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8

        34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아직까지 조사예가 많지 않다. 그러나 최근 자료가 증가하고 있고, 유구의 밀집도는 떨어지지만 호남전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미사리유형을 비롯하여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 흔암리유형 등이 모두 확인된다. 이들 각 유형은 분포양상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 미사리유형은 현재 순창 원촌과 담양 태목리에서 확인되었으며 미사리유형의 한 요소인 미사리식토기는 익산 영등동, 섬다리에서도 확인된다. 가락동유형은 대체로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서부지역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대체로 동부내륙과 동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중부내륙지역에서도 확인된다. 호남지역에서 조사된 전기유적은 주거지와 출토유물을 통해 모두 3기로 분류하였다. Ⅰ기는 각목돌대문토기를 특징으로 하는 미사리유형과 이중구연단사선문을 특징으로 하는 가락동유형으로 미사리유형은 동부내륙의 순창 원촌유적에서 확인되며, 가락동유형은 북서부지역과 중부내륙지역에서 확인된다. Ⅱ기는 가락동유형이 북서부지역은 물론 주변지역으로 확산되고 새롭게 역삼동유형과 흔암리유형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가락동식토기는 이중구연의 요소가 퇴화되지만 아직까지 이중구연의 요소는 남아 있다. Ⅲ기는 (세)장방형 주거지의 비율이 현격하게 줄어들고 방형으로의 평면이 정형화된다. 전기의 특징적인 노지는 설치되지만 Ⅲ기 후반의 가장 늦은 단계에는 일부 지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원형 송국리형주거지가 등장하고 그 영향으로 방형주거지에 설치된 노지가 사라지고 원형 송국리형주거지의 특징인 타원형구덩이가 설치되는 등 주거지의 변화가 확인되고 토기의 문양은 대부분 사라지고 무문화된다. 그러나 동부내륙지역과 동남해안지역과 같이 일부지역에서는 역삼동식토기의 특징인 공열문 요소가 늦은 시기까지도 지속된다.
        6,400원
        34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형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출토되는 대표적인 토기로 그 생김새와 체적이 다른 토기에 비해 특징적이어서 저장의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추정된다. 호형토기는 출토량이 많지 않고 완형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드물어 그동안 연구의 주체가 되기보다는 보조 자료로써 활용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호형토기를 주체로 하여 속성을 분석하고 형식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형식과 공반유물을 통하여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단계에 따른 변화상을 용량의 변화상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호형토기의 변화가 가지고 있는 사회·경제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호형토기를 각 크기에 따라 변화양상이 다르다고 판단하여 대·소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크기에 따라 속성을 분석하고 형식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대형에서는 동체형태에 따른 변화상을 확인하였고, 소형에서는 구연형태에서의 변화상이 시간적 흐름에 더 민감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용량분석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소형토기는 단기저장용기로, 대형토기는 장기저장용기로서의 기능을 지녔다고 상정된다. 청동기시대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회가 분화되고 핵가족화 되는 과정에서 장기저장용기는 동체형태의 변화를 통해 용량의 변화를 보이며, 단기저장용기는 구연형태의 변화를 통해 기능적 변화의 모습을 보인다. 즉, 호형토기 형태의 변화는 용량의 변화로 연결되며, 이러한 용량의 변화는 곧 사회·경제적 변화를 보여준다.
        7,700원
        344.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지역 1영급 금강소나무를 대상으로 천연임분과 인공임분간의 직경별 뿌리의 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직경별 뿌리분포는 두 임분 모두 0.5-2.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많았고, 10.0-20.0 mm 직경급의 뿌리가 가장 적었다. 두 임분간 직경별 뿌리발달에서 5.0 mm 이하의 직경급은 인공임분이 천연임분보다 우수하였지만, 5.0 mm 이상의 직경급 발달은 천연임분이 더 우수하였다. 토양 층위별 뿌리의 직경별 발달은 천연임분이 인공임분보다 다양한 토양층위에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인공임 분은 5.0 mm 이하의 직경급이 토심 10 cm, 토양 수평층위 20 cm 범위 내에 편중되어 발달하였다. 따라 서 임분 성립방법의 차이는 뿌리발달의 현저한 구조적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인공조림 시 올바른 식재방법과 조림지침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45.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oocyte donor age and micromanipulation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mouse cloned embryos receiving cumulus cells. Mouse oocytes were obtained from 6 to 11 week-old mice BDF1 female mice(experiment 1) and cumulus cells were used as donor cells. Micromanipulation procedures for nuclear transfer(NT) were performed in FHM, M2 or Hepes-buffered TCM199(TCM199) medium(experiment 2). After nuclear transfer, the reconstructed oocytes were activated by 10 mM SrCl2 in Ca-free CZB medium in the presence of 5 μg/ml cytochalasin B for 5 h and cultured in KSOM medium for 4 days. In experiment 1, the survival rate of oocytes after injection of cumulus cells were significantly(p<0.05) lower in oocytes from 6~7 week-old mice(53.3%) than in oocytes from 8~9(80.9%) and 10~11 week-old mice(77.1%). In experiment 2, the survival rate of oocytes after cell injection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in FHM and M2 medium(71.7% and 76.9%) than in TCM199 medium (51.2%). The activation rates of cloned embryo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micromanipulation media. However, the embryos developed to blastocyst stage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in FHM medium(13.9%) than in M2 and TCM199 medium(0.0% and 0.0%).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oocytes from above 8 week-old mice are superior to oocytes from 6~7 week-old mice as a source of recipient cytoplasm and FHM is superior to M2 and TCM199 as a micromanipulation medium for mouse somatic cell cloning.
        4,000원
        346.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여러 가지 발생하는 문제 중 노인범죄의 증가라는 현상이 최근 들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노인범죄는 신체적인 노화와 정서적인 소외를 경험하면서 사회적인 활동이 점차 감소되는 60세 이상의 노인이 저지르는 범죄를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범죄는 2000년대 들어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71세 이상의 고고령 범죄자가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노인범죄의 특성으로는 노인범죄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노인범죄의 유형은 형법범과 특별법범이 나란히 증가세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범죄의 특징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강력범죄는 전체 노인범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으나 그 빈도는 높게 증가하고 있고 재산범죄는 전체 노인범죄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노인생활에서 가계의 소득, 금전적인 부족의 문제가 노인범죄로 이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폭행범죄는 빈도는 높지 않으나 노년기 이상심리인 공격성이나 경직성에서 그 상관관계를 연관 지을 수 있고 풍속범죄는 주로 도박과 복표에 관련된 범죄의 수가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여가의 문제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인범죄에 대하여 특정 범죄를 지목하여 조사하는 형태를 벗어나, 노인범죄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노 인범죄를 살펴보았다. 현대 노인 범죄에 대한 해결방법으로는 첫 번째, 노인범 죄에 있어서 노인의 범죄 행위 자체를 다른 연령층에서 일어나는 범죄와 다르게 간주해서는 안 된다. 노인이 행했기’ 때문에 노인범죄를 편향된 시각으로 보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노인범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교정 복지적 대응도 필요하다. 두 번째, 노인범죄에 대한 예방차원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상술한 노인범죄의 특성들을 바탕으로 예방차원의 정책 마련이 필요 하면 실효성 있는 정책방안이 제지되어야 한다.
        9,200원
        34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오늘날 다문화사회에서 결혼이민자 등 국내 거주 이민자를 포함한 외국인의 범죄의 동향을 살펴보고, 외국인 피의자와 피고인의 형사절차 및 수형자의 처우에서의 문제점 및 대책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시대에서의 외국인범죄에 대한 총체적인 형사정책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외국인범죄의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 일반의 범죄와 다른 형사정책이 필요하다. 검토해야 할 정책사항으로서는 첫째, 외국인범죄를 형성하는 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불법체류자 내지 불법취업자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 둘째, 직업적 범죄인의 국내 입국을 저지할 수 있는 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외국인 피의자, 피고인의 형사절차상 보호책이 강구되어야 하는데 특히 통역의 정확성과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통역자와 번역자는 피의자나 피고인의 모국어와 한국어에 통달해야 함은 물론 법 개념이나 형사절차 제도를 이해할 수 있는 자로서 해당 외국인이나 수사기관에 대해 중립적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선변호인과 유사한 독립된 통역인단의 설치가 필요하다. 외국인 수용자의 교정처우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무엇보다도 외국인 수용자와 내국인 재소자 및 교정직 공무원과의 갈등을 해소하고 재사회화를 위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의 실질화를 위해 관련 교육기관과 협약을 체결하거나 교육시간의 확충과 교재개발 등 총체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외국인 수용자 교육 전담부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 수용자들이 언어와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교정시설에서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국제 수용자이송제도를 적극적으로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고 외국인 전담 교도소를 설치하거나, 국적과 종교를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외국인 수용자를 분리, 수용하도록 하는 교정정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외국인 범죄 유형별 수용자 현황에 상응하는 재범방지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5,200원
        348.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f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s was conducted about genetically modified (GM) foods and the labeling regula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20 consumers who lived in a variety of areas in Korea, and 4,076 people responded. The consumers were asked about knowledge, labeling information, and the source of obtaining information about GM foods. More than 11.5% of the consumers had never heard about GM foods and 86.9% of consumers had less than a normal level of knowledge about GM food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genders, but the teachers group had moderate knowledge (p<0.001). In total, 28.4% of consumers did not know the GMO labeling regulations. They answered that the reason to buy GM food was do not know>nothing wrong>create benefit>think as safe>inexpensive. The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at was the first benefit were: solve food shortage>functional and nutritious food>cultivate in bad condition>nothing>various cultivars. They answered that the worst factor was the next generation effect>environmental disruption.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GM food in Korea, males answered do not know>stronglyrecommend>defer>strongly suppress. Female answered: don't know>defer>strongly recommend>strongly suppres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did not have much information about GM foods; 88.3%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did not have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GM food.
        4,500원
        349.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benefit sought, satisfaction, and loyalty of green tea consumers,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Data were collected from 658 residents of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who were 20-years-old and older and who had purchased green tea. The SPSS 15.0 and LISREL 8.80 statistical packag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frequency, reliabilit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alth benefit and enjoyment among benefit sought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green tea consum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The analysis indicated that a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among benefit sought,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esults could enable green tea marketers to develop marketing techniques that could expand green tea consumption.
        4,000원
        350.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were studied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 of Yeosu from September 2009 to August 2010. Spawning season estimated from the gonadosometic index (GSI) was from November to January. A method for increasing the readability of the otolith was described and criteria for the interpretation of otolith was provided. The annual ring was formed in September once a year. Annual ring in otolith for flathead grey mullet is validated for fish aged 1-8 using the marginal increment analysis. Using the sectioned otolith, between reader precision was 84%. Also, Within-reader agreement for sectioned otolith age readings was higher (reader 1=84%, reader 2=87%). The relationship between fork length and total weight was TW=0.022FL2.818. The estimated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for the flathead grey mullet were L∞=67.97cm K=0.164/year and to=-0.81year.
        4,200원
        351.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evelopmental potential, telomerase activity and transcript levels of X-linked genes (ANT3, HPRT, MeCP2, RPS4X, XIAP, XIST and ZFX) in the bov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embryos derived from different age and cell cycle of female donor nucleus. In experiment 1, the fusion rate, cleavage rate to 2-cell stage, developmental rate to blastocyst stage, and the mean number of total and ICM cells was slightly increased in embryos cloned with fetal fibroblasts compared to those with adult fibroblas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p<0.05) differences. Telomerase activity was also similar in blastocysts cloned with fetal and adult fibroblasts. Up-regulated RPS4X and down-regulated MeCP2, XIAP, and XIST transcript level were observed in blastocysts cloned with adult fibroblasts, compared to those with fetal fibroblasts. In experiment 2, the fusion rate, cleavage rate to 2-cell stage, developmental rate to blastocyst stage, and the mean number of total and ICM cells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embryos cloned with fetal fibroblasts at early G1 phase of the cell cycle, compared to those of fetal fibroblasts at late G1 phase. DNMT1 transcript was observed to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the fetal fibroblasts at 3 hrs after trypsin treatment of confluent culture. Further, level of telomerase activity and transcribed X-linked genes was also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early G1 SCNT blastocysts than those of late G1. The results imply that fetal fibroblasts at early G1 phase induces the enhanced developmental potential and up-regulated telomerase activity and X-linked gene, but aberrant transcript pattern of X-linked genes may be displayed in the SCNT embryos.
        4,000원
        35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 수업에 과학사를 도입하자는 주장은 과학 지식과 과학적 방법의 이해,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찰, 과학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의 이해 등의 필요성에 따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통합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과학사는 통합 과학 교육의 방안으로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과학 교육에 활용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 과학 주제로서 과학사를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해 과학사 수업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과학의 주제로서의 과학사 수업의 개발을 위해 '지구의 연령'을 주제로 선정했다.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범 적용 결과, 학생들은 수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4,000원
        35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author devised new decision recommendation ordering method of items attributed by age to improve accuracy of recommender system. In conventional recommendation system, recommendation order is decided by high order of preference prediction. However, in this paper, recommendation accuracy is improved by decision recommendation order method that reflect age attribute of target customer and neighborhood in preference prediction. By applying decision recommendation order method to recommender system, recommendation accuracy is improved more than conventional ordering method of recommendation.
        4,000원
        35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기라는 행위는 단순히 버린다는 행위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폐기 양상을 통한 폐기 양식을 분석하여 청동기시대인의 행동 양식에 접근하고자 하는데 이 글의 목적이 있다. 폐기는 故意(의도적) 폐기와 不意폐기로 구분된다. 故意폐기는 주거인의 의도에 의해 폐기된 것으로 이동으로 인해 폐기하거나 폐기장ㆍ토기요지ㆍ야외노지ㆍ의례ㆍ무덤 장소로 전용되는 경우 등이 있다. 不意폐기는 주거인이 의도하지 않은 불의의 상황이나 자연 재해로 폐기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失火ㆍ飛火ㆍ放火등의 화재, 홍수, 화산 및 지진 등에 의한 자연 재해 등이 있다. 이러한 폐기 원인에 따라 방치ㆍ해체ㆍ소각 행위가 보이며 유물 위치 및 수량에 따라서도 구분됨을 알 수 있다. 각 유적 내 개별주거지에서 보이는 폐기 양상을 분석한 결과 송국리문화의 폐기 양식은 시기별ㆍ지역별ㆍ규모별로 확인된다. 시기별 폐기 양식은 주거지의 평면 형태 및 중복 관계, 유물 등으로 보아 폐기장으로 전용된 주거지가 유적 내에서 늦은 시기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지역별 폐기 양식은 서해안지역에서 확인되는데, 특정 위치에 완형 유물을 정치한 폐기 양상이 서해안지역에 집중되어 보이고 있다. 규모별 취락의 폐기 양식은 위에서 세분한 폐기 양상들이 다양하게 보이는 취락을 오랜 기간 존속되어 온 대규모 취락의 폐기 양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계룡 입암리 유적의 경우는 소규모 취락의 폐기 양식으로 이동성이 강한 반복 점유 폐기 양식으로 생각된다.
        10,200원
        355.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ssay attempts to trace the various implications of bodies which are made from the integration of human body with technologies in the contexts of art. I investigated the body transformations and mediation-effects from combinations of human body with chips, prostheses, surgical operations in artistic performances. The hyper-mediated bodies in this essay means the bodies that encounter with technology directly, are mediated, added, and metamorphosed or modified by technology, and are fascinated with technology, confirmed by medial diversity and mediation. Technology may be machines or not. Hypermediated body tends to stress not finished result but the process itself as the heterogeneous. It also has the postmodern de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body of deformation, fragmentation, inter-penetration, hybridization, and diversity. The notion of‘ hyper-mediation’ comes from Jay David Bolter and Richard Grusin’s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2000). I studied the real practices of integration of body and technology in art, not only ways of artistic expression but also the various meanings of the very point of integration. My standpoint on‘ Posthuman’ concept which we will meet inevitably in the near future, is neither negative or positive. I am just concerned with the reconstruction of bodies in art, and with the ways how artists accept and express these situations. There are delicate dialectical meanings in the point or edge where body and technology meet and contact. They arouse from the process of acknowledging of inter-construction, integration of human and technology. They also run parallel with theoretical methodologies from gender study, philosophy, literary criticism and visual culture, psychoanalysis and deconstruction, cyber-theory, biomedicine, and phenomenology etc. Through these means, they attend to the dialectics between subject and object, flesh(meat) and machine, metaphor and materiality, figuration and literality, inside and outsid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body and technology, human and posthuman. These opposite elements are linked in the relations of mediation and transformation each other. The Hyper ― Mediated Bodies in the Age of New Media Jeon, Hyesook(Ewha Womans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In this essay, I treated Australian artist Stelarc and French artist Orlan's hyper-mediated body performances. Their bodies are the modified and added constructions, and they have accepted the very liminality itself and the way of‘ becoming’ through cyborg-like encounter(human/machine) and surgical operations. They opened a new understanding of hyper-mediated bodies in the age of new media.
        5,400원
        356.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는 국민연금의 심각한 재정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007년 국민연금 개혁으로 연금급여의 급격한 감소가 예상됨으로써 국민연금의 취약한 보장수준으로 인한 연금의 적절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연금 적절성 문제를 완화하고자 기초노령연금이 도입되었으나, 낮은 급여수준으로 연금의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국민연금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연금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 영국의 연금개혁을 1980년대 보수당 정부 이후부터 현재 신노동당 정부에 이르기까지 연금의 재정안정화와 적절성의 전략 측면에서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보수당 정부의 연금 재정안정화 전략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노인빈곤문제와 소득불평등 문제를 초래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후 영국의 신노동당 정부는 1980년대에 보수당 정부가 실시한 연금 재정 안정화 전략의 결과로 초래된 노인빈곤문제를 완화하고자 최저소득보증제도, 연금크레딧제도, 국가이층연금제도, 유동연금제도, 국민보험기여인정크레딧제도 등의 도입을 통해 연금 적절성의 문제를 완화하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영국의 경험은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의 재정안정화와 적절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노후소득보장체계의 틀 속에서 국민연금제도와 기초노령연금, 공공부조제도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함께 고려되어 기초보장을 강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사적연금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이외에 자녀양육 크레딧제도 도입 등 국민연금 크레딧제도를 확대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5,800원
        35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금강 중류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일반적으로 가락동유형으로 대표되어왔다. 이 지역에서 가락동유형은 둔산식 주거지와 가락동식토기를 표지로 한다. 둔산식 주거지는 과거 둔산식-용암Ⅰ식-용암Ⅱ식으로 분류하였으나 최근의 조사 자료를 재검토하여 세분된 분류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가락동식 토기와 기타 공반된 토기의 문양요소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락동식토기 고유의 문양요소는 출현과 소멸의 과정이 진행되는데, 주거지의 변화상과 연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최근 이 지역에서 기존의 가락동유형과는 다른 양상의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유적이 조사되었다. 대평리유적은 충적지에서 취락이 조사되었는데 미사리유형의 취락으로 판단된다. 대율리유적은 환호취락으로서 그 성격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외에 일부 유적에서도 가락동유형과 다른 성격의 주거지가 조사되어 금강 중류역 청동기시대 전기 문화는 이제 다양한 양상으로 접어들고 있다 가락동유형의 취락은 지형적으로 구릉의 평탄면에 입지하며. 하천과의 관계속에서 볼 때 주로 2차 하천의 주변에 위치한다. 취락의 형태는 취락지리학의 성과를 참조하여 (단독·분산)점상취락-면상취락으로 구분한 후 각 유적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금강 중류역의 가락동유형 취락은 세대공동체 중심의 소취락을 기본구조로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역별 변천상을 통해 중대형 취락을 중심으로 주변으로 확산되고 시간에 따라 취락의 분포상도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형태는 점상취락에서 면상취락으로 변화된다.
        8,000원
        358.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에 관한 연구는 많은 진척을 이루었다. 연구의 주제가 다양해졌을뿐 아니라 최근에 연해주 지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연구 대상지역의 범위 역시 넓어졌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토기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유형을 명확히 정의하고 개별 유적을 해석함에 있어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기존에 연구자마다 해석을 달리했던 유적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이와 함께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 유적의 유물복합체 전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무문의 홍도 및 외반구연 심발형 토기, 흑요석기와 마제석기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오동유형을 새롭게 설정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유형 체계를 수정 보완하였다.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문화는 興城類型이 출현함으로 개시되었으며, 오동유형을 거쳐 유정동유형으로 대체되고, 수북-신광유형을 마지막으로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는 종말에 이르게 된다.
        7,800원
        359.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심지 버스전용차로의 교차로 구간 아스팔트 포장을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하여 강성 포장으로 교체하는 조립식 포장 시공을 수행한 후 이러한 포장의 초기 거동 및 공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항목으로는 차량 진출입 구간에서 아스팔트 포장과 프리캐스트 패널과의 단차, 프리캐스트 패널간의 단차 및 줄눈 간격, 프리캐스트 패널의 침하, 패널 표면의 미끄럼저항 성능등을 선정하였다. 시공 후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다이아몬드 그라인딩 공법을 적용하여 이의 효과도 분석하였다. 추적조사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프리캐스트 패널의 단차, 줄눈 간격, 침하, 미끄럼저항 등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이로 인해 프리캐스트 패널이 안정되게 하중을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이아몬드 그라인딩 공법의 적용은 프리캐스트 패널의 단차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60.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zheimer’s disease (AD) is a fatal disorder wherein patients suffer from sensory, motor, and cognitive loss. Currently, the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biomarkers for diagnosing AD and other forms of dementia are increasingly important. Olfactory dysfunction is present in patient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or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lzheimer’s patients show neuropathological changes in areas of the brain central to the olfactory processing center, suggesting the theoretical importance and potential diagnostic utility of investigating functional changes in olfaction in these patients. However, the usefulness of olfactory screens to serve as informative indicators of Alzheimer’s is precluded by the lack of knowledge regarding neural and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olfactory dysfunction onto Alzheimer's diseases. To test these ultimate questions, we used molecular and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 technique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olfactory responses and AD related protein expression patterns by using fly model, Drosophila melanogaster that over-expresses the human β -amyloid, tau protein. We postulated that such flies would present with progressive olfactory impairments compared with age-matched wild type control flies. In this study, our hypothesis i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olfactory deficits and the spatial expression pattern of β-amyloid and tau protein deposition. Therefore, we demonstrate a specific concentration of lesions in central olfactory structures such as antenna and Maxillary palps. Our study indicates that deficits on olfactory identification may occur in AD, which will be valuable as an indicator of neuropathogen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