(EL)가 R. tanezumi에 비해 짧고, 이들 형질의 머리-몸통 길이의 비율인 T_HR, E_HR 등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인구밀집 지역인 도심과 농촌 지역의 R. norvegicus와 개체군 사이에서는 도심지역 개체군의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R. norvegicus에서는 2차 성적이형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R. tanezumi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결과와는 다소 다른 종의 분포와 서식환경을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제주도와 한반도 포유류상의 재검토와 함께 서식지 분포 양상과 생태적 특성 등을 명확하게 구명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4,200원
        337.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집쥐속(Rattus)에 속하는 동물들을 2005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제주도의 각처에서 채집하여 형태학적, 유전학적 종 동정과 형태적 특성, 2차 성적이형, 서식지 유형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제주도에서 포획된 Rattus 속 야생쥐들은 Rattus norvegicus와 R. tanezumi로 확인되었고, R. rattus는 확인되지 않았다. R. norvegicus는 제주도 내 각처에서 특히, 주택 밀집지역의 인가 내-외부에서 채집되었고, 일부는 자연환경인 해안이나 경작지, 산림에서 관찰되기도 하였다. R. tanezumi는 동물 사육 농장의 내외부에서만 확인되었다. 형태적 특성으로 R. norvegicus는 꼬리길이(TL)와 귀의 길이(EL)가 R. tanezumi에 비해 짧고, 이들 형질의 머리-몸통 길이의 비율인 T_HR, E_HR 등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인구밀집 지역인 도심과 농촌 지역의 R. norvegicus와 개체군 사이에서는 도심지역 개체군의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R. norvegicus에서는 2차 성적이형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R. tanezumi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결과와는 다소 다른 종의 분포와 서식환경을 보여주고 있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제주도와 한반도 포유류상의 재검토와 함께 서식지 분포 양상과 생태적 특성 등을 명확하게 구명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4,200원
        338.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늘을 이용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식혜를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 동결건조한 생마늘 분말 및 증숙마늘 분말을 마늘식혜 제조 시 농도별로 첨가하여 당화 1, 3, 6 시간 후 시료를 취해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늘 식혜의 pH는 당화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혜는 대조구에 비해 알칼리화 되는 경향이었고 증숙마늘 분말 2% 첨가군(6.65±0.56)이 가장 높았다. 당화 1시간 후 당도는 1.60±0.10~ 2.03±0.06 brix에서 당화 6시간 후에는 3.60±0.2 brix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마늘분말 첨가군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당 함량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더 높았고, 당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환원당은 총당과 유사한 경향으로 당화 1시간에는 마늘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나, 당화 6시간 후에는 대조군이 7.20±0.10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탁도와 착색도는 당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 식혜의 관능평가 결과 당액의 색은 대조군이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마늘냄새는 증숙마늘 첨가군보다 생마늘 첨가군이 더 높았다. 감미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마늘분말 첨가군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 및 증숙마늘 분말의 첨가는 식혜의 초기당화를 지연시키지만 무첨가군과 동일한 당화 경향을 나타내며, 6%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관능적인 특성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39.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입되어 사육·유통되는 슈퍼밀웜의 국내 샘플들은 형 태 분류학적 검토를 통하여 Zophobas atratus란 종으로 밝혀졌고, Z. morio란 학명 은 이 종의 동물이명임이 확인되었다. 이 외래종은 자원 관리측면에서 국명을 ‘아 메리카왕거저리’로 신칭하였다. 이 종과 형태적으로 유사한 자생종 대왕거저리 및 사육종 갈색거저리와 DNA 바코드 분석 결과, 아메리카왕거저리와 대왕거저리는 평균 21.4%, 아메리카왕거저리와 갈색거저리는 20.9%의 염기분화율을 보여 DNA 바코드로 쉽게 종 동정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메리카왕거저리의 국내 집단은 모두 동일 일배체형을 갖고 있어 국외의 동일 지역 개체군이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 반면에 갈색거저리는 동일 사육집단 내에서도 두 개의 종내 집단이 뚜렷이 구분되고 서로의 염기 분화율이 1.17-2.19%로 갭을 형성한 것으로 보아 국 내 갈색거저리 사육개체들은 서로 다른 지역 집단이 혼입되어 대량 사육에 이용되 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상업적으로 도입, 이용되는 2종의 거저 리류의 분류학적 기초 정보가 국내 곤충자원 관리를 위하여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34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호두나무(Juglans sinensis)는 중국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수고 20m 까지 자라며 씨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는 소 백산, 속리산 이북의 고도 100∼1500m 정도의 산림지대 및 계곡 등에 자생하나 고 도 500m 정도에서 잘 자라는 낙엽활엽수로서 수고 20m, 직경 80cm까지 자라며 중 국, 시베리아에 걸쳐 분포한다. 그러나, 최근 호두나무잎벌레(Gastrolina depressa) 가 발생하여 호두나무와 가래나무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러나, 호두나무잎벌레 에 대한 국내 연구 자료는 생태에 대한 간략한 자료가 있으나, 정확한 형태적 특성 및 생태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호두나무잎벌레에 대한 형 태 및 발육단계별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두나무잎벌레(Gastrolina depressa) 의 알은 타원형이며 진한 오렌지색을 띠었다. 유충은 총 3령기를 거치며, 몸 전체에 걸쳐 회색을 띠었다. 유충기간은 약 8.14일이 소요되었다. 성충은 암수 모두 남색이 었으며, 암컷이 수컷에 비해 크기가 컸다. 월동한 성충은 4월말에 처음 발생하여, 기주식물의 어린잎에 난괴로 산란하였다. 다자란 3령 유충은 짧은 전용기를 거친 후 번데기가 되었다. 새로운 성충은 5월 중순부터 우화한 후, 바로 휴면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