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8

        321.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은 예로부터 건강증진 및 질병치료를 위하여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고, 실제로 morphine, ephedrine 등과 같이 천연물에서 유래한 의약품이 현재에도 질병치료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메밀 (Fagopyrum esculentum Moench)의 proanghocyanidine, rutin, lignan 등은 항산화, 항균활성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으로 보고 (Cassidy, 1996; Rym of al., 1996)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메밀의 기능성 물질의 확보와 가공을 통한 원료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국내산 메밀을 발이 길이별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식품성 성분의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각 길이별 추출물로 항산화활성 및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항산화 활성에서 DPPH의 50%를 환원 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RC50)은 무발아에서 50.41 μg/mL, 발아길이 10 mm에서 80.57 μg/mL, 발아길이 2 mm에서 93.77 μg/mL, 발아길이 5 mm에서 107.09 μg/mL순으로 천연항산화제인 Vit. C 5.98 μg/mL보다는 약하지만, 합성항산화제인 BHT 163.96 μg/mL보다는 월등히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발아 길이별 각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은 최고농도 40 mg/mL에서 그람양성균인 S. aureus의 투명저지대의 직경이 4~10 mm 였고, 그람음성균인 P. aeruginosa는 2~9 mm의 범위에서 증식이 억제되어 항균활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외의 균주에서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첨가농도로는 완전한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발아 시료와 비교할 때 발아가 진행되면서 항균력이 떨어졌다.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최고농도 800 μg/mL에서 Calu-6 세포의 경우 발아 길이 5 mm 시료에서 95.12%, 무발아 추출물은 87.15%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동일 농도에서 발아 길이 5 mm인 시료의 경우 SNU-601에 대하여 85.33%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유방암세포인 MCF-7과 대장암세포인 Caco-2의 경우 최대농도의 시료를 첨가한 경우에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메밀의 발아 길이별 IC50값을 살펴보면, Calu-6에서 발아 길이 5 mm 추출물에서 301.06 μg/mL, SNU-601에서 2 mm 추출물이 510.20 μg/mL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즉, Calu-6와 SNU-601 세포주에 대한 IC50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32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율미, 자미, 주황미 등 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에서 2004년에 재배된 32품종 및 계통을 시료로 색과 물성 등 외관특성과 메탄올 추출물의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 등 항산화 활성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과피의 색은 일반 고구마와 유색 고구마간 큰 차이가 없었고 일반 고구마의 명도와 황색도가 유색고구마에 비해 다소 높았다. 생고구마와 찐고구마로 처리를 달리하여 과육을 색을 측정 하였을때 찌기 전에 비해 적색도는 모두 낯아 졌고, 특히 자색고구마는 22.0에서 5.24로 크게 낮아졌으나, 황색도는 시료의 품종에 관계없이 변화가 없었다. 2. 생고구마의 경도는 황색고구마의 경도 값이 낮았으며, 일반고구마 중 연미 등 4품종은 2500kg/~varphi 2mm 이상의 단단한 경도를 지니고 있었다. 찐고구마의 물성 측정 결과, 탄성, 검성 및 경도는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모두 자색고구마>일반고구마>황색고구마의 순이었다. 3. 고구마의 총페놀성분은 자색고구마>황색고구마>일반고구마의 순으로 평균 각 13.1, 6.22 및 3.02mg/g씩 함유되어 있었고, DPPH에 의한 전자소거능 또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자색고구마에서 황색 및 일반고구마보다 2.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 고구마 품종 중 신건미, 생미와 신천미는 각각 88.5, 80.9, 78.9~% 의 큰 전자소거능을 지니고 있어 항산화력이 있는 고구마 품종으로의 선발 가능성이 있었다. 4. 색과 총페놀성분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생고구마와 찐고구마 모두 과육의 적색도와 고도의 정 상관을 지니며, 색과 DPPH 전자소거능과의 관계에서는 생고구마의 황색도가 5~% 유의수준에서 부의 상관이 있었다.xygenase 결여 콩나물로서의 육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다.질미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경우 복비의 무처리시 거의 잔디의 초장이 신장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잔디의 피해지역에 복비를 처리할 경우 잔디의 빠른 생장이 이루어졌다. 신초 건물중은 복비 처리전 8월 6일에 비하여 11월 6일에 이스트밸리 LD지역의 무처리구가 1.2~% 감소하였지만 처리구는 50~% 정도가 증가하였다. 지산의 시험 결과도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신초와 뿌리의 비율(S/R)은 처리구의 경우 뿌리보다 신초의 건물중이 더 증가하였지만, 무처리구의 경우 뿌리와 신초의 생장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포복경과 지하경의 건물중을 합한 R&S의 건물중을 조사한 결과, 이스트밸리의 경우 복비를 처리하기 전 8월6일에 무처리구인 LD지역이 처리구인 LD지역에 비하여 5.5~% 정도가 적었지만 복비를 처리한 후엔 오히려 처리구의 LD지역이 48~% 로 증가하였다. 지산의 결과 역시 이스트밸리와 유사하였다. 4. 이상의 결과들로 알 수 있는 것은 수목 근부에 생장하고 있는 잔디의 피해 요인들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골프장내 수목의 밀생 지역이 아닌 경우에는 광에 의한 피해보다는 오히려 양분과 수분의 경쟁에 의한 피해 발생 비율이 크다. 따라서 이들 잔디의 피해 지역에 복비를 처리함으로서 무처리 지역에 비하여 상당히 많은 효과를 보았기 때문에 수목 근부에서 생장하는 잔디의 집중관리 체계로 보다 효율적인 코스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
        32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edlings of two rice genotyopes, cvs. Ilpumbyeo and Gancheokbyeo, were exposed to 0, 50 and 100 mM NaCl in nutrient solution for nine days. Plants were collected at the interval of 3 days and organic and inorganic solutes in leaves and roots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leaves were determined. Under salinity, the accumulation of soluble sugars occurred considerably in the older leaves of stressed seedlings compared to younger leaves and roots. The endogenous Na+ contents markedly increased at higher NaCl concentration in leaves and roots of seedlings, though it was higher accumulated in roots. Salinity resulted in an excessive proline accumulation in the stressed plants. A more pronounced increase was observed in Gancheokbyeo leaves. SOD activity in Impumbyeo cannot found any remarkable change, whereas, in Gancheokbyeo, its activity was rapidly decreased. CAT and POD activitie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NaCl concentration in both genotypes. In sum­mary, the high capacity of rice seedlings to overcome an unfavorable growth condition such salt stress appears to be related to an adequate partition of organic solutes between shoots and roots and to changes in absorption, transport and re-translocation of salts.
        324.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3종류의 약용식물(당귀, 목통, 골담초)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여 건강 식품의 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3종류의 한약재중 물추출물의 수율은 목통()>골담초()>당귀()의 순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의 수율은 목통()>당귀(), 골담초()의 순으로서 목통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한약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 300-1,000 ppm에서 당귀가 로 가장 높았으며, 에탄
        325.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iscern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food product or ingredient of a new medicine, the leaf parts and fruit parts of Prunus mume was partitioned with various solv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Whe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eOH extracts of leaf parts and fruit parts of Korea and China was compared, all of them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in EtOAc fraction. In case of Korean Prunus mume leaf parts showed that quantity required for RC50 to be 27.04μg in EtOAc fraction and in case of China Prunus mume leaf parts, it was 23.31 μg which is similar to that of α-tocopherol (22.14 μg) and showed the highest activation. In case of Prunus mume fruit parts MeOH extract, Korean fruit showed 29.16 μg, and Chinese fruit showed 31.21 μg in EtOAc fraction and thus Korean fruit extract showed a higher activity of antioxidant than the Chines fruit extract. When the antioxidative activity between the fruit parts and leaf parts of Prunus mume was compared, the leaf parts showed a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326.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간 손상을 유발시키는 t-BHP (1.5 mM) 존재하에 간세포를 0, 0.01, 0.05, 0.1 및 0.3 mg/ml의 다양한 농도의 양파추출물로 1시간 동안 일차배양하였다. t-BHP는 GOT와 LDH 활성 및 TBARS 농도를 증가시켰으며 MTT값은 감소시켰다. 0.05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GOT 및 LDH 활성을 감소시켰으며 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감소된 MTT 값을 증가시켰다. 또한 0.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증가된 TBARS 농도를 감소시켜 양파추출물이 t-BHP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지질과산화를 억제시켰다. t-BHP 처리는 간세포의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0.1 mg/ml 농도의 양파추출물 첨가는 t-BHP에 의해 감소된 catalase GSH-Px 및 GSH-Rd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catalase 활성은 t-BHP 무첨가군 수준까지 증가시켰다. 또한 hydroxyl radical을 생성하는 Fenton 시약의 존재하에 plasmid DNA를 양파추출물과 함께 배양한 결과 양파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single-strand 절단을 억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간세포 일차배양에서 양파추출물은 t-BHP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 간세포 생존율 감소, 지질과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고 또한 t-BHP에 의해 억제된 GSH-Px, GSH-Rd 및 catalase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양파추출물의 간보호 및 항산화 효과는 항산화 효소 특히 catalase의 활성 증가와 hydroxyl radical에 의해 유도된 산화억제 및 이에 따른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27.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오갈피 유식물체의 함유성분을 밝히고, 분리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DPPH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대체 약용자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시오갈피 유식물체를 MeOH로 추출, 농축하고 Hexane, EtOAc 및 BuOH순으로 분획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을 대상으로 성분연구에 착수하였다.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한 결과 EtOAc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BuOH 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UV, IR, Mass, 1H-NMR 및 13C-NMR spectrum과 문헌치를 대조하여 그 구조를 동정한 결과그 구조는 각각 Chlorogenic acld (1)과 1,4-di-O-caffeoyl-quinic acid (2)이였다.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한 항산화활성의 RC50 value는 각각 1.2 및 0.4 μg/ml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330.
        200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둥굴레 근경의 증자 및 볶음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증자시간, 볶음온도 및 볶음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회귀식의 는 총 페놀성 성분,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pH 3.0)에서 각각 0.9356, 0.9578 및 0.9436으로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페놀성 성분의 최대값은 증자시간 135.59분, 볶음온도 및 볶
        331.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배추의 고부가가치 이용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선택적 가열 및 추출특성이 알려진 마이크로파 에너지(50 W, 2,450 MHz)를 이용하여 양배추 추출물의 총 수율과 총 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능의 효율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에탄올 용매에서 건조 양배추의 입자 크기는 20 mesh 정도가 적당하였고, 시료와 용매비는 생체시료(수분 )와 건조시료(수분 ) 모두에서 1:10(5 g/50 mL) 정도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의 영향에서
        332.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추출용매 및 주정에 의한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의 수율,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각종 pH에서 처리된 추출물의 저장시 항산화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추출수율은 탈지 및 비탈지 처리한 포도종자 분말 모두 에탄올로 에서 6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로 다른 유기용매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ethanol, acetone-acetic acid 및 acetone 순으로 나타났으며 ethanol 탈지추
        333.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금앵자 추출물이 과산화지 질을 급여한 횐 쥐의 혈장 및 간장지질구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량은 과산화지질 첨가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증가하였으나, 금앵자 추출물 첨가에 의해 하락하였다. 혈장HDL-cholesterol량은 금앵자 첨가군이 대조군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장 중성지질량은 정상군과 금앵자 첨가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간장의 총 콜레스테롤 량은 전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중성지질 량은 정상군과 금앵자 첨가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내 TBARS량은 정상군과 금앵자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간장내 TBARS량은 과산화지질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금앵자 첨가에 의해 하락했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관산화지질 첨가군에서 증가하였으나, 금앵자처리에 의해 하락했다(P〈0.05).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금앵자처리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34.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nzymes and isozymes between chilling-toler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at the booting stage under cold water stress (13~circC) in japonica rice. Total SOD, CAT, POX, and GR activities on the basis of protein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o defend cold water stress. Especially, SOD and CAT activities showed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chilling-toler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Chilling-tolerant varieties were higher than chilling-susceptible varieties for SOD and CAT activities. One of eight isozyme bands for SOD was a inducible isoform. Three isozymes for CAT and one isozyme for POX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defense to cold water stress. Total GR activities except Stejaree 45 on the basis fresh weight and POX were increased by cold water stres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hilling-tolerant and -sus­ceptible varieties.
        335.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당귀의 n-hexane분획이 횐쥐에서 에탄올투여로 생성된oxygen free radical대사와 지질과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일당귀 n-hexane 분획70 mg/kg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35 ethanol 10 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7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35 ethanol 10mL/kg,
        336.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구기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구기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은 water 추출액에서 5.0 Bri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액의 탁도는 5
        33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Oryza sativa L.) plants were cultivated to examine changes in antioxidative defence mechanism induced by elevated ozone levels. Catalase activities in tolerant Jinpumbyeo and susceptible Chucheongbyeo under ozone fumigation were reduced at 5 hrs and 3 hrs after ozone fumigation, respectively. With the increased ozone supply, peroxidase activity in Jinpumbyeo was steadily enhanced whereas in Chucheongbyeo it was not changed. Four SOD-isozymes were detected by NBT staining of native-PAGE. Two isozymes of them were obviously induced by ozone supply, particularly in Jinpumbyeo. The continuous ozone fumigation increased remarkably putrescine levels in leaves whereas it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spermidine and spermine. In this study, it was implied that ozone in cell inhibits strongly diamine oxidase and thus promotes ethylene biosynthesis which will cause the senescence in rice plants.
        338.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효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의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31.6/mL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발효 콩을 주원료로 한 기능성 식품의 에탄올 추출물(200 /plate)에서 84.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Trp-P-1에 대해서는 S. typhimurium TA98과 TA
        339.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열귀나무의 잎에 대한 일반성분과 tocopherol 동족체를 분석하였으며,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보다 더 정제하기 위해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및 물층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UV 308, 350 nm) 차단효과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성분의 분석 결과 수분이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났
        340.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잎 phenolic compounds가 횐쥐에서 에탄올투여로 생성된 oxygen free radical대사와 각종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감잎 phenolic compounds 투여군(70 mg/kg), 에탄을 단독투여군, 에탄올과 감잎 phenolic compounds 소량 병합투여군(70 mg/kg), 에탄올과 감잎 phenolic compounds 대량 병합투여군(140 mg/kg)의 5군으로 나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