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2

        361.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cking is an experimental paradigm that can be used to study information processing in continuous movements involving accurate, ongoing control of moto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knee tracking performance. Six patients with hemiplegia and six age-matched contr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racking test was administrated. It was composed with regular ranges of to and randomized range .2 to .4 Hz.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subjects who had suffered from stroke and subjects who were well coordinated. The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s Test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of the stroke patient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accuracy index of the tracking 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control side than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Accuracy index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nonparetic sides with stroke compared with paretic sides with stroke. This study shows tracking is impaired in paretic and nonparetic knee of subjects with stroke.
        4,000원
        362.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wimming training on brain function after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Therefore, this study was examined on neurogenesis in dentate gyrus of hippocampus using 5-bromo-2'-deoxyuridine (BrdU) to label proliferating cells and assessed the neurological response following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using neurological motor behavioral test. In an observer-blinded fashion, twenty male Sprague-Dawley (280~310 g, 7 weeks old)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MCAO plus swimming group (ME, =5), MCAO plus control group (MC, =5), SHAM plus swimming group (SE, =5), SHAM plus control group (SC, =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imb placing time before and after swimming in the ME group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MC group (p<.05), the 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SC group (p<.01). 2) The balance beam scores before and after swimming in the ME group was higher than the SE group, the MC group was higher than the SC group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3) The foot fault index before and after swimming training in M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e., improved) than the MC group (p<.001) and the SE group (p<.001), the S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e., improved) than the SC group (p<.001). 4) The mean number of BrdU-positive cells in the dentate gyrus in the M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C group (p<.001) and the SE group (p<.01). The MC group and the 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 group (p<.001). 5) There was significantly correlation between limb placing time and number of BrdU-positive cells on swimming training,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r=.807, p<.0001) and between foot fault index and BrdU-positive cells number,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r=-.503, p<.05). However, between balance beam scores and BrdU-positive cells number, there was no correlation.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role of swimming training improves behavioral motor function probably by enhancing cell proliferation in that hippocampus. This study provides a model for investigating the stroke rehabilitation that underlies neurogenesis and functional ability.
        4,200원
        363.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목구조물에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설치장소의 크기는 제한되며 그에 따라 질량감쇠증기의 최대진폭이 제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벽체 스프링과 고정장지를 이용하여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의 진폭을 제한하면서도 제어성능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는 제한진폭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 치를 제안하였다. 이 제어장치는 질량감쇠장치의 진폭이 작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로 작동하고 진폭이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제한진폭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원리의 수학적 정식화를 통하여 새로운 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제한진폭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의 다양한 설계인자에 대한 파라미터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성능을 기존의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제한진폭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의 정현하중 및 충격하중에 대하여 일반적 능동형 질량동조감쇠장치와 비교하여 제어효과가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질량감쇠장치의 최대진폭을 상당히 줄일 수 있어 그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랜덤하중에 대한 해석의 경우는 질량감쇠장치의 최대진폭이 크게 감소하면서 주구조물의 최대진폭은 거의 증가되지 않는 개선된 결과가 관찰되었다
        4,600원
        364.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1인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에서는 상상연습을 하지 않고 편측무시를 1일 5분 동안 1회씩 5일 동안 측정하였고, 훈련 기간에는 상상연습 후 대상자의 편측무시를 측정하였다. 상상연습은 왼쪽 공간에서 왼팔을 기능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1일 5분 동안 1회씩 6일 동안 시행하였다. 훈련 기간이 종결된 후 상상연습 없이 다시 대상자의 편측무시를 1일 1회씩 3회 측정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 앨버트 검사, 읽기 검사, 쓰기 검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편측무시를 측정하였다. 결과 : 기초선 기간보다 훈련 기간 및 기초선 회귀 기간 동안에 대상자의 편측무시가 선 나누기와 선을 선정하는 검사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편측에 있는 글자 읽기와 쓰기 같은 검사에서는 거의 감소되지 않았고, 건측에서만 감소되었다. 결론 :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선 나누기와 선 선정하는 과제에서는 효과가 현저히 있었으나 읽기와 쓰기 같은 기능적 활동 수행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훈련의 치료기간을 2~3주 연장하는 실험을 통해 상상훈련이 편측무시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활동 수행을 향상시키는데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4,600원
        365.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s on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whether ad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with routine rehabilitative therapy improves functional performance more than just routine rehabilitative therapy by it self for inpatients who have suffered a stroke with below moderate severity within 3 to 6 months after the onset of the stroke. Fifty-eight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was given routine rehabilitative therapy and group II was given additional therapeutic exercise along with the routine rehabilitative therapy. Each group received 6 weeks of rehabilitation. The timed get-up and go test (TUG), the Fugl-Meyer score (FMS),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functional reach (FR), gait velocity (GV), and the strength of knee extensor and flexor were selected to measure effect of rehabilitation programs. The main results were measured and analysed at baseline, 3 weeks, and 6 weeks after the start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s.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lower extremities in 3 weeks after the start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before the rehabilitation programs in both groups. In 6 weeks, TUG, FIM, FR, GV, and the strength of knee extensor in group I, TUG, FMS, FIM, FR, GV, and the strength of knee extensor and flexor in group II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with the results after 3 weeks. At 3 weeks after rehabilitation programs, group II made significantly greater gains in TUG, FR, GV, and the strength of the knee flexor compared to the group I. At 6 weeks, group II made significantly greater gains in TUG, FR, GV, and th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and flexor compared to the group I. In conclusio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stroke patients within 3 to 6 months after stroke onse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mprove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lower extremities. It is desirable for improvement of functional performance of the lower extremities to perform additional exercise with routine rehabilitative therapy.
        4,800원
        367.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첫째, 건측상지 제한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가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건측상지 제한치료 효과의 지속을 위해 가정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상지기능의 향상이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치료 과정은 3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병원에서 건측상지 제한치료 시기이다. 둘째는 스스로 건측상지 제한치료 시기이다. 셋째는 가정프로그램으로 건측상지 제한치료 시기이다. 자료 수집은 젭슨 상지기능 검사(Jebsen Hand Function Test)와 뇌졸중환자 삶의 질 평가도구(SS-QOL), 캐나다 작업수행모델(COPM)을 이용하여 기초선을 측정하고 각 시기별 검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 치료결과 환측 상지의 기능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occupational performance)의 수행도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가정프로그램은 환측 상지기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켰으며 건측상지 제한치료의 효과를 지속시켜 주었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이상의 치료들이 효과적이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건측 상지 제한치료가 환측 상지의 기능적인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삶의 질과 작업수행의 만족도에 좋은 결과를 주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가정 프로그램 진행시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게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CIMT 및 삶의 질을 연구할 때 심리적인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며,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인 SS-QOL 척도에 대한 국내 상황에 맞는 타당도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368.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지각 치료 후 시지각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회복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항목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2003년 1월 2일부터 동년 10월 30일까지 전주 예수병원 작업치료실에서 시지각 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1일 30분씩 6주 동안 총36회를 실시하였으며, 평가도구는 시지각 평가로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MVPT), 인지기능은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MMSE-K), 일상생활 활동은 Modified Barthel Index(MBI)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시지각 치료 전․후 MVPT 원점수, MMSE-K, MBI 총점수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였으며(p<0.01) 시지각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의 변수간의 관계성에서 MVPT 원점수는 MMES-K와(p<0.01), MBI 총점수와(p<0.05)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MVPT 시지각 수행속도는 MMSE-K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결론 : 시지각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회복 및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회복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이들 항목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4,600원
        369.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for stroke patients and to test the difference in functional improvements between patients undergoing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those participating in a task-related circuits exercise program. The subjects were 10 stroke in-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We measured the following variables: Motor Assessment Scale (MAS), Berg Balance Scale (BBS), Tone Assessment Scale (TAS), speed of gait, rate of step, physiological costs index, age, weight, height, site of lesion, onset day and wheth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10.0/PC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ann-Whitney U 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d Spearma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In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function,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 partaking in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and the group of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p>.05). (2) In the MAS, BBS and speed of gait test, the group undergoing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3) In the MAS, BBS, speed of gait, PCI, TAS (passive, associated reaction, TAS total score), the group of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As a result, the group participating in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had a more functional improvement than the group participating in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herefore, an intervention recommended for a stroke patient would be a task-related circuits program consisting of a longer session of each task for a more improved functional recovery.
        4,300원
        370.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전과 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비교하고 작업치료 후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여 작업치료의 가치를 검증하고자 하였다.1994년 6월부터 2004년 3월까지 A대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퇴원한 65세 이상 노인환자 중 치료기간이 180일 이내이며 의무기록열람이 가능하였던 22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연구방법 : 의무기록 열람을 통한 후향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성별, 발병 당시의 연령, 진단, 발병원인, 발병횟수, 치료기간, 학력 등의 일반적인 정보와 치료 시작시와 종료시 MMSE와 MBI의 개별항목 점수와 전체점수를 조사하였다. MBI 개별항목 중 대․소변처리 항목은 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제외하여 전체점수는 최저 0점 최고 80점 만점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Ver 12.0)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뇌졸중 환자들의 작업치료 전, 후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MBI 점수와 일상생활동작 개별항목의 점수는 짝비교 t-검정을 실시하고, 연령군, 치료기간군, MMSE 전체 점수간의 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의 향상점수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결과 : 첫째, 대상자의 치료 후의 MBI 전체 점수는 43.19±26.90으로 치료 시작 시 20.12±20.34보다 23.07±19.92점 향상되었으며(p<0.001), 치료 후의 MBI 개별항목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향상되었다. 특히 걷기 5.52±5.44점(p<0.001), 의자/침대로 이동하기 4.59±4.82점(p<0.001), 옷 입고 벗기 3.27±3.38점(p<0.001), 화장실 동작 3.24±3.76점p<0.001)에서 다른 항목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둘째, 대상자의 MMSE 점수가 높을수록 MBI 점수도 높았다(p<0.001).결론 : 대상자들의 작업치료 전, 후의 MBI 점수를 비교한 결과 작업치료 후의 MBI 전체점수와 개별항목 점수 모두에서 치료 전보다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이 더욱 향상되었다.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이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에게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65세 이상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371.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실정에 맞는 뇌졸중 환자용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의 일상생활 평가항목들을 수집한 후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낮춘다고 지적된 바 있는 항목들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작업치료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이 평가목록 중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평가항목으로서 부적절한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34개 항목으로 서울에 소재한 병원급의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인 27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Q표본분류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치료하고 있는 환자들을 고려한 중요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조사를 통해 얻어진 Q점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순위가 낮은 10개 항목을 삭제하였다. 이로써 하위항목을 포함하여 29개 평가항목으로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구성하였으며, 주변인의 도움 정도(%)로써 채점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평가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조사하여 신뢰도가 낮은 5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남은 항목을 수정한 뒤 검사자간 신뢰도를 재조사한 결과 0.75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뇌졸중 외래환자 72명을 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을 함으로써 설명력이 99.0%인 항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입원환자와 달리 외래환자의 경우 ‘용변을 보기 위해 옷 벗고 다시 입기’, ‘방바닥, 침대에서의 기능적 이동성’, ‘신체 각 부위에 대해 비누질 한 후 씻고 수건으로 닦기’, ‘자동차로 옮겨 앉기’ 항목이었다. 또한, 각 평가항목에 대해 다중회귀 계수의 비를 구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외래환자는 ‘실내보행’ 항목에 4배, ‘자동차로 옮겨 앉기’, ‘양치질하기’, ‘적절한 식사도구 사용하기’의 3개 항목에 3배, ‘신발, 양말 신고 벗기’ 항목에 2배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총점의 범위가 0-80점에 해당하는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완성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평가도구의 평가항목간 내적 일치도는 Cronbach α계수가 0.93이었다. 앞으로 본 평가도구에 대한 공인타당도, 구성타당도 연구 그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연구가 필요하며, 뇌졸중 환자 집단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200원
        372.
        200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내 M시의 S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편마비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방법은 대상자 선정검사를 하고, 대상자 3명에 대해 기초선 검사 기간을 달리하여 다트게임을 실시하였다. 대상자 1이 기초선 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 중재단계로 들어가 상상연습을 실시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 측정값의 평균을 구하였다. 대상자 1이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던 대상자 2도 상상연습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에 다트게임을 실시하여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으며, 대상자 3도 대상자 2가 중재단계에서 안정을 보일 때까지 기초선에 있다가 상상연습을 실시, 직후와 1시간 후의 측정값의 평균을 구했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인 평균값을 통해 거리 측정값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직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둘째, 대상자 모두 다트게임(신체적 연습)만 한 기초선 때보다 상상연습 1시간 후에 연구대상자가 던진 화살의 꽂힌 위치에서 과녁판 중심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의 평균값이 감소하여 시각-운동 협응에 있어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이 성인 뇌졸중 좌측편마비 환자의 시각-운동 협응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상상연습이 학습과 치료에 앞서 시연(demo)이 왜 필요한지를 밝히는 근거로서 제시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방법에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4,600원
        373.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s among Fugl-Meyer Assessment scale, gait speed, and Timed Up & Go test (TUG) and to predict gait ability from subscale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0 stroke patient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the Bundang Jaesang General Hospital. All subjects were ambulatory with or without an assistive device.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Fugl-Meyer Assessment scale and gait speed (m/s), TUG (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items of Fugl-Meyer Assessment scale, except passive joint range of mo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speed and TUG. In particular, sensation score, lower extremity motor and coordination score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ait speed and TUG (p<.05). The sensation score and lower extremity motor score were important factors in comfortable gait and maximal gait speed.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comfortable gait and maximal gait speed were 63.0% and 65.0%, respectively. The sensation score and lower extremity coordination score were important factors in TUG.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TUG was 55.0%. These results showed that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gait speed and TUG. Therefore Fugl-Meyer Assessment scale is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to predict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stroke. Further study about gait speed and TUG by change of Fugl-Meyer Assessment score is needed using a longitudinal study design.
        5,100원
        374.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급성기가 지난 뇌졸중 환자를 위한 치료적 운동 프로그램이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과 부가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상태에 따라 치료적 운동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뇌졸중이 발생한지 3개월이 지난 23명의 환자이었다. 심박동수의 변화는 대상자가 각자의 치료적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Polar Vantage XL Heart Rate Monito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료적 운동 동안 환자의 기능 수준 및 발병 기
        4,000원
        375.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 To study and compare the effects of monocular patching and half-eyes patching on the unilateral neglect of stroke patients.Methods : Eleven stroke patients with the unilateral neglect were enrolled. To these patients eight tests such as line bisection test, Albert’s test, letter cancellation test, shape cancellation test, house copying, daisy copying, clock drawing, and reading task were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the unilateral neglect. These tests were done without patching and with monocular and half-eyes patching respectively.Results : Eye patching methods were effective for reducing the unilateral neglect in 11.1 ∼ 57.1% of patients. Half-eyes patching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clock drawing test(p=.02), In general half-eyes patching was more effective than monocular patching.Conclusion : We suggest that eye patching method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and prac-tical way to reduce the unilateral neglect of the stroke patients.
        4,300원
        376.
        200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o compare the value of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basic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ith a total of thirty-four item cards. The survey was completed by 36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have clinical experience of more than three years in a hospital or rehabilitation settings and by 38 inpatients/outpatients with strok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measured by the Q sorting technique. A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an difference in the Q score betwee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patients with stroke. Results : Among the 34 items, 11 items (‘obtaining and using supplies’, ‘selecting clothing’ etc.) selected by inpatients, showed that the Q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its importance than that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e survey showed that ‘caring for nails’ was more im-portant to outpatients than it was to occupational therapists. Several items (18 items for in-patients, 3 items for outpatients) of the total 34 it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value of the basic ADL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atients with stroke. Conclusion : The relative value of each activity of daily living could serve as a guide for sequencing learning steps during the ADL training in a hostpital or rehabilitation setting.
        4,000원
        377.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ual tracking is an experimental paradigm that can be used to study information processing in continuous movements involving accurate, ongoing control of motor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knee tracking training, using the paretic side, on gait in stroke patients. Nine patients with hemiplegi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timed 10 m gait speed test and tracking test were administrated. The tracking test was composed with ranges of to and to . The tracking training consisted of five times every week for 4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non-parametric paired sign test of Wilcoxon. The flexion/extension error of the tracking test was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paretic side, while the nonparetic sid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ransfer of the skill to the functional activity was shown in the significant improvement at timed 10 m gait speed test. This study shows that individuals with chronic who have impaired knee movement can be trained to improve their knee control through intensive practice at a knee movement tracking task and that the skill learned from such training is transfered to a more functional gait speed.
        4,000원
        378.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oke patients' cognitive score on thei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e-Bong hospital from November, 2002 to March, 2003. The subjects were administerd an MMSE as a cognitive assessment and an MBI as a functional assessment upon referral to physical therapy initi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MSE scores for the stroke patients were related to the patients' abilities to perform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changes of MBl score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of MMSE scores (p<.05). 2. The subjects with left hemispheric lesion scored higher in MMSE than those with right hemispheric lesions (p<.05). 3. The hemispheric lesio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 (p>.05).
        4,200원
        379.
        200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 of Gojanghwan on intestinal function was investigated in rabbit, making use of its water extract. Gojanghwan water extract(GW) made the motility and tension of ileum strips isolated from rabbit decreased. While it did not affect on the acetylcholine action, GW exhibited the significant inhibition on the actions of serotonin and histamin to ileum strips. In the longitudinal muscle of colon, GW suppressed the motility, but did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 tension, and in the circular muscle of colon, GW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motility and tension. GW inhibited markedly the actions(motility and tension) induced by acetylcholine, serotonin and histamine in the longitudinal and circular muscles of col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GW inhibited the intestinal function in rabbit, this inhibition was related to the various mechanism being induced by responses on the receptor of muscarine, serotonin and histamine. 
        5,500원
        380.
        200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 To develop a basic ADL instrument for persons with stroke, reflecting our cultural values. Method : The ADL instrum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previously were gathered, excluding the ADL items, which lowere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 surveyed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 values of basic ADL with a total of thirty-four item cards. The value of ADL was measured by Q sorting technique. And ninety-eight patients with stroke were evaluated to gain final items selection and weighted items. Results : Ten items for inpatients were selected. For inpatients, functional ambulation at indoor was weighted to four times; the excluded items using proper utensils, and cleaning mouth were weighted to two times. Conclusion : We developed a basic ADL instrument for inpatients and the range of score of each instrument was 0∼80. The internal consistency for inpatients was high (Cronbach α=0.94). However, further study requires the concurr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present ADL items.
        4,300원