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1

        36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정부시에 위치한 미군부대(Camp Falling Water) 이전 부지의 활용을 위한 역전근린공원 현상설계 공모전의 우수상 수상작품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계획대상지는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142번지 일원에 위치하며, 면적은 29,000㎡이다. 도시 중심부의 공간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도시맥락을 흡수하고 소통·연계해야 하는 환경에 대한 공간의 유연성과 자연친화적공원으로써 다양한 행태의 이용가능성 방안을 중점적으로 계획에 반영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으로 첫째, 공간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지역의 소통을 이룰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둘째,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공원이 주변시설들과 오픈스페이스로서의 요구를 수용하는 열린 공간이 되어 감성회복공간이 되도록 계획하였다. 셋째, 특화된 테마를 부여하여 시간과 계절에따른 연계와 유연성을 유도하였으며 친환경적 시설계획으로 이용자들이 다양한 체험을 경험하도록 계획하였다.본 연구는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지역문화의 소통 및 도심과 녹지의 연계가 가능한 공원조성계획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36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ssay examines how the figure of Liberty has been refashioned in the streets of post‐apartheid South Africa, addressing three public art works installed in Johannesburg over the past decade: Reshada Crouse’s oil painting Passive Resistance, Marlene Dumas’ tapestry The Benefit of the Doubt and William Kentridge’s and Gerhard Marx’s sculpture Firewalker. Even as these monumental works all reprise Delacroix’s Liberty on the Barricades – an icon of the city street and its revolutionary barricades – so too this trio of Liberties have become mere phantoms of their vaunted archetype. Haunted specters, they quarrel with the mythologized chimera of Liberty, taking issue with the fraught tradition of pinning regime change onto the body of the female nude. Drawing instead on South African histories of women’s resistance, in which female nudity has been repeatedly marshaled as a form of dissent, the Liberties circling Johannesburg hybridize their European template with local traditions of female political opposition to colonial and postcolonial male authority.
        5,800원
        36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at is Art on the street? Is it a series of artworks or activities performed on the street? In other words, does “art on the street” refer to “Street Art” such as street performance, happening, graffiti, or wall-painting, or does it refer to “Street Furniture” which is related to “City Design” or “Environmental Design”? In a formal sense, they all belong to Art on the street. However,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use Art on the street in an even broader sense. To me, “the street” is a metaphor of “environment.” Thus Art on the street is the art related to environment; it is an environment art. Art on the street attests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art and shows a new possibility of contemporary art. It is a promising new concept of art, but we cannot ignore the misapplication of the concept that we can find at the crossroad of Art on the street and “city beautification.” Of course, Art on the street can and sometimes needs to beautify the city. However we still need to ask how to contribute to the city beautification with Art on the street and how to validate such a practice. City space is, most of all, a space that people live in. It sounds a cliché, but it is worth repeating to better understand Art on the street. When we consider the city space in terms of its system or organization, we often overlook that it is the space in which people live, and which people create. Art on the street concerns not the city itself, but the space in which people live and make relations for each other. Without taking this into account, Art on the street becomes a mere means to ‘embellish’ the city and falls prey to the logic of capital. In this paper, I critically reviewed the problems such as City Development, Spectacularization, City Environmental Design, Public Interest and City Museum. I intended to emphasize that Art on the street is produced in the cultural space of city, but it also tends to break the mold of the cultural space and seeks a new possibility. Some might argue that my claims are unrealistic because Art on the street is not an idea but a practice. While humbly accepting the objection, I hope my critical suggestions guide a more productive direction to continue our discussions of Art on the street.
        4,900원
        364.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항도시이며, 우리나라의 해양수도 및 동북아 관문항을 지향하는 부산광역시와 인천 광역시의 해양환경 관리역량을 비교·분석하고 이의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 는 해양환경지표로서 수온(C), 염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ℓ), 화학적 산소요구량(CDO: ㎎/ℓ), 용존무기질 소(DIN: ㎎/ℓ), 총질소(T-N: ㎎/ℓ), 용존무기인(DIP: ㎎/ℓ), 총인(T-P: ㎎p/mℓ), 규산규소(Sio2-Si), 부유물질(㎎/ℓ), 클로로 필(Chi-a: ㎍/ℓ) 등의 총 12개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경우 2000년도부터 2003년도까지 는 해양환경상태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해양환경지 표는 총질소, 용존무기인, 총인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해양환경지표들은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365.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에 위치한 황산진지 유물산포지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대상지로 자건거 공원 건설이 예정된 곳이다. 이에 한국물물연구원에서는 2009년 2월~4월 동안 지표조사를 거쳐 2009년 9월~2010년 2월까지 표본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석축유구는 남북으로 총 연장 2.8㎞에 달하였고 이에 2010년 4월~8월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이 석축유구의 축조수법과 구조 그리고 성격 규명을 위해 기획되었다. 석축유구가 발견된 지역은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 일원으로 낙동강의 직접적인 영향 아래 형성된 사주로 활주사면에 해당한다. 조사지역의 동쪽은 경부선 철도 너머 배후습지가 발달해 있으며 대규모 시설작물을 재배하는 밭과 논으로 조성되어 있었다. 총 길이가 2.8km에 달하는 석축은 대략 해발 1.6~2.2m 내외의 지형을 편평하게 정지한 갈색 사질점토층 위에 모래를 성토한 후 조성하였으며 1구역에서는 모래성토층 없이 갈색 사질점토충 위에 바로 축조하였다. 잔존하고 있는 석축은 폭 3m 내외, 높이 1.5~1.8m 내외이다. 석축은 증산과 오봉산의 암반을 절개한 할석을 사용하여 축조되었는데 수법은 협축의 허튼층쌓기이다. 석축의 외부 면석에 사용된 돌은 크고 내부는 적심석과 흙을 섞어 쌓았다. 석축유구의 기반부에서 출토된 순청자편과 AD920±} 30년으로 판명된 석축유구의 기반층인 갈색 점질사토층에 대한 OSL 연대측정결과를 참고할 때 석축유구는 대략 11~12세기 즈음에 축조되었다. 단면조사 결과 석축은 한차례 수축을 거쳤으며 14세기 즈음 폐기되었다. 석축유구의 성격은 강변을 따라 일직선으로 뻗어 있고 3구역에서 하도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시설이 추가된 점을 근거로 고려시대 석축제언일 가능성이 언급되었다. 그러나 문헌에 나타나는 물금지역의 군사적 중요성,『동여비고』에 그려진 ‘고장성’의 위치 등을 고려하면 방어시설일 가능성이 짙다. 그러나 방어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면 석축유구를 방어시설로 간주하는 데에 의문이 없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석축의 정확한 기능은 향후 남겨진 숙제이다.
        5,500원
        366.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moth communities by the effect of forest fire in Samcheok, Korea. Moths were collected 4 times a year from 2006 to 2009 with UV light traps at 3sites: Unburned area (Site 1), Surface fire area (Site 2), and Crown fire area (Site 3). A total of 3,804 individuals belonging to 727 species from 30 families were captured at the 3 sites. A total of 3,804 individuals belonging to 727 species from 30 families were captured at the 3 sites: 1,727 individuals of 505 species (27 families) at Site 1, 1,193 individuals of 353 species (24 families) at Site 2, 885 individuals of 340 species (25 families). The index of similarity (Index α) was higher between Site 2 and 3 in 2006, while higher between Site 1 and 2 in 2009. Moths were grouped into 16 categories by hosts of the larva stage. Based on our results, we discussed the change of moth communities by the effect of forest fire.
        37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are environmental issues for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 to pursue the energy-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public urban transit. These transportation system needs to offer demand-oriented high-quality service being on the same level with cab service for urban space. PRT(Personal Rapid Transit), small track-guided vehicle, is repeatedly mentioned as a possible alternative for the new urban public transportion system, but bu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the operational optimal routing for PRT network.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PRT and general optimal routing methods are reviewed. And we suggest the optimal routing method for city-wide PRT network with multi-vehicles and stations, junctions and directional arcs. Futher research directions for PRT routing are presented.
        4,000원
        372.
        201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irst full-scale u-City operation has started in Dongtan u-City. As local cities take over and operates the u-City, unexpected issues arise such as securing the budget of operating costs and self-providing the costs with business models utilizing the u-City assets. The paper presents a strategy for solving these issues. The strategy provides a foundation(infrastructure) for long-term operation models which may reduce the long-term operation costs. In order to establish the economic operating framework of u-City, suggested are some cost-reduction models based on the operating costs structure. For each model, a base framework with comparative analysis of operating costs is provided. With these models, each u-City may select a relevant mod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t. We hope that the framework provides the foundation for efficient and sustainable u-City operations.
        4,500원
        37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에 대한 발전수준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설정하였으며, 실제 데 이터를 이용해 세 가지 유형의 시ㆍ군 지역 (일반시, 도농통합시, 군)별로 설정된 지표의 수준을 비교, 분석하 였다. 또한 각 지표의 분포가 어떤 통계분포에 적합한지를 시ㆍ군 유형별로 추정하였다. 지표의 체계는, 지역 주민들이 쾌적한 일상생활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각종 생활환경시설을 나타내는 생활환경지표와, 지역이 경제 적으로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는가와 지역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인적 자원의 규모와 구조가 어떠한가를 보여 주는 지역활력지표의 2가지로 분류한다. 생활환경지표는 주택, 도로, 상ㆍ하수도 등 생활환경을 대표하는 4개 의 지표로 구성되며, 지역활력지표는 경제, 재정, 인구 등의 부문을 대표하는 5개의 지표로 구성된다. 주택부문 의 수준은 군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더 떨어진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도로부문의 지표는 일반시가 다른 유형 의 시ㆍ군 지역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ㆍ하수도 개발 수준은 일반시가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 도농통합시, 군 지역의 순이다. 고용수준은 군 지역이 가장 높고, 소득의 대리변수로 채택한 1인당지방세액 수 준은 도농통합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재정의 지표에 있어서는 군 지역이 월등히 높았고, 인구증가율은 일반시와 도농통합시, 군 지역이 정체 상태로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어 유형별로도 별 차이가 없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총인구수에 대한 노동가능인구수의 비율에 있어서는 일반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300원
        37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연형 도시공원 생태자원의 효율적인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생의 자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도시식생의 자연성 평가를 위하여 전형적인 중ㆍ소도시인 익산시의 5개 자연형 도시공원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자연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익산시 5개 도시자연공원의 식물상은 84과 208속 261종 1아종 3품종 34변종의 총 299종류로 조사되었다.2. 익산시 5개 도시자연공원에 분포하는 식물들의 생활형의 특징은 H-D4-R5의 유형으로 나타났고 생육형에서는 직립형이우세하였다.3. 생활형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M(소형지상식물): 20.0%±1.0%, N(미소지상식물): 10.2%±1.5%, E(착생식물): 2.5%±1.0%, Ch(지표식물): 5.2%±0.8%, H(반지중식물): 22.3%±2.5%, G(지중식물): 9.6%±1.1%, HH(수생식물): 4.5%±0.8%, Th(1년생식물):27.3%±3.7%로 나타났다.4. 식생 자연성 평가에서 III등급인 배산을 제외한 4개 도시자연공원은 IV등급이다. 전체적으로 익산시 주요 도시자연공원의자연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7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주시의 문화경관과 그 의미를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주의 역사적 문화경관의 역할은 호남지역에 대한 관문역할을 한 것으로 마한시대, 백제시대,후백제시대,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부터 담당해 왔다. 이 지역의 지형적 형국은 동쪽의 승암산, 기린산에서 출발하여 우측의건지산, 좌측의 남고산과 완산칠봉에서 서쪽의 서산으로 뻗어가는 모습을 하고 있다. 북쪽의 허한 곳을 보완하기 위하여여러 종류의 비보풍수를 채택하고 있는데 숲정이, 덕진지 등이 그러한 예가 된다. 또한 전주는 ‘풍패지도’라는 이름으로 유명한데이것은 나중에 영조대에 읍성의 4대문 이름으로 차용되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문화경관 요소들은 전주시의 개성을높이는 역할을 해 왔다.
        4,300원
        376.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nsity of malaria vector mosquito was monitored at 24 sites in Korea to estimate malaria epidemic from 2004 to 2009. Twenty four locations include six in Gwangwon province and nine in Kyonggi province and nin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osquitoes collected by public health centers in 24 sites were sent to each RIPHE(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 Environment) then the RIPHE identified the malaria vector mosquitoes. KCDC analysed the results. Number of malaria vector mosquito collected in 2009 shapely decreased over 33 % when compared with number of mosquito collected from 2004 to 2009. In 2009, malaria vector mosquitoes firstly were collected at Injegun on 2nd week of April (6-13, April) and the highest peak of collected mosquito was demonstrated on 3rd week of August. Number of collected mosquito sharply decreased below 10 at 3rd week of september and None of mosquito was collected 2nd week October. Decrease of number of malaria vector mosquito collected in 2009 seem to be related with lowest temperature around midnight and precipitation days per month.
        377.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전의 3대 하천인 갑천, 유등천, 대전천에 대하여 2002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와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3년간 조류분포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관찰된 조류는 총 13목 34과 126종 12,027개체(최대합계수)로 나타났다. 우점종은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집비둘기, 참새, 쇠백로 등의 순서였다. 관찰된 조류는 크게 6개 분류군이었으며,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된 분류군은 교목성 산림조류로 54종이었고, 가장 적은 종이 관찰된 분류군은 잠수성 오리류로 7종이었다. 또한 개체수는 관목성 산림조류가 721개체로 가장 적었으며, 수면성 오리류가 4,974개체로 가장 많았다. 각 하천별 조류분포를 보면 갑천은 총 13목 34과 114종 14,885개체(최대합계수), 유등천은 총 12목 30과 90종 6,642개체(최대합계수), 대전천은 총 11목 28과 69종 4,202개체(최대합계수)가 관찰되었다. 각 하천별로 조사된 종수, 개체수, 종다양도, 종풍부도, 단위면적당 밀도 등의 조류군집분석 지수에 의한 하천별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갑천과 유등천 그리고 유등천과 대전천은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하천이며, 갑천과 대전천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하천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각 하천 구간별 상위 10위 우점종을 대상으로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각 하천의 상류는 산림성조류, 중류는 해오라기류와 수면성 오리류, 하류는 수면성 오리류와 일부 잠수성 오리류가 서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전 3대 하천에서 일부 구간이 자연형 하천으로 남아있는 갑천과 유등천이 도심지역인 대전천에 비하여 다양한 조류가 서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각 하천의 상류와 하류가 조류의 서식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향 후 도시하천의 정비나 활용에 있어 자연성이 유지되는 구간에 대한 보전 및 관리가 필요하였다.
        4,000원
        378.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eal how Korean food is currently perceived by the “foodies” of New York City and to determine what social status Korean food has in the city that is deemed the “Restaurant Capital of the World.”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provide a deeper insight into the comments and subject matters. Most foodies selected kimchi and Korean barbecue as the most distinctive foods in Korean dining. Korean food's distinguishing traits were extracted in four areas: specific ingredients and tools, preparation procedures, and rules. Sensory characteristics, local adaptation, service, side dishes, and the main strengths and short-comings of Korean foods were investigated. Perception toward the taste of Korean food was generally positive, but poor quality of service and lack of organization in establishments were found to be negative factors.
        4,000원
        379.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surveyed 821 children (ages 12-15 y) in Daejeon city and Cunngcheong province, Korea for their use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VMS), either over-the-counter drugs and/or health functional foods (HFF). We also considered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VMS use,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variables,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beliefs of VMS by subjects. The frequency of VMS use was 24.8% and, in comparison to counterparts, it was higher in subjects attending middle school (p<0.001), in those living in a large city (p<0.001), in those with a high monthly family income (p<0.05), and in those with high concerns about school performance by parents (p<0.01). Selfhealth concerns by subjects (p<0.05) and concerns about health of offspring by parents (p<0.01) were higher in users than in nonusers. Eating habits of subjects did not affect the use of VMS. Users had a more positive view concerning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VMS than did nonusers (p<0.05). Most users took VMS when they were healthy (78.9%) and expected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maintenance’ (44.6%). However, most users did not feel any special effects from VMS use (58.8%), and they got their information on VMS through family and relatives (53.9%). Users of VMS preferred vitamin C supplements (44.2%) and Ca-supplements (56.9%).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VMS use is widely spread among the subjects, and that use of VMS is influenced by multiple variables and subjective criteria. Therefore, practical guidelines on VMS use for children’s health and growth should be given through nutritional education.
        4,000원
        380.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까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이라 통칭되어지는 센서망은 불특정 공간에 배포된 무선방식의 센서노드를 통해 유선방식의 센서 인프라를 대체하려는 기술 지향적 및 공급자중심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공급자 위주의 기술지향적인 제한적 구성에서 벗어나, u-City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들의 목적과 서비스 대상의 요구사항분석을 기반으로 성능, 품질, 비용 등을 고려하도록 다양한 기술들을 융 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센서망의 제안을 위한 선행 연구 결과이다. 우선, 센서망과 u-City 서비스와의 관계에 대해 서술한 후, 기존 센서망에 대한 조사, 분석 결과 및 문제점, 그리고 선진국에서의 하이브리드 센서망 적용 사례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도록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