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5

        341.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율 신경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자들은 65∼75세의 노인 14명으로 7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7명의 노인을 대 상으로 걷기 운동을 12주 동안 주 2회 실시하였다. 중재를 실시하기 전과 12주 후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 료 분석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복합 운동프로 그램 그룹의 경우 12주 후 스트레스 저항도와 전체 자율신경 활성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비록 지각된 스 트레스와 신체수행능력 점수에서 대조군과 유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복합 운동프로그램 그룹에서 중재 후 유의한 개선을 보여 긍정적인 양상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들의 자율 신경계 활성도 를 높여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복합 운동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342.
        202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fter emergence as adults from the larva collected from three regions in Gangwon-do, Chungcheongnam-do, and Jeju-do. The laying egg method was identified with zone breeding, and the average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measured once a week for seven weeks. The average number of eggs laid peaked until 4 weeks,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 source areas with respect to average number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in the order of Jeju > Chungnam > Gangw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method for continuously improving manage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of insect farming by securing genetic diversity, and raising the most productive breeds to select individuals form regions associated with high numbers of laid eggs.
        343.
        202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ain aim of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ing intention of young adults. The reference group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underlying causes of young adults’ purchasing intentions. However, the literature states that young adults prefer to buy brands they trust in order to eliminate the risks that may arise when buying products they may not know. Mov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proposes a conceptual model that includi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brand trust, reference group,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discussing the moderator role of brand trust in this structure. A series of hypotheses are tested via a survey completed by 749 young people between the ages of 20 and 30 living in Istanbul, Turke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23 and AMOS-18 program. In addition to descriptive, reliability, and fact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reference group positively influences the purchasing intention, and brand trus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is relationship. The findings are discussed and some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for mobile phone manufacturers.
        344.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policy for the promotion of forest education and establish a basis that can be applied to it, which considers citizens’ opinions on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alysis of forest education policy, program development topped the list with 0.368 points,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forest education experts, which scored 0.262 points. Cooperation as well as the supplementing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yielded 0.238 and 0.132 points, respectively. Concerning the attention and recognition of forest education, only 8% of the respondents had low attention and 19% low or very low recognition; 75% said forest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Regarding program satisfaction, 76.5% were satisfied with the profitability of content and 77% agreed with the purpose consistency. In terms of the appropriateness of forest education, 79.2% and 81% were content with the period and method, respectively. Finally, 82.7% were satisfied with the participation program. This study aims to share basic data and promotion pla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policy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forest education focused on adults. Domestic forest education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led by Korea Forest Service. In the long term, local governments must participate in forest education policy positively despite limited budgets and human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data for forest education promotion plans. If the case studies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preference analysis by age group are followed up, they will help ensure that forest education evolves through cooperation with people and organizations in the relevant zone.
        345.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use behavior and environmental perception of a park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on park satisfaction among 7 parks in Suseong-gu, Daegu. The data from the 255 questionnaires of young adults (30-59) and old adults (more than 60) who use the park more than once a week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erms of park use behavior, young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jogging mainly on weekday evenings, while old adults used the park for walking and rest mainly during weekday daytimes. In addition, old adults used the park more times a week than young adults, and spent more time in the park. I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of the park,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both age groups but overall, old adul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ark environment than the young ad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erception factors, it was determined that park satisfaction in young adult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 amenity', 'use convenience', 'facility suitability', and 'landscape diversity'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park satisfaction for old adults has an influence on 'use amenity', 'facility suitability', and 'use convenience' in this or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basic data for future park planning considering age groups.
        346.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연구의 목적은 운동 비디오게임이 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60명 노인이며, 평균연령은 72.09세(SD=1.57)이다. 연구대상자들은 세 가지 실험 조 건인 (1)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n=20), (2) 유산소운동집단(n=20), (3) 통제집단(n=20) 중 하나에 무선 할당하여 실험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설계는 상호작용적 비디오 게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개 집단(운동 비디오게임, 유산소운동, 통제)과 시기(사전, 사후) 혼합설계로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Two 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했다. 집단 간 주 효과에 대한 사후검증으로 Turkey’s HSD을 실시했고, 집단과 측정시점의 상호 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LMATRIX & MMATRIX 하위명령어를 입력한 syntax를 실행시켜 사후검증을 실시했다. 통계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자신의 건강상 태이다. 결과: 유산소운동 집단과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이 운동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자신의 건강상태에서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유산소운동 집단과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은 운동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운동 비디오게임 집단이 운동의 형태로서 효과가 있으며, 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47.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가에서 권고하고 있는 일발촬영 진단참고준위 설정에 사용된 조건을 조사하여 PCXMC v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효선량을 측정하고 생물학적 평가를 해보고자 한다. 그 결과 ICRP 60에서 유효선량은 가장 높은 Pelvis AP는 0.794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0 mSv이었다. ICRP 103에서는 남성이 가장 높은 T-Spine AP는 0.733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7 mSv, 여성은 가장 높은 T-Spine AP는 0.906 mSv 가장 낮은 Chest PA는 0.052 mSv이었다. 남녀 성인 40세 기준으로 일반 촬영별 유효선량을 평가 해 보았고, 선량한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의료피폭이라도 방사선위해의 확률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선량을 권고량 이하로 유지하여 국민의 의료피폭을 줄이기 위해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48.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의 지표인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남녀 노인 1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을 수행하는 한편,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1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세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가정한 변인 간관계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와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 수준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생활체육 비참여 노인보다 더 좋았지만, 노화태도와 삶 만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경우, 생활체육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더 좋고, 노화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전반적인 삶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 생활체육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세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하였으며, 각 변인의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349.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호작용중심 집단원예치료란 치료사와 대상자, 그리고 비대상자가 주고받는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으로 자유의지를 가지고 주어진 활동 을 통해 자율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상호작용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적 기술이란 사회적 과제를 한 개인이 유능하게 수행하는 능력의 정도 로서 지적장애성인은 발달 과정상 부적절한 경험을 많이 하고 비장애인들과 살아가는데 있어서 자아인식, 정서능력, 자기의 의사표현, 대 인관계 부족 등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는 상호작용중심 집단 원예치료가 지적장애성인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B시의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적장애 21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 유사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2016년 03 월부터 11월까지 주1회 6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임은애(2010)에 의해 개발된 원예치료 평가지표(HTEI: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indices)의 4가지 척도 중 심리‧정서적 척도(PES: Psycho-emotional), 사회적 척도(SS: Social scale)를 사 용하였다. 자료처리에 따른 통계적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각 측정 시기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상호작용중심 집단 원예치료가 지적장애 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 정서에 효과를 미쳤으며 둘째, 상호작용중심 집단원예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대인관계, 참여 성, 돌봄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350.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간은 원예활동으로 심리적 안정감, 식물과의 접촉을 통한 몸과 마음의 회복, 재배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건강증진효과 등 다양한 치료적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한경희, 2015). 이러한 이유로 노인복지관, 주간보호센터, 요양원, 요양병원 등에서 원예치료에 관심을 갖고 프로그 램을 진행하는 곳이 늘고 있으며, 또한 우리나라는 2016년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13.2%로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진행 중이며, 평균수명 도 1970년에 62.3세에서 최근 82.1세로 약 20세 증가하여 노년기 즉 노인으로 살아가는 기간도 길어지면서(통계청, 2016), 노인을 위한 다 양한 활동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들을 대상으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노인들의 우울감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의왕시에 위치한 A어르신 주간 보호센터의 75세 이상 치매노인 6명, 노인성 질환 2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4일부터 4월 8일까 지 주 1회 1시간씩 총 10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원예치료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노인우울척도-단축형(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 SGDS)으로 측정하였고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우울감의 변화가 4.25점에서 2.63점으로 감소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원예치료 가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실험군에 대한 대조군이 없고 대상자수가 적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만을 가지고 치료 효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움이 있으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활동 및 교육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지원 프로그램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바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에 원예치료가 하나의 해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해본다.
        354.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own health risk perceptions and those of others at the same age.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ias toward health risks by gender an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Methods: Three hundred fift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mpany employees and sports center members. Among them, total 332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166, female: 166, Mage=49.32 years). Self and other risk judgment profile was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were carried out by SPSS 23.0.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middle-aged adults tend to have unrealistic perceptions of their vulnerability to most health risks and perceive their own likelihood of encountering all health risks events as lower than that of others. In addition, the finding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ias toward to health risks by gender an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made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knowledge about middle-aged adults' health risk perceptions.
        356.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tested the health action process approach (HAPA) as a motivational model for physical activity in a longitudinal sample of 483 adults (275 males, 208 females) over a 10 week period. Methods: Participants' action self-efficacy, decision balance for exercise, perceived risk awareness and intention were measured at baseline (Time 1). Maintenance self-efficacy, action planning and action control were measured 5 weeks later (Time 2). Physical activity behavior was measured 10 weeks after baseline (Time 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HAPA model. Results: The first model showed that inten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The second model, which included the volitional components of the HAPA model, di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oportion of behavior explained. The third model showed that intention, maintenance self-efficacy and action control were positive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HAPA provides a useful framework for identifying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tention and behavior within a group of middle-aged adults.
        357.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age, stages of changes an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of adults. Methods: Six hundred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company employees and sports center members. Among them, total 569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288, female:281, Mage=38.36). Exercise self-schema inventory, exercise imagery inventory,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nd weekly leisure-time exercise questionnaire were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possibl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age, and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s. 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of adul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imagery could be significa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358.
        201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ccess the prevalence of diffuse thyroid disorders by using ultrasonography in healthy adults. Among 1535 adults who underwent thyroid ultrasonography, thyroid disorders were detected in 191 subjects (12.4%). There was a rapid increase of thyroid functional abnormalities in addition to subclinical thyroid disease with more than 3 features of diffuse thyroid disorder.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thyroid function test and thyroid auto-antibodies should be checked when there are more than 3 features of the diffuse thyroid disorder i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even if the patient does not have any symptoms.
        359.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current study explored differences in psychosocial variables by the physical activity stages in a random sample of middle aged adult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with psychosocial variables. Methods: A total of 426 adults aged from 40 to 59 years old who reside in Nowon-gu, Seoul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stage of change scale for physical activity,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self-efficacy scale, decisional balance scale, and social suppor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 20.0.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except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increased significantly across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Furthermore,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a descending order of significance were family support,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and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The total variance in physical activity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was 48%.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offers a starting point for practical interventions aimed at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of middle aged adults in healthcare settings, and also encourages and supports healthcare providers who are working in the community to increase their knowledge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psychosocia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