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0

        34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on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of low-income elderly women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group of 88 elderly women using the free meal service in Dong-gu, Gwangju city in Korea.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to July 2009, and the pretest, appli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post-test were applied in each stage. This community-bas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snack supplement and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three times a week and 36 times in total. The nutrition education was led by the nutritionists and professionals using various educational media. Snack supplement included were milk, soymilk, carrot juice, bread, yogurt, and bananas. The result of pretest showed that the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much below the Recommended Nutrient Intake (RNI) level of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Comparison of the dietary behavior score and nutrient intakes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program indicated that the food behavior score increased from 3.1 to 5.6 (P<0.001) and intake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thiamin, niacin, vitamin C, iron, and potassium of the subjects all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Mean Adequacy Ratio (MAR) of their nutrient intakes was also improved from 0.53 to 0.64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in local community.
        4,300원
        34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lidity of obesity indices among the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WC), and body fat percentage (BF%), and to determine which is the most useful index to predict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of elderly peopl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ross-sectional study at welfare centers in Seoul.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261 (68 men and 193 women) with age ≥60 years. The distribution of obesity using 3 obesity indices in the subjects with hypertension, diabetes, or arthritis was BF%>WC>BMI in elderly men and WC>BF%>BMI in elderly women. In elderly women, odds ratios (ORs) for hypertension in BMI and WC quarti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quartile 2 and 3 (p<0.05). The ORs for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arthritis in BF% quarti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quartile 3 and 4 (p<0.05). The BF% was sensitive obesity index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chronic disease in men, and the WC was sensitive index in women. Our results suggested maintaining BMI less than 23.5 kg/m2, WC less than 82 cm, and BF less than 35% in order to prevent chronic diseases in elderly women.
        4,200원
        343.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농촌 노인의 근용안경 제작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고혈압과 당뇨 등의 일반적인 노인 질환과 안질환 등을 파악하여 질환과 근용안경 굴절력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 설문 내용은 질환, 눈 수술, 눈 증상으로 구분하여 전라북도 농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고혈압(49.8%)이 당뇨병(9.3%) 보다 유병이 높게 나타났고 각 질환은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 백내장 수술자는 43.3%, 녹내장 수술자는 4.7%이었고, 녹내장 수술자는 고혈압과 당뇨병을 가지고 있었다. 눈꺼풀 수술자는 6명(2.8%)이었고 모두 여자 이였으며, 군날개를 수술한 사람은 없었다. 날파리증은 105명(48.8%)이 증상을 가지고 있었고 연령별로는 70대에서 가장 많았다. 눈마름 증상을 호소한 사람은 153명(71.2%)이었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으며 80대 이상에서 가장 많았다. 망막박리 증상은 28명(13.0%)이 호소하였고,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다. 백내장수술, 녹내장수술, 눈꺼풀수술, 날파리증, 눈마름증, 망막박리증은 고혈압환자에서 많았다. 백내장, 녹내장, 눈꺼풀수술, 날파리증, 눈마름증, 망막박리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정상인 사이에 근용안경 처방 굴절력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고혈압과 당뇨병, 백내장 수술, 녹내장 수술, 날파리 증상 그리고 눈마름 증상은 노안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질환과 근용안경 굴절력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4,000원
        34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basic research on development of game interface for the elderly by verifying the difference in user experience based on the type of interface. The methodology of playtest combining experimental research and survey was applied with subjects of elderly users consisting of 47 men and 48 women being ages 60 and up.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between natural user interface and the pad-type interfa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 MANOVA in terms of emotional response, ease of use and flow. The NUI game showed higher emotional responses such as pleasure and dominanc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rousal. The NUI game also presented higher ease of use in the process of game play and it also had higher autotelic experience, action-awareness merging, sense of control and ambiguous feedback experience.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erious game and natural user interface for the elderly by empirically identifying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on NUI.
        4,200원
        345.
        201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의학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급격한 고령화가 야기되어지고 있고 현대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다문화가정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사회에 이제까지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가정형태가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새로운 가족 관계 중 특히 시부모와 며느리의 관계는 그 관계지속기간이 더 길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며느리를 둔 여성노인들이 최대한 행복과 만족을 느끼면서 살아가기 위한 삶의 질에 관한 연구를 하여 관련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고 적절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6,100원
        347.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consumption, and acceptability of convenience mealsin low-income female elderly attending a lunch program at a community well fare center. Using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11 elderly females (62.5±11.2y) living in Seoul. Participants tried to eat various foods in small-portionsat home, although they ate out what they were offered. Elderly females preferred lunch box-type meals containing a bowl of rice served with toppings, gruel, or Bibimbop due to the growing unavailability of cooking or preparing a meal. Side-dish type convenience mealswere also preferred among elderly females since boiled rice can be easily prepared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In addition, participants preferred healthy foods. Convenience meal planning and production, appropriate kinds of foods, cooking methods, menus, and packag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elderly's functional atrophy in chewing, swallowing,digestion, and metabolic diseases. Furthermore, food preferences and comfort foods among the elderlyneed to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herefore, more information, including bite size, cutting size, and food texture, should be provided to understand and develop convenience meals for the elderly.
        4,800원
        34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wiss ball program training on lower extremity function of old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subjects were 30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rly people aged between 65 and 80, who were divided into the swiss ball program training group(n=15) and the control group(n=15). The swiss ball program training group engaged in a 50-minute exercise session using. Lower extremity function scale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wiss ball program training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raining on lower extremity function, Moreover,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wer extremity fun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rtual reality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lower extremity function. To conclusion, swiss ball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lower extremity function. Swiss ball program training can be proposed as a form of fall prevention exercise for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Swiss ball program may be helpful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mentia and behavioral complications.
        4,000원
        34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health care condition aggressively to urban and semi-urban seniors and to inform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prior to treatment for better old age. A total of 200 seniors who were over the age of 65 and lived specific area of Seoul and Daeboo-island Ansan-city, from 7 September to 4 October 2012, and used self-develope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relevance analysis for oral health care demands shows that seniors from Ansan-city had higher dental prosthesis demands(the average 4.43) than seniors from Seoul(3.96)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items represented positive(+) relation in all items and same age distribution. Dental prosthesis has high correlation in every items, but fluorine treatment has low correlation relatively.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as slightly high, R=0.356(35.6%). However daily activity, oral heath care and anxiety tim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ban area and semi-urban area. Therefore, authorities need to offer oral health education.
        4,300원
        35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노인 고용정책에 대한 연구로 노인일자리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의 목표와 추진 현황, 참여자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노인 고용정책의 현주소와 이에 대한 진단을 통해서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일자리 사업은 참여정부 때부터는 우리나라의 복지프로그램 일반에 비해 큰 규모로 확장해가고 있다. 정부(인건비) 지원 노인일자리를 기준으로 2004년 3만 5천개의 일자리 창출 실적을 시작으로 2005년에는 4만 7천명, 2006년에는 8만 3천명에게 일자리가 제공되었고, 2007년부터는 10만개가 넘는 일자리가 제공되었다. 이후 이명박 정부에서는 정책적 확대와 사업의 본격화로 2010년 노인일자리사업은 249,207명의 노인이 참여하여 216,441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였으며, 공익형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58.6%를 차지하였으며, 민간분야는 전체 일자리의 11.4% 비율을 보였다 전 유형이 목표를 초과달성하였으며, 특히 시장 형이 128.1%로 목표 달성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노인 일자리 창출 사업의 다양성 확보와 민간 분야의 일자리 사업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7,800원
        351.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운영현황, 문제점 및 제도개선에 대한 인식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장 실무자와 학계 전문가들로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심층면접을 하고 이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2013년 현재 경기도 내 30인 미만 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739개소, 주야간보호시설 168개소, 총 907개소였으며, 이중 344개소의 요양시설과 445명의 입소노인 보호자가 응답하였다. 조사결과, 시설운영상 어려움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요양보험수가를 가장 많이 지적했고, 여러 종류의 과다한 업무, 입소자 모집의 어려움 등이 뒤를 이었다. 입소노인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10인 이상 30인 미만 요양시설에서는 요양시설의 역량을,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직원과 입소자 간 유대관계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경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험 수가인상과 요양시설 운영에 대한 각종 규제완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현 제도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주요행위자가 누구인가에 대한 인식조사에는 모든 시설 유형에서 보건복지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개별시설, 관할 시․군, 경기도순으로 응답하여 중앙정부의 개선의지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발전을 위해 소규모의 시설임을 고려한 개선방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대한 별도의 정책, 국가차원의 장기요양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6,100원
        352.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돌봄서비스는 보편주의 체계를 따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서 건강이 중등증 이상인 자는 등급자로 장기요양보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등급외자(A,B)는 지자체 중심의 노인돌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인돌봄종합서비스는 선별주의적 사회서비스로 장기요양보험의 등급 외 등급(A나 B)이 필요하고, 전국가구 평균소득 150%이하 이어야 하며, 65세 이상으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의 건강상태를 가지고 있어야 가능한 서비스이다. 특히 차상위 계층인 경우 경제적인 생활고를 벗어나지 못한 상태에서 장기요양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되어버리기 때문에 곧바로 돌봄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만다. 노인돌봄서비스에서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근본 원인은 돌봄서비스 재정이 열악하고, 돌봄서비스 이용 자격 수준이 너무 높아 돌봄서비스 대상자 급여 확대를 할 수 없다는 것에 있다. 돌봄체계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지자체의 재정 자립도를 높이거나 국가의 지원을 확대하고, 소득기준에 따른 노인돌봄종합서비스 이용 자격제한을 완화시킴으로써 돌봄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며, 파편적인 돌봄서비스 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것이 될 것이다.
        4,900원
        35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필연적으로 사람들의 관심은 단순히 오래 사는 것에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 변화 하여 장수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 다. 특히 고혈압과 식습관(Lee 등 2009), 대사증후군과 영양 소 섭취(Lee & Kwon 2010) 등 질병 유무와 노인들의 식습 관과의 관계를 조명하여 특정 질병이 있는 노인과 대체적 으로 건강한 노인의 식습관 특성 및 영양 섭취 패턴을 규명 한 연구들도 많이 진행되어 전반적으로 노화와 식생활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특정 질병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대표적 장수지역인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거주 중인 노인들의 전반적인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유지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기능 원활 노인과 기능 약화 노인을 구별하고, 이 들 노인들의 식생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능원활정도를 인구통계학적인 부분과 연계하여 살펴 보았을 때, 기능이 원활한 노인들과 기능이 약화된 노인들의 연령 범위는 동일하였으나, 기능약화집단 노인의 평균연령이 7세 정도 더 높았다. 이는 전반적으로 노화가 신체적․정신 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기능 원활집단의 남성비율이 기능약화집단의 2배에 달하였으며, 기능원활집단 노인의 학력이 더 높고 문맹률이 더 낮은 것으 로 나타나, 문맹률과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원활 정도가 서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다. 기능원활집단의 배우자 동거 비율과 독거 비중이 높았으며, 기능약화집단 의 자식 동거 비율이 높았다. 두 집단의 경제 수준, 종교, 출 생순위, 자녀 숫자에는 차이가 없었다. 2. 과식 여부, 식욕 상태, 소화 상태, 편식 여부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소 과식하는 노 인의 비율이 8.3%, 식욕이 저하된 노인의 비율이 13.0%, 소화 상태가 불량한 노인의 비율이 10.4%, 편식을 하는 노인의 비 율이 14.0% 정도로 나타나, 이들 노인에 대한 지속적인 영양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기능약화노인들에 비해 기능원활노인들의 김치와 생 채소의 선호도가 높았는데, 이는 노인들의 저작운동 원활정 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음료 중 물 과 커피의 선호도가 높았으며, 기능약화 노인의 간식 및 외 식 빈도가 기능원활 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았다. 특히 외식빈도가 주 3회 미만인 응답자가 전체 노인의 59.2%이 며, 외식 종류에 대한 질문에 이 노인들의 대다수가 응답을 하지 않아 많은 노인들이 외식을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판 단된다. 4. 비타민과 무기질을 비롯한 각종 건강기능식품의 복용에 있어서는 섭취하는 노인이 30% 미만으로 그리 높지 않았으 며, 기능원활 노인들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비율이 기능약화 노인들의 섭취비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의 복용과 노인들의 기능 유지 간에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짐작 해 볼 수 있으나, 응답한 노인들의 숫자가 작고 건강기능식품 의 정확한 종류 및 복용 기간 등을 알 수 없어 본 연구에서는 결론을 내리기 힘들다. 향후 이 부분에 있어서 연구가 진행된 다면 노인들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유지와 관련 있는 건강 기능식품을 통해 노인들의 기능 유지 및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건강기능식품 복용 동기는 친척이 나 아는 사람의 권유가 가장 높아, 의사나 약사 등 건강기능 식품에 대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람들의 권유가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주요 100가지 식품의 섭취 빈도 조사 결과, 기능약화 노 인들은 48가지, 기능원활 노인들은 46가지 식품을 주 1회 이 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열거된 채소 및 해조류 총 18가지 중 샐러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주 1회 이상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채소류 섭취가 매우 빈번함을 알 수 있었다. 기능원활 노인들은 잡곡밥을 흰쌀밥보다 더 자 주 섭취하고 기능약화 노인들은 흰쌀밥을 더 많이 섭취학고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물성 단백질 식 품의 경우 등푸른 생선은 기능약화 노인들이, 쇠고기탕/국류, 오징어/낙지/한치류는 기능원활 노인들이 더 즐겨 먹는 것으 로 나타났다. 육류 및 어패류에 비해 콩 및 된장류의 섭취 빈 도가 훨씬 높아, 된장/청국장은 평균 하루 1회 정도는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남도 거주 노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원활 정도에 따라 식생활 패턴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노화와 비례하여 노인들 의 신체적 정신적 기능 유지 정도가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기능원활로 판명된 100세 이상 노인들과 기능약화로 판명 된 70대 노인의 식생활을 보다 세밀하게 연구하고, 코호트 연구를 통해 70대의 기능약화 노인들과 기능원활 노인들의 식생활 패턴을 앞으로 계속 관찰한다면 곧 다가오는 고령사 회에서 노인 의료비를 경감하고, 건강한 노년을 희망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식생활 지침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4,600원
        354.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 lumbar area exercise program to prevent falls of the elderly by dividing 14 female elders over 65 living in Daegu into two groups such as resistance exercise group and resistance &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and applying a 60 minute exercis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both of resistance exercise and resistance & stabilization exercise brought improvement of lumbar strengt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er limb strength in resistance exercise group but resistance &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lower limb flexor strength. To make a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12 weeks’ resistance & stabilization exercise is effective to the lumbar strength and lower limb strength of the elderly. Accordingly, if combining resistance exercise and stabilization exercise appropriately, we can build a successful preventive program which even the elderly who cannot perform resistance exercise easily can follow.
        4,000원
        355.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n lumbar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12-week pilates mat exercise of elderly women. The participants are chosen for 17 people who is an experimental group and 14 people who is an comparison group who except wastage and pilates mat exercise program was gradually intensify applied three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The peak torque of flexion was increased(p<.01) and the difference of ratio of agonist to antagonist was decreased(p<.001). The total work of flexion and extension had significant increased(p<.001) at 120°/sec. As a result of all these, it was judged as positive effect for body composition, basal physical fitness and lumbar muscle strength after pilates mat exercise in 12 weeks. These positive effects showed that pilates mat exercise could got conclusions that mitigated the musculoskelctal disorders, slow down the progress of disorders, helped as a functions of physical.
        4,000원
        356.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problematic behavior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targeting 106 demented elderly people hospitalized in a geriatric hospital. To examin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the study used 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For problematic behaviors and ADL, the study collected data based on Patient Assessment Forms in the geriatric hospital. Among problematic behaviors, apathy/indifference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items of ADL. Irritability/lability, agitation/aggression, depression/ dysphoria, night-time behavior and wandering also showed to be correlated to items of ADL(p<.05).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gnitive function, problematic behaviors and ADL of the demented elderly hospitalized in the geriatric hospital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4,000원
        35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elderly. Data on 1,200 elderly (men 545, women 655) over 65 years was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metabolic syndrome (MetS) and normal groups based on NCEP-ATP III guidelines and by applying the Asia-Pacific definition with waist circumference. The prevalence of MetS was 48.9% in all subjects, 35.6% in men and 58.9% in women, respectively. All nutrient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MetS than normal subjects, except iron, vitamin A, carotene, and retinol. In the carbohydrate: protein: fat (C:P:F) ratio, MetS showed a higher rate for carbohydrate, but a lower rate for protein and fat than normal. MetS was lower in calcium, vitamin B1, and vitamin C by the nutrient adequacy ratio than normal. Mean adequacy ratio of MetS (0.69)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0.72).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undernutrition, not excess intake of specific nutrients - energy, fat, or cholesterol was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MetS in Korean elderly with Me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ve a healthy dietary pattern with diverse nutrients for the prevention of MetS.
        4,200원
        35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salt content and evaluate the nutritional quality of free lunch meals served by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e collected food items from 8 welfare facilities in Gyeonggi-do, and calculated the total salt content from the salinity and weight of individual food items. The average salt content from lunch meals was 5.68 g, which was over the recommended daily salt intake by the WHO. The greatest contributor to the salt content among the menu groups was soup and stew (37.5%). Soup, stew, deep-fried foods, and sauces were major sources of salt, while the most salty dishes were sauces, deep-fried food, salt-fermented food, and kimchi. The nutrient content was sufficient, except for calcium in both men and women, which was equal to approximately 1/3 of the dietary recommended intakes (DRIs) for Korean adults of their mean age. In addition,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and nutrient adequacy ratios (NAR) of most nutrients were satisfactory, except for those of calcium and sodium. The INQs of calcium and sodium were 0.64 and 4.41, respectively, while the mean adequacy ratio of a meal was 0.95.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lateral efforts to lower sodium intake be considered and calcium sources be ad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meals served to the elderly at welfare facilities.
        4,200원
        35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도시와 농촌 간 만성질환이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활동 실천율과 신체활동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1,039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활동으로는 걷기, 유연성 운동,근력 운동을 조사하였고, 삶의 질은 EQ-5D (Euroqol-5 dimension)를 사용하여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체활동 실천율은 도시의 경우 연령, 성별, 배우자, 주택유형, 소득수준,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농촌의 경우 주택유형과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에서, 도시의 경우는 걷기, 유연성 운동, 근력 운동을 실천 한 군의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생활활동, 통증/불편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농촌의 경우는 걷기를 실천 한 군의 운동능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도시와 농촌 모두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낮은 편이었고, 특히 도시보다 농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더욱 낮게 나타났다. 만성질환노인의 신체적 기능을 높이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4,300원
        360.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고령자와 치매 환자들이 보고하는 작업 수행의 문제 및 현재 참여하고 있는 여가 활동 항목을 인지 수준에 따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제 7회 고령자 치매 작업치료사 교육 중 실습 대상자로 참여한 고령자와 치매 환자 30명의 작업 수행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작업 수행 평가는 치매 조호 평가집(Dementia Care Assessment Package; DCAP), 캐나다 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여가 활동 평가(Interest Checklist; IC), 알렌 인지 수준평가(Allen Cognitive Level Screening; ACL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COPM을 통해 고령자와 치매 환자들이 보고한 작업수행 항목은 총 122개 항목으로 자기관리 영역이 52개(42.6%), 여가 영역이 46개(37.7%), 생산성 영역이 24개(19.7%)로 나타났다. ACLS 수행 수준에 따라서는 자기 관리 영역에서는 개인 관리 수행의 어려움을, 생산성 영역에서는 집안관리 수행의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또한 여가 영역을 살펴보면 ACLS 5.0 이상인 집단에서는 정·동적 레크레이션을, 다른 두 집단에서는 사회적 활동 수행의 어려움을 보고하여 앞의 두 영역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여가 활동 평가에서 ACLS 5.0 이상인 집단에서는 과거와 현재 자주 수행하고 있는 여가 활동에 큰 변화가 없는 반면 다른 두 집단에서는 인지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에서 과거와 현재 자주 수행하고 있는 여가 활동이 줄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인지 수준에 따라 고령자와 치매 환자들의 인식하는 작업 수행상의 문제 영역과 현재 참여하고 있는 여가 활동 항목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평가 결과에 따라 적절한 치료적 활동과 작업치료 중재가 제공되어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